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미숙-
dc.creator박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7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93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표현주의 사상을 이론적 배경으로, 무용에서의 표현주의의 개념과 특성을 조명하고, 독일과 미국 그리고 한국에서의 표현주의 무용의 흐름 속에서 시대적·민족적 특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현주의는 20세기 초,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로 하여 독일을 중심으로 자리 잡은 하나의 예술사조로서, 인간의 내면세계를 밖으로 표현함으로써 현실과 내면세계의 모순을 극복하고, 상실된 인간성을 회복함은 물론, 앞으로의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움직임들을 예측하였다. 특히 표현주의는 개인적 체험을 토대로 한 예술사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주의에서의 독특한 작품 분위기와 특징은 당시의 시대적·민족적 상황과 관련해서 이해 할 필요가 있다. 독일과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표현주의 무용의 흐름을 통해 시대적·민족적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표현주의는 당시 세계의 정치와 사회적 위기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예술의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다. 표현주의 무용에서도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으며 다분히 민족적 성격을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독일에서의 표현주의 무용은 전쟁으로 혼란한 독일의 정치·사회 분위기와 그로 인한 민족적인 고통과 어두운 현실을 작품 속에 담아내고 있으며 그것은 매우 주관적이며 표현적이었다. 혼란과 고통은 그로테스크 한 분위기를 통해 표현되었고, 정신과 감정이 깃든 움직임 개개인의 영향, 사실적 감정의 경험을 바탕으로 알고 있는 상황의 객관적인 행동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초기 이민자들의 유입과 경제개발 등은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따라서 춤에서 새로움에 대한 활기차고 밝고 희망찬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미국의 현대무용에서는 모더니즘을 바탕으로 어떠한 춤의 형태와 움직임 그리고 사상들을 배격하지 않고 받아들였으며, 자신만의 춤에 적용하여 매우 다양한 표현주의적 경향이 나타났다. 무용에 '내적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 는 근본사상은 독일의 표현주의와 공통점을 보이나, 내용과 표현방법에 있어서 분명히 다른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현대무용가들은 좀 더 직관적이고 개성적이고 힘이 넘치는 감정적인 인간의 정서를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셋째, 한국창작춤에서는 시대와 민족이 당면한 전통 민족문화계승과 현대의 새로운 예술발전 과제와 연관되어서 표현주의적 경향이 춤으로 나타났다. 표현주의로 인해서 한국의 춤은 자유로워진 표현방식과 다양한 내용으로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혼란한 시대와 민족의 정서를 담은 내용은 안무자의 개인적인 한풀이에서 벗어나 관객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이들의 노력으로 한국창작춤은 한국적 전통양식을 기반으로 한 창작춤으로 발전하면서, 이전까지의 고전적 무용에서 벗어나 현시대를 대변하는데 기여하였다. 20세기의 표현주의 무용에 관한 이론들은 대부분이 당대 예술 사조에 부흥할 뿐만 아니라 현시대의 무용을 관찰 분석하고, 무용의 안무와 감상을 뒷받침하여, 무용의 올바른 형성과 발전을 도왔음을 알 수 있다. 무용에서의 표현주의 경향은 독일뿐 아니라 각국에서 끊임없이 나타났으며, 표현주의와 표현주의 무용은 인류 예술의 역사에서 항구적인 한 경향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based up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ims its goal in finding out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ism' in dance, and contemplating the historic and ethnic uniqueness found in the current of 'expressionism dance' of Germany, America and Korea. Expressionism took its position as a trend of arts, Germany in its cen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before and after the First World War. Expressionism, by expressing out the inner world of man's ego, strived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inner world, to recover the lost human nature, and forecast the more diverse and newer movements of the future. Hence, expressionism, being an art trend based upon individual experience, requires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periodic situation in order to comprehend the uniqueness of its works and i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orough observation on the historic and ethnic uniqueness found in the current of 'expressionism dance' of Germany, America and Korea,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given. Expressionism had developed into various branches of different art forms, closely reacting to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world politics. It can be seen that expressionism dance also reflects the zeitgeist and very much of the ethnic characteristics. First, German expressionistic dance contains the dark reality of the toils and tribulations due to the war and the chaotic political-social atmosphere in its works, being extremely subjective and expressive. The chaos and the toils were expressed through grotesque atmospheric tools. Also expressed are the influence of each and every movement which carries the mind and emotion, and the objective doing of the situation that is known through real emotional experience. Second, America's early immigrants were experiencing dynamic changes such as the economic boom. Thereforea more hopeful and a bright atmosphere can be felt in American dance works. Moreover America's modern dance did not reject, but accepted all kinds of patterns, movements and thoughts connoted in certain dance works and appliedthem into its own breed of dance, thus giving birth to many various trends of expressionism. The fundamental idea of the "inner emotions being expressed" in dance shows no difference from the expressionism of Germany, however a good deal of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e contents and the methodology of its expression. The modern dance artists of America, with greater influence of intuition, placed more effort in expressing the emotional man's mind with more idiosyncratic and a powerful method. Third, Korea's expressionism trend in dance found its origin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continuity of its traditional ethnic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e. Expressionism has given new life to Korean creative dance, allowing it with a more liberated expression tools and a more diverse range of contents. Contents containing the chaotic era and the national sentiment, overcame the boundaries of the artists' personal lamentation forming sympathy withthe audiences. Through the efforts of these choreographers, Korean creative dance could not only evolve itself as a new and independent genre of creative dance, still rooting its origin in the traditional modality and throwing away the classical characteristics of Shinmuyong, but also find its position of contributing in speaking for the people of its times. It can be said that most of the theories concerning the expressionism dance of the 20^(th) century not only meets with the art trend of the times, but also supports choreography and appreciation of dance through studies and analyses of current dance trends, contributed the desirable forming and development of modern dance. The trend of expressionism in dance has been found not only in Germany but from other countries as well, giving proof that expressionism and expressionism dance is an everlasting trend in mankind's history of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 2 C. 연구 제한점 = 3 Ⅱ. 표현주의의 개념 = 4 A. 예술에서의 표현주의 = 4 B. 무용에서의 표현주의 = 12 Ⅲ. 표현주의 무용의 흐름 = 21 A. 독일 표현주의 무용 (Modern Dance in German Expressionism) = 21 B. 미국의 현대무용 (American Modern Dance) = 29 C. 한국의 한국창작춤 (Korean Creative Dance) = 38 Ⅳ. 표현주의 무용의 시대적·민족적 특징 = 47 A. 독일 표현주의 무용 = 47 B. 미국의 현대무용 = 50 C. 한국 창작춤 = 52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8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7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표현주의 무용의 시대적·민족적 특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i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