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정-
dc.creator김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6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2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05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296-
dc.description.abstractIn today's world, the information increased in a geometric proportion and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rapidly change our society in various ways. Parallel to this change, education paradigm is shifting from conventional background toward a new in-company for upcoming educational needs.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manded time for education and actually given time to learners, learners themselves should be main actors in training, taking responsibility to come up with the detailed plans of execution as well as education. Besides, learners should be ready for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by improving their ability to utilize the information. Even though learners have high motivation and ability for education, they are not easy to catch up with changes of information society without information control. Today's learners, therefore, are required to collect and utiliz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ir task performance. All learners have to proactively train themselves everyday for their whole life, to survive in the information chaos. As a means towards helping achieve this goal, the concept of self-directed learning has been proposed. To implement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we need to investigate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of learner. Especially, under the web based environment which is evaluated as a space enables self-directed learning, it needs the abilities of involving in learning process with proactive initiatives more than anything. Meanwhile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to validate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ntract suggested as a strategy for facilitating adult learner's self-direction in the traditional formal education context. However, it's hard to say researches under the web based have been highlighted as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For the most part, there have been researches as an inclination and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subject of employee in the corporation of America and domestic, and also as an object of student within the countr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utual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on their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By doing so, it intends providing definite information to improve their learning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environment. On this purpose, the question to be researched as below: 1. Is there any mutual effect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2. Is there any mutual effect between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answer to abov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Teacher cyber training institute T, which already implements cyber learning system for the support of the web-based trai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8 adults enrolled in the web-based course, 'A study material of Flash in useable easily'. Questionnaire is SDLRS-K96 based on Guglielmino's SDLRS and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based on study team of Kim, Jija. Also, it makes web-page for this study of questionnaire and then, dat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SPSSWIN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correlation, regress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 this performance is related to learning achievement at 'Self-concept as an effective learner' and 'Love of learning'. Overall i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235) both of them(p<.05)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Stepwize's regression analysis, 'Love of learning' and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have the strongest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is performance is related to learning achievement at utilization of system (.305), Word (.306), Communication(.263), Powerpoint.(.287) and Database(.286).(p<.05). It is related at utilization performance for work(.382) and graphic(.416) as well(P <.01). As a result,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is proved as an effect on web-based train at .358.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Stepwize's and Enter's regression analysis, utilization performance has the strongest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 Third, no connection was fou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with learning achievement in the web-based training. Based on the results above, additional suggestions could be made as below for following study: First, Other factors for learning achievement need to be studied, since this research shows that two facto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easurement of Teacher's Computer-Utilization Performance in the web-based training, have correlation about learning achievement. Secon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So, the study including students and company labors should be done for more objective results. Third, when web-based training program is designed, strategies to improve these two factors should be investigated. ;오늘날 정보통신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달은 우리 사회의 여러 분야를 급격하게 변화 시켰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는 이러한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처하며, 정보화 사회에 걸 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교육방 식을 취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 요구 시간과 교육 공급 시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 해 교육과 훈련의 주도적 역할을 학습자 스스로 해야 하며, 교육과 그 실행을 위한 단 계를 계획하는데 책임지는 것이 중요해졌다. 