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5 Download: 0

2∼4세 정상아동의 종성파열음 발달

Title
2∼4세 정상아동의 종성파열음 발달
Authors
이주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음소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종성발달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비하다. 종성발달은 시기와 순서뿐 아니라 낱말 내 위치나 연결자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이것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종성발달을 밝혀냄과 동시에 음운장애아동 중 특히 종성산출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을 치료할 때 규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연령에 따른 어말종성파열음의 발달 연령 및 순서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연령에 따른 어중종성파열음의 발달 연령 및 순서를 알아보는 것이다. 셋째, 낱말 내 위치(어말과 어중)에 따른 종성파열음의 발달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넷째, 조음위치가 서로 다른 연결자음들에 따른 어중종성파열음의 발달 연령, 순서 및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2-4세 정상 아동 90명으로 6개월 단위로 여섯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각 집단은 15명씩이었다. 검사도구는 실험대상의 수용언어능력을 고려하였으며 종성파열음, 낱말 내 위치, 그리고 연결자음을 고려하여 12개 낱말을 선정하여 만들었다. 연구자가 아동과 대면하여 검사를 실시 및 전사하였고 녹음 및 녹화하였다. 자료는 SPSS(version 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연령에 따른 어말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 비교, 연령에 따른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 비교, 그리고 연령별 연결자음에 따른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 비교를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낱말 내 종성위치에 따른 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 비교를 위하여 비모수통계 중 McNemar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이 높아질수록 어말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가 증가하였다. (2) 연령이 높아질수록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가 증가하였다. (3) 어말 및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에 차이가 있었다. (4) 연령이 높아질수록 연결자음에 따른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가 증가하였다. 연결자음에 따라 어중종성파열음의 정반응아동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체로 어중종성파열음과 연결자음의 조음위치가 같을 때 정반응아동수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1) 어말종성파열음의 발달 순서는 /ㅂ/→/ㄱ/→/ㄷ/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어말종성파열음/ㅂ/이 2세 초반에 발달하여 다른 종성파열음에 비해 빨리 발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어중종성파열음의 발달 순서도 /ㅂ/→/ㄱ/→/ㄷ/이라고 할 수 있다. 어중종성파열음은 2세 후반에 급격히 발달하고 이후 서서히 숙달된다. (3) 종성파열음은 어중위치보다 어말위치에서 먼저 발달된다. (4) 연령이 높아질수록 어중종성파열음이 발달되고 어중종성파열음과 연결자음의 조음위치가 같은 경우 먼저 발달된다. 위의 결과들은 정상아동의 종성파열음 발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음운장애아동의 치료 시 규준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Un- released consonants. Eighty nine subjects aged 2-4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lve picture cards were used to elicit the children's productions of unreleased consonants, [k ¬], [t ¬], and [p ¬]. All the test procedures were video tape-recorded and the responses of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y two examiner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velopmental sequential order of the unreleased con- sonants in word final syllable final position were found to be [p ¬], [k ¬], and [t ¬]; (2)The developmental sequential order of the unreleased consonants in word medial syllable final position were found to be [p ¬], [k ¬], and [t ¬]; (3) The unreleased consonants were acquireded first in word final syllable final position than in word medial syllable final position. (4) The unreleased consonants in word medial syllable final position were developed progressive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ages and were developed lately as the target sounds were far from the plosives([k'], [t'], and [p']) following final consonants in place of artic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