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소진-
dc.creator강소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005-
dc.description.abstract의사소통을 口語로 표현할 수 없는 중증 뇌성마비아들은 의사소통 상호 작용에 있어서 수동적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사회적, 정서적, 지적 발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 하고자 비구어 중증 뇌성마비아에게 컴퓨터를 보완·대체 의사소통(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체계에 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중증 뇌성마비아에게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유형으로 그림 의사소통판과 컴퓨터를 각각 사용하도록 하였을 때, 아동의 의사소통 정도의 차이와 아동에 대한 교사의 수용적 의사소통 정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므로써,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체계에 있어서 구어를 사용하지 못하는 중증 뇌성마비 아동들에게 의사소통 도구로 컴퓨터가 중증 뇌성마비 아동의 의사소통과 아동과 교사간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초등부에 재학하고 있는 중증 뇌성마비아 중 구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학생 3명과 담임 교사 3명으로 하였다. 아동의 의사소통 정도는 사회과 수업 시간에 아동이 AAC를 사용한 회수로 측정 하였고, 교사의 수용적 의사소통 정도는 수용적 의사 소통을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나타낸 관찰 목록표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대상 아동과 대상 교사를 개별 수업을 제외한 사회과 수업 시간에 캠코더 촬영을 통해 본 연구자와 특수 교육을 전공한 교사 2명이 비디오 테이프로 녹음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때 각각의 아동이 교실 수업에 사용하는 의사소통 도구로써 사용한 컴퓨터 AAC를 40분씩 5회, 그림 의사소통판을 40분씩 5회, 컴퓨터 AAC를 40분씩 5회 관찰하였다. 이때 한 아동과 담임 교사당 총 관찰 회수는 15회, 시간은 10시간 이었다. 또한 호기심에 의한 사용의 통제를 위해 관찰 전에 사용하는 방법을 3일 3회 실시하고 관찰 이외의 수업에도 3일 3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구어 중증 뇌성마비아동에게는 컴퓨터 AAC가 그림 의사소통판에 비하여 아동의 의사소통에 더 많이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비구어 중증 뇌성마비아동을 지도하는 교사에게는 컴퓨터 AAC가 그림 의사소통판에 비하여 더 많은 수용적 의사소통의 빈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AAC 도구로 사용된 그림 의사소통판과 컴퓨터 AAC의 가장 큰 차이는 컴퓨터 AAC에는 VOCA(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s)적 요소가 장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VOCA적 요소가 장착된 컴퓨터가 그림 의사소통판에 비하여 아동의 의사소통에 효과적으로 사용한 사실에 근거하여 볼 때, VOCA적 기능이 수업 상황에서 비구어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을 능동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컴퓨터 AAC 사용이 교사의 수용적 의사소통 사용에 효과를 나타낸 사실로 볼 때, 수업 상황에서 VOCA 기능은 아동과 교사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과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와의 상호 작용에 필요한 AAC 체계는 컴퓨터의 기능 중 하나인 VOCA적 요소의 적극적 활용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AAC computer. The object were three elementary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who cannot speak and their teachers. The frequency of the student's communication wa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augmentative communication which he/she used.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was analysed by using check list based on Jong-hun Pasrk University of Gae-Myu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was used for 40 minutes of class time for five times. AAC computer was used as same quantity as picture communication board. Therefore, each student and his/her teacher were objected by 15 times for 10 hour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following : 1. When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ied child who cannot speak used picture communication board or computer in VOCA as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computer AAC was more effective than picture communication board. 2. Computer AAC was also more effective on acceptant communication of the teacher.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using picture communication board and computer AAC was that computer AAC had the element of VOCA. As the result, VOCA's function of AAC computer made the nonspeaking student with svere cerebral palsied child more active to communicate. At the same time, this element facilitated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ⅹ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중증 뇌성마비아 의사소통의 특성 = 6 B. 의사소통과 교수 - 학습 = 10 C.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개관 = 13 D.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유형 = 18 E.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교수 방법과 AAC 중재에 있어서의 교사의 역할 = 24 F. 의사소통 기능면에서 컴퓨터 AAC 사용에 관한 연구 = 29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1 A. 연구 대상 = 31 B. 연구 도구 = 36 C. 연구 절차 = 41 D. 실험 설계 = 43 Ⅳ. 연구 결과 = 45 A. AAC 도구로 그림 의사소통판과 컴퓨터를 사용할때, 아동의 의사소통 정도의 비교 = 45 B. AAC 도구로 그림 의사소통판과 컴퓨터를 사용할 때, 아동에 대한 교사의 수용적 의사소통 비교 = 58 Ⅴ. 논의 및 제언 = 77 A. 논의 = 77 B. 연구의 제한점 = 82 C. 제언 = 82 참고문헌 = 84 부록 = 91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36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컴퓨터-
dc.subject보완-
dc.subject뇌성마비아-
dc.subject아동-
dc.title컴퓨터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사용이 중증 뇌성마비아의 의사소통 빈도와 아동에 대한 교사의 수용적의사소통 빈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mpute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ON THE COMMUNICATION OF SEVERE CEREBRAL PALSIED CHILDREN AND ACCEPTANT COMMUNICATION OF TEACHER-
dc.format.pagexii, 9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