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 조사연구

Title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참여자의 인식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urvey Research on Participant perception related to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 : Focused on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Authors
송화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Keywords
인터넷교육방송참여자교육공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cutting -edge information engineering is getting human beings together and leads to formation of human network through the combination of multimedia and internet. The 21st century advances in technology realizes desire for human knowledge changing from demand-side educations to supply- side educations. One of the most innovative masterpiece by internet is internet broadcasting. Bill Gates said its appearance is much more of an epoch-making event than the discovery of computer. With the limits in one-way communications and synchronous environments overcome, the multi-channelled, multi-programmed learner-centered approach is made available. Internet broadcasting as a new paradigm for educational technology is on the horizon. This study evaluated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s, interview with the instructors in charge. The following issues were researched for this thesis. 1. What is the satisfaction degree of learners with the courses? 2, What is the viewpoint of instructors in charge about its effectiveness, advantage and disadvantage? Data from semantic differential scales, and Likert-type item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eight areas. With the results that the learner was satisfied with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ld we expect its activation. Comparing dimensional results from the questionnaire on the 5-point scale, the section for the overall assessment from the learner was much higher than any others at 4.11 and the lowest "support service environment" was shown above average at 3.42. We could capture the satisfaction elements per area, which help pave the way to a learning media, furthermore to a learning progress. High satisfaction degree of learning support function, screen design, and interface strategy made an overall average relatively high. We did the interviews with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instructors regarding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s and the results were follows.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were follows.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was chosen as a primary factor highly assessed in terms of learning effectiveness. Besides there were the learning facilitations free from time and repetitions, access facility in the computer-mediated environment, and positive participations to learning. The flexibility of learning opportunities was analyzed to one of the leading advantages and was followed by a wide variety of learning subjects and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problems of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were follows. Category for investing time to management of learners showed that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time-investing by learners was impossible without voluntary support and endeavor by instructors. It was indicated as a lack of basic P.C. knowledge and on-line environmental support, as well as practical technology problems. A problem of certification of study asked for our educational reviews and feasibility study of its contents. As requirements for internet broadcasting progress were concept-establishing, teaching basic computer knowledges, promoting relationships with other learners, referring to other curriculum relate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broadcasting stations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resources sharing, and case study of similar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s. Learning facilitations were considered to be rather a strong point, which were offered through media-changing by the existing broadcasting and shown to be effectiveness to accept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d on the research above, several findings can be discussed.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and discuss an authentication in all learner's aspects. It is consider learner's telecommunication engineering environments. It is important to design a good screen for the students, too. Next, it is essential to provide an output of continued Courseware development research of multimedia effect for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Finally, it is need to provide an interaction, feedback, and continued management in internet educational broadcasting course to effectiveness of class. The followings are further research knowledge. There is a strong need to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strategy. It is essential to research in a need analysis of learner. too.;첨단 정보공학의 발달은 인간을 하나의 세계안에서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결합과 함께 인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21세기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인간의 지식에 대한 욕구를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체계로 다시 실현시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이 이뤄낸 혁명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걸작은 인터넷 방송이다. 빌게이츠는 인터넷 방송의 출현이 컴퓨터의 발명보다도 더 획기적이라고 말한바 있다. 새로운 인터넷의 출현은 인터넷 기반 강좌와 인터넷 방송, 그리고 인터넷 교육방송의 출현과 더불어 교육공학의 또 다른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교육방송이 교수매체로서 학습자들의 만족정도와 담당강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개발과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루어질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 기반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2. 인터넷 기반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담당강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하여 학습자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와 담당강사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넷 방송 및 인터넷 교육방송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우선 학습자에게 인터넷 교육방송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수업 지원환경, 인터넷 기반 교육방송 수업 태도, 교수설계전략, 학습내용 제시 전략, 화면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전략, 학습지원 기능, 운영자및 사이버 조교지원,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한 종합평가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담당강사에게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미리 작성하여 인터넷 교육방송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Likert의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설문지의 세부 영역별로 평균 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담당강사의 응답내용을 분석하고 항목별 빈도를 산출하였다. 조사된 학습자의 만족도와 담당 강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 8개 영역 대부분이 학습자의 만족도가 평균이상이 된다. 영역별로 보면 학습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학습량, 진도,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도 평균이 높았다. 또한 학습진도 및 학습상황의 저장과 확인, 이 부분도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사용자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이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주는 장점이기도 하다. 교수설계전략 영역에서도 학습내용이 도움이 되었다는 항목도 만족도에 있어서 평균보다 높았다. 학습내용 제시전략에서도 본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사용한 이미지, 그래픽자료는 학습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응답 결과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터넷 교육방송의 학습지원 기능과 화면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전략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이상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이는 강좌 전반에 관하여 종합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다는 결과는 앞으로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의 활성화가 예고되는 것이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관한 영역별 요소는 학습자의 만족도 요소를 파악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교육방송강좌가 학습매체로서, 일종의 학습과정으로서 평가받게 되는 결과를 기대한다. 인터넷 교육방송 담당 강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관해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인터넷 교육방송의 학습 효과적인 측면에서 가장 높은 응답은 '광범위한 교육 가능성'으로,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교육의 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는 교육기회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효과로서 나타났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의 장점으로는 '학습기회의 융통성'범주가 가장 높은 응답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의 편리성'의 범주가 비교적 높은 범주로 분석되었고, '폭넓은 다양한 학습의 선택', '학습자와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범주로 나타났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학습자 관리의 시간적 투입'범주는 학습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시간적투입이 교수자의 자발적 의지와 노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보여준다. '기초 컴퓨터 교육 부족', '학습자 컴퓨터 통신 환경 지원 부족'과 '현실적 기술문제' 범주로 지적되었다. '수강 인증 문제'도 교육적 안목에서의 검토와 내용 타당성에 대한 제도적 보장과 수강 인증에 관한 측면이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의 진행에 필요한 사항은 '인터넷 교육방송의 개념확립의 필요성'과 '기본적 컴퓨터 소양 교육의 필요성', '다른 학습자료와의 연관성', '유사한 다른 강좌의 강의 목록 참조', '인터넷 교육 방송업체들의 현황과 상세한 교육 형태', '자유로운 정보 필요성', '유사한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연구'의 범주로 분석할 수 있다.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에 대한 견해로 시·공을 초월하여 강좌를 들을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빈도수로 나타났고, '기존의 방송이 미디어를 바꾸어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고,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는 효과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인터넷 교육방송은 기존의 방송사만큼 많은 제작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든지 제작과 방송국을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작이나 인증면에서 교육적인 안목으로 검토와 논의가 중요하다. 학습자 측면에서, 인터넷 교육방송의 원할한 통신 환경과 컴퓨터 시스템의 확립이 선행 되어야 하는 점도 고려하여, 시각적인 안목으로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도록 심미안 적으로 고려된 스크린 디자인이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 교육방송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충분히 활용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학습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와 웹의 기능을 통합하여 멀티미디어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송의 특성을 살린 전문적인 코스웨어 개발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인터넷 교육방송 강좌가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매체로서 학습자에게 공급되고 활용되기 위해 학습자 대상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터넷 방송의 기술적 측면이 지속적으로 개발·추가되고 있어, 이에 따라 인터넷 교육방송도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교수 설계 모형연구와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