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2 Download: 0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Title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Self-efficancy, and the School Achievement
Authors
배정숙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자아개념자기효능감학업성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적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의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의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그 각각의 하위 요인들의 점수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의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그 각각의 하위 요인과 학업 성적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의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그 각각의 하위 요인들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영등포에 위치한 중학교 2, 3학년 학생 286명의 질문지에 대한 반응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척도로는 자아개념 검사는 송인섭(1989)의 자아개념 특성 척도를, 자기효능감 검사는 김아영, 차정은(1996)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수정한 김아영(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1.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그 각각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점수의 평균을 분석한 결과, 자아개념 총점(M=2.74)이 자기효능감 총점(M=2.53)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가족 자아개념(M=3.11), 정체 자아개념(M=2.74), 정서 자아개념(M=2.72)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자기 자신에 대해 전반적으로 가지는 감정, 태도, 가치 등이 어떤 과업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자기 능력에 대한 판단보다 높음을 의미하며, 가족의 평가를 통해 형성되는 나에 대한 지각 정도와 자신이 갖고 있는 자신의 모습과 성격에 대한 지각정도, 정서적 반응, 이상성, 도덕성, 성격에 관한 지각정도는 중간점이상의 비교적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중 과제난이도선호(M=2.35)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는 수행상황에 임해서 목표를 선택하고 설정할 때 과제의 난이도가 높은 것보다는 낮은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많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2.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과 성적과의 상판은 .40, .26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좋은 성적과도 연관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자아개념 및 자기효능감간에 어느정도 정적상관(r= .67)을 보임으로서 두 개념이 서로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다. 3.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및 그 각각의 하위 요인들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학문자아개념, 정체자아개념, 신체자아개념에서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고 있으며, 자기효능감에서는 어떤 하위요인도 학업성적을 의미있게 예측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김아영(1997)의 자기효능감 척도가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상황-특수적 또는 과제-특수적인 성격을 띄는 학업성적은 그것을 잘 설명해 주지 못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은 이때가 사춘기의 시기이므로 특히, 자신의 신체지각 및 자기정체성의 확립과 관련되는 신체자아개념 및 정체자아개념이 학문자아개념과 더불어 학업 성적을 의미있게 예측해 준다는 사실은 우리의 교육 현장에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the school grades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In order to reach this objective, theories o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and based upon this examination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are differences found among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their respectively sub-factors between the regular-class group and the disable-class group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grades, and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their respectively sub-factors between the regular-class group and the disable-class group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Third, how are the school grades of the regular-class group and the disable-class group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affected by self-efficacy, and their respectively sub-factors? For this study, 286 regular-class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Youngdeungpo in Seoul, and 58 disable-class students from all of Seoul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methods of measurement used were the special Self-concept Index by In-Seop Song(1989) for the self-concept test, and the regular Self-Efficacy Index Ah-young Kim and Jeong-Eun Cha(1996) for the self-efficacy test. The results obtained and their explanation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reasonable difference between the regular-class and the disable-class group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and family self-concept, educational self-concept and emotional self-concept. Equally, there is also a reason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and difficult-assignment preferences. 2. For the regular-class group, the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showed normal correlation Of 0.40, and 0.26 respectively, with school grade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as 0.66. This explains that having an optimistic view on oneself is connected to obtaining good grades. On the other hand, for the disable-class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as 0.48,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school grades. This indicates that the poor progress in school studies of the disable-class group is due to factors other tha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Nevertheles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om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an self-efficacy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class group. 3. The effect of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their respectively sub-factors on school achievement was that for regular-class group sub-factors of self-concept educational self-concept, identity self-concept, physical self-concept have an explicable influence on school achievement, while on the other hand, for the disable-class group the same factors cannot give any. prediction about school achievement. The study □□□□□□ shows that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identity self-concep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grade and the third-grade middle-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own physical bodies and self-identity, in addition to education self-concept, can give a reliable prediction about their school grad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