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서울시 초등학교 홈페이지 평가 결과에 따른 사용자 활용도와 만족도 비교

Title
서울시 초등학교 홈페이지 평가 결과에 따른 사용자 활용도와 만족도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User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Toward the Homepage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Based on Expert Evaluations
Authors
이현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맞는 인재 양성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사회적 인식에 따라, 국가는 초중등 학교의 교육정보화에 과감한 투자를 하고 있다(한국전산원, 2005). 교육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학교가 홈페이지를 구축했지만, 학교 홍보에만 단순하게 사용하거나 관리가 소홀해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정미진, 2003).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 홈페이지의 질적 향상과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현재 상황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는 홈페이지 평가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페이지의 평가 요소로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을, 홈페이지의 활용 변수로 활용도와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전문가 3인이 각각 표집된 20개의 학교 홈페이지를 모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에 따라 평가 요소별로 선정된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홈페이지 사용자인 학생들에게 각각 자신의 학교 홈페이지에 대한 활용도와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소를 밝혀,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학교 홈페이지 모습을 제안하고 학교 홈페이지의 평가에 관한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홈페이지 평가 결과에 따라 평가 요소별로 선정된 상위 및 하위 3개교의 홈페이지 활용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1-1. 접근 및 이용 편의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활용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1-2. 정보 제공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활용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1-3. 정보 최신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활용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1-4. 상호작용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활용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학교 홈페이지 평가 결과에 따라 평가 요소별로 선정된 상위 및 하위 3개교의 홈페이지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1. 접근 및 이용 편의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2. 정보 제공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3. 정보 최신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4. 상호작용성의 평가 결과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2006년 9월부터 11월까지 전문가 3인에 의한 홈페이지 평가와 선정된 학교 6학년 학생들의 홈페이지에 관한 활용도와 만족도 설문 조사가 실시되었다. 홈페이지 평가는 서울시 소재 단순무선표집된 20개의 초등학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전문가 3인이 모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평가 요소별로 평가 점수가 상위인 3개 학교와 하위인 3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학교 홈페이지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정된 학교의 6학년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는 총 555부였다. 특히 전문가들이 홈페이지를 평가하기 전, 전문가 3인이 서로 일관되게 채점을 해야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기 때문에 Kendall의 W 검증(Kendal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 분석은 전문가 3인에게 의뢰한 홈페이지의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및 하위 학교군의 홈페이지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세부적으로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 4개의 평가 요소별 상위 및 하위 학교군 홈페이지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두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 따른 상위 및 하위 학교군의 활용도에 차이가 있었다. 각 평가 요소별로 활용도의 평균치를 비교하여 보면, 상위 학교군은 높고, 하위 학교군은 낮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먼저 접근 및 이용 편의성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활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334) = 29.05,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58), 하위 학교군((M = 2.00)으로 나타났다. 정보 제공성 평가 결과에서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활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362) = 26.99,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52), 하위 학교군(M = 2.00)이었다. 정보 최신성 평가 결과에서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활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349) = 31.25,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58), 하위 학교군(M = 1.94)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에서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활용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390) = 41.21,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58), 하위 학교군(M = 1.74)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를 높인다면 활용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즉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은 활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학생의 홈페이지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접근 및 이용 편의성,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겠다. 둘째,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접근 및 이용 편의성 평가 결과에 따른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먼저 접근 및 이용 편의성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414) = 1.35,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41), 하위 학교군은 (M = 3.34)으로 그 차가 .07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아니다. 따라서 접근 및 이용 편의성 결과는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보 제공성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416) = 22.64,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은 (M = 3.58), 하위 학교군(M = 2.33)으로 나타났다. 정보 최신성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418) = 3.54,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M = 3.43), 하위 학교군(M = 3.19)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에 따른 상위 학교군과 하위 학교군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414) = 32.18, p < .01.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 학교군(M = 3.53), 하위 학교군(M = 1.49)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 평가 결과를 높인다면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즉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이지만, 접근 및 이용 편의성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요소이다. 특히 상호작용성의 경우 평균의 차이가 2.04로 다른 요소에 비해 매우 커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학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정보 제공성, 정보 최신성, 상호작용성이 향상되도록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겠다. 이상에서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 홈페이지 사용자들의 활용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평가 요소가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활용도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평가 요소를 밝혀내어, 그에 따라 학교 홈페이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 홈페이지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평가 요소의 개발과 동시에 요소별 가중치 설정을 포함한 전문적인 평가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여러 가지 목적으로 학교 홈페이지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 중심의 활용 변수들을 밝혀내고 그 변수들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social realization that the competent person training harmonized with the 21th century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connecting to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directly, the country is making bold investment to the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2005). Most schools constructed the homepages as part of the educational informationalization projects, but they are used in school's public information simply or they are negligent and allowed occasion (Mijin-Jeong, 2003). At this time, the homepage evaluation study able to grasp the problems and the improvements about present circumstance is very important to the qualitative elevation and the active utilization of school-homepages. Therefore, in this paper,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Interaction' were established as the homepage evaluation elements and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ere established as the homepage user variable. The selected 20 school-homepages were evaluated by 3 specialists and they were separated as high and low school groups as the result by the evaluation elements. And then, they were testifi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group users (students) in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ir school-homepages by the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is, this paper cleared the evaluation elements affecting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And not only this paper suggested the school-homepage style that could raise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but also tried to seek the improvement for the school-homepage evaluation. Specific researching subjects by such study purpose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the homepage utilization of 3 high and 3 low rank schools selected by evaluation result classified by school- homepage evaluation element?