또한 정보통신 공학의 급격한 발달에 따른 정보활용능력의 중요성 역시 높아져 가고 있다.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능력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21세기의 새로운 교육방식으 로 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정보활용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곧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갈 수 없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제 학습자들에게는 보다 자율적이고 독립적으로 정보를 찾고 습득하여 소화해 이를 실제 과제나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즉, 현대사회를 살고 있는 모든 사람들은 끊임없이 학습해야 하는 평생학습자가 되어 야 하며, 정보시대의 혼란 속에서 살아남는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안으로 생각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한 가지로 자기주도학습이 제기 되고 있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학습이다. 효과적인 자기주도학습을 위해 학습자는 학습자가 속한 환경의 구조와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확인하고 난 후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게 되었을 때 교육의 효과성은 더 크게 나 타날 것이며, 특히 웹 기반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스스로의 학습 과정에 주 도권을 가지고 학습과정에 참여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Harrison, 1999). 그 동안 성인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 성향 및 향상 등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주제로 한 선행연구로는 미국의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Driscoll, 1988; Guglielmino & Guglielmino, 1988; Knowles, 1998)를 비롯하여, 국내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김지자, 1994; 유귀옥, 1997), 또는 국내 초등학생, 또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홍영표, 2002)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국내 성인학습자들 중 특정 대상으로 초·중등 교원들을 선택하여 웹 기반 훈련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교원정보활용능력과 학습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이들 요 인이 웹 기반 훈련에서의 학습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훈련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둘째, 웹 기반 훈련에서 교원정보활용능력과 학습성취도는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원정보활용능력은 학습성취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웹 기반 훈련을 실시하고 있는 T원격 교육연수원의 웹 기반 훈련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정하여 68명의 해당 프로그램 학습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3년 7월 14일부터 8월 31일 사이에 플래시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T원격교육연수원의 수강생으로 모든 학습과정과 설문에 참여한 68명 의 점수만을 최종 결과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구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사전검사로써 1977년 Guglielmino가 개발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지(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를 기본으로 하여 1996년 김지자외 연구진에 의해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도 구(SDLRS-K96)와 더불어 교원정보활용능력평가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검사를 위해 별도의 웹 페이지를 제작하여 학습 시작 전에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실시 후 7주간의 본격적인 학습 진행이 이루어졌으며, 학습성취도 점수 산정을 위해 지필 평가와 온라 인 평가가 학습 진행 도중 및 학습 종료 후 이루어졌다. 연구자료는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적용된 분석방법은 단 순상관분석 방법, Stepwise, Enter 방식의 회귀분석, 이원배치분산분석, 그리고 T-test 및 F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6 개의 요인 중 '자기이해(.297)'는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고, '배움에 대한 사랑(.328)'은 유의수준 .05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수준 .05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총합과 학습성취 도는 .253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를 통해 자기주도성은 학습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 요인 중 학습성취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 인지 알아보기 위해 Stepwise, Enter 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의 '배움 에 대한 사랑'과 '도전에 대한 개방성'이 학습성취도에 가장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웹 기반 학습에서 교원정보활용능력과 학습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원 들의 정보활용능력은 교원정보활용능력의 각 영역 중 '시스템에 대한 활용능력 (.305)', '워드프로세서에 대한 활용능력(.306)', '통신에 대한 활용능력(.263)', '파 워포인트에 대한 활용능력(.287)',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활용능력(.286)'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에 대한 활용능력 (.382)'과 더불어 '그래픽에 대한 활용능력(.416)'은 유의수준 .01에서 상관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수준 .05에서 교원정보활용능력 과 학습성취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358). 이를 통해 교원정보활용능력은 웹 기반 학습에서의 학습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웹 기반 학습에서 교원정보활용능력 중 학습성취도에 가장 중요한 영역이 무엇인 지 알아보기 위해 Stepwise, Enter 방식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래픽에 대한 활 용능력'과 '업무에 대한 활용능력'이 학습성취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웹 기반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및 교원정보활용능력은 학습성취도에 대 해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후속 연구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 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원정보활용능력 두 가지 변인이 학습성취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연구하였으나 그 이외에 어떠한 변 인들이 학습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초·중등교원으로 한정지었으나 그 대상을 학생, 기업 체 근로자 등으로 범위를 넓혀 보다 더 광범위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원정보활용능력 두 가지 변인이 학습성취도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됨에 따라,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 과정 설계시 이러한 자기주도학습 준비 도 및 교원정보활용능력의 각 요인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3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자기주도학습 = 7 1.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 7 2. 자기주도학습자로서의 성인학습자 = 12 3. 웹 기반 환경과 자기주도학습 = 16 B. 교원정보활용능력 평가 = 17 1. 교원정보활용능력평가 유형 및 내용 = 17 2. 교원정보활용능력 평가영역 = 19 3. 교원정보활용능력 수준 = 22 C. 교원원격연수 = 24 D. 관련선행연구 = 28 1. 자기주도학습 = 28 2. 웹 기반 훈련과 학습 성취도 = 30 Ⅲ. 연구 방법 = 33 A. 연구대상 및 교육과정 = 33 B. 연구 도구 = 37 C. 연구절차 = 41 D. 자료수집 및 분석 = 4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51 A. 일반적 결과 = 51 B.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63 C. 교원정보활용능력과 학습성취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66 D. 학습성취도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원정보활용능력의 상호작용 효과 = 69 Ⅴ. 결과 및 논의 = 71 참고문헌 = 75 부록 = 79 ABSTRACTS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18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교원정보활용능력에 따른 웹 기반 훈련의 학습성취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