View : 10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영심.-
dc.creator이영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7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9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774-
dc.description.abstract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ether (a) students perceive differential teacher treatment of high-and-low achieving children in the classroom, (b) students perceive differences in learner attributes between high and low achievers, (c) both sexes and SCA (self-concept of attainment) of the perceiver do affect perception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00 2nd graders (50 boys, 50 girls) who attended junior middle school in Seoul. A three-part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assess (a)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interactions with a hypothetical high and low acheiver (teacher treatment inventory), (b) student rat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pothetical classmate (adjective ratings), and (c)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own academic competence (self-concept of attain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Students did perceiv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achievers in aca.demic qualities such as being attentive or successful... etc. And they also perceived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acheivers that went beyond the academic, extending into the social realm of popularity and friendship. (2) For 24 items of the 35 teacher treatment items, achiever form was significant and illustrated the pattern of differential teacher treatment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for example, by; ·Going out of his way to help high-achievers ·Asking other students to help low-achievers ·Asking low-achievers easier questions and embarassing them for not knowing the right answer ·High achievers being granted special privileges ·Trusting high-achievers ·Collecting work before a low achiever has had a chance to finish ·Giving a high achiever a long enough opportunity to respond ·Spending more time talking personally with high achiever (3) Both sexes and ScA of the perceiver did affect student perceptions. In sum, this study reports a first look at how students perceive the teacher treatment of high and low achievers.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are planned in the more systematic method.;본 연구는 교실내에서 이루어 지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다룬 것으로서, (1) 교사가 학생의 학업성적의 우·열에 따라 학생들을 다르게 대하고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지각하는가 (2) 학생들 자신도 성적의 우·열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의 차이를 지각하는가 (3) 지각자의 성별과 자신의 성취개념정도에 따라 그들의 지각에 차이가 있는가 등을 평가해 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대상은 서울시내 인문계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각각 100명씩으로, 교사의 행동 평가를 위한 질문지, 학습자 특성에 관한 질문지, 자신의 성취개념척도의 3부분으로 된 질문지를 작성·실시하여 얻어 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학생들은 학습자들의 특성을 학업성적 우·열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있으며, 특히, 우등생일수록 학업능력뿐 아니라 사회성 및 인기도, 활동면에서도 긍정적인 높은 점수를 주었다. (2) 교사의 행동에 관한 지각에 있어서도 총 35항목 중 24항목에 있어 우·열의 학업성적에 따라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즉,·우등생에겐 그에게 직접 다가가서 어려움을 해결해 주신다. ·열등생에겐 옆의 다른 학생에게, 어려움을 도와 주라고 하신다. ·우등생에겐 대답에 필요한 관련된 질문을 하시는 경우가 많다. ·열등생에겐 쉬운 질문을 하시며, 정답을 모르는 경우 무안을 주신다. ·우등생에겐 보다 많은 특별한 권한이 주어진다. ·우등생일수록 신뢰하신다. ·열등생은 수업중 과제를 끝마칠 것으로 기대하지 않으신다. ·열등생이 과제를 끝마치기도 전에 미리 정리해 버리신다. ·우등생에게는 다른 사람을 지적하기 전에 질문에 답할 충분한 기회를 주신다. ·우등생과는 개인적인 관심을 갖고 이야기를 나누시는 일이 많다. 등이다. (3) 지각자의 성별과 자신의 성취개념정도에 따른 지각에 있어서도 많은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는데, 자신의 학업성적이 상위라고 여기는 학생들은 교사가 우등생에게 더 인간적인 대우를 해 준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자신의 학업성적이 하위일수록 교사는 열등생에게 더 인간적으로 친절히 대하여 준다고 여겼으며,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교사와 학생간에 개인적인 관계를 많이 갖는다고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집단 역학 = 4 B. 교수활동 = 6 C. 관련 연구 = 9 Ⅲ. 연구방법 = 12 A. 대상 = 12 B. 도구 = 12 C. 방법 및 절차 = 15 Ⅳ. 결과 및 해석 = 17 Ⅴ. 결론 = 34 참고문헌 = 37 부록 = 39 영문초록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87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수활동-
dc.subject상호작용-
dc.subject집단역학-
dc.title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에 관한 학생의 지각-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ent perceptions of teacher interactions-
dc.format.pagevi, 52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