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utilization by evaluation result o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 1-2.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utiliza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offer ? 1-3.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utiliza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up-to-dateness? 1-4.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utiliza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teraction ? 2.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the homepage satisfaction of 3 high and 3 low rank schools selected by evaluation result classified by school- homepage evaluation element?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satisfaction by evaluation result o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satisfac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offer ? 2-3.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satisfac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up-to-dateness ? 2-4. Are there any differences to satisfaction by evaluation result of interaction ? To verify such subject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executed to the 6th grade students of the selected schools together with the homepages evaluation by 3 specialist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6. The 20 elementary school-homepages which were selected by simple on-line sampling in Seoul City were evaluation by 3 specialists. As a result, 3 high and 3 low rank schools in each evaluation element were chosen. To search the homepage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was executed to the selected 6th grade students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555 total. Specially, Kendall's W Verificaiton (Kendal Test) was executed, because 3 specialists should mark consistently each other before evaluation in order to be trusted their evaluation results. In order to analyze this research results, two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executed to search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to homepage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based on the homepage evaluation result of committing to the 3 specialists.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homepages were analyzed by two independent sample t-Test by 4 evaluation elements o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in detail. This research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utilization was exposed differences based on evaluation result in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Each evaluation element was shown that high rank school group's utilization average point appeared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satisfaction average point appeared low. Thi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Primarily, the utiliza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of evaluation result in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was shown significant statistically ( t(334) = 29.05, p < .01). If the average difference was examined, it was appeared as high rank school group M = 3.58 and low M = 2.00. Therefore, i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utilization can be heighten.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utilization in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offer was shown significant statistically(t(362) = 26.99,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52 and low was shown M = 2.00. Therefore, if information offer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utilization can be heighten.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utilization in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up-to-dateness was shown significant statistically (t(349) = 31.25,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58 and low was shown M = 1.94. Therefore, if information up-to-dateness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utilization can be heighten. Hight and low rank school groups' utilization in evaluation result of interaction was shown significant statistically ( t(390) = 41.21,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58 and low was shown M = 1.74. Therefore, if interaction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utilization can be heighten. If we synthesize the above results, we can know that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are elements to effect the positive influence to the utilization. Therefore, the homepages should be constructed and operated to be able to heighten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so that we can heighten the student's utilization. Second, student's satisfaction based on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was shown difference, but satisfaction based on evaluation result o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was shown no difference. Primarily,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in evaluation result of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was shown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414) = 1.35,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41 and low was shown M = 3.34, so the difference .07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refore, access and usage convenience evaluation result can be regarded that it does not effec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in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offer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416) = 22.64,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M = 3.58 and low was shown M = 2.33. Therefore, if information offer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satisfaction can be heighten.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in evaluation result of information up-to-dateness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418) = 3.54,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43 and low was shown M = 3.19. Therefore, if information up-to-dateness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satisfaction can be heighten. Satisfaction of high and low rank school groups in evaluation result of interaction w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t(414) = 32.18, p < .01). Whe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researched, high rank school group was shown M = 3.53 and low was shown M = 1.49. Therefore, if interaction evaluation result is heighten, we can say that satisfaction can be heighten. If we synthesize the above results, we can know that information offer,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are elements to effect the positive influence to satisfaction, but access and utilizable convenience is not element to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interaction, the difference of average was shown too large (2.04) than other elements, so we can know that interaction is the element to have the mos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he homepages should be constructed and operated to be able to heighten information, information up-to-dateness and interaction so that we can heighten the student's satisfaction. This study wishes to do the following offers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First,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valuation elements to effect school-homepage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not only more specific evaluation elements should be revealed to heighten user'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but also the strategy to activate school-homepage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Second, not only objective and normalized evaluation elements to evaluate school-homepages should be developed, but also specialized evaluation model including weight establishment by element should be developed. Third, school-homepage is used by various purposes. Therefore, user-centered homepage utilization variable should be revealed variously and also the evaluation study which can measure the variable should be achieved.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