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현주-
dc.creator오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4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0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4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017-
dc.description.abstract고온성 방선균을 분리하여 동정하고 그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당화형 α-amylase를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고온성 방선균의 분리는 서울, 정기 일원의 퇴비를 채취해서 소량을 멸균 생리 식염수에 현탁하고 중성 배지(pH 7.0)에 접종하여 55℃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액체 배지(pH 7.0)에 접종하여 50℃에서 3일간 배양한 후 amylase 활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별하였다. 이 균주의 형태적 배양학적 생리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Thermomonospora속으로 추정하였다. Amylase 생성은 중성 액체 배지에서 48℃, 60시간 진탕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았다. 이 amylase를 ammonium sulfate 침전,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G-100 gel filtration을 통해 정제하였고 회수율은 19.4%였다.또한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을 하여 분자랑을 측정한 결과는 51,000으로 나타났다. 정제 효소에 의한 전분과 amylose azure의 가수분해 산물을 Thin-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것과 Iodine-staining power 측정을 종합하여 본 결과 균주7-1이 생성하는 amylase는 당화형 α-amylas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당화형 α-amylase의 전분에 대한 ㎞치는 6.25㎎/㎖이었고 최적 pH는 6이었으며 pH 5~9사이에서 안정하였고, 최적 온도는 50℃였으며 55℃에서 1시간 안정하였고 CaCl_(2) 첨가시에서 60℃까지 안정하였다. 이 효소는 또한 Li^(+), Ca^(2+), Mg^(2+), Ba^(2+)에 의해서는 효소 활성이 촉진되었고 Hg^(2+), Pb^(2+), Cu^(2+), Ag^(+) 의해서는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EDTA를 제외한 다양한 범위의 detergent에 대해서 안정하였다.;The saccharifying α-amylase produced by Themzomonospora sp . (No. 7-1) isolated from composts was purified, and its enzymat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cubation in neutral media with shaking at 48℃ for 60 hours gave optimal cultur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The amylase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hadex G-100 gel filtration serially. The enzyme was purified to homogeneity and its yield was 19.4%. The molecular weight was estimated by SDS polyacryiamide gel electrophoresis to be 51,000. The purified enzyme was confirmed to be saccharifying α-amylase b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iodine staining power measurement with hydrolytic product of starch and amylase azure. Characteristics of purified α-amylase were as follows ; Km value was 6.25 mg/ml Optimal pH and temperature were 6.0 and 50℃. The enzyme was stable in the range of pH 5.0 to 9.0. It was stable for 1 hour at 55℃, with CaCl_(2) up to 60℃. When Li^(+), Ca^(2+), Mg^(2+), Ba^(2+) were treated, the enzymatic activity was increased, while with Hg^(2+), Pb^(2+), Cu^(2+), Ag^(+) it was decrea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4 1. 고온성 방선균의 분리 = 4 2. 배지 조성 = 4 3. 균주 선정 = 5 4. 균주의 동정 = 5 (1) 형태적 특징 = 5 (2) 생리적 특징 = 6 5. Amylase 효소의 생성 = 7 (1) 조효소 용액 = 7 (2) Amylase 활성측정 = 7 6. 단백질의 농도 측정법 = 9 7. 분자량 측정 = 9 8. 효소의 정제 = 11 (1) Ammonium sulfate 침전 = 11 (2) 투석 (Dialysis) = 11 (3)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 = 11 (4)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 = 12 9. Amylase의 확인 = 12 (1) Iodine- staining power 측정 = 12 (2) 당의 T.L.C. 분석 = 13 Ⅲ. 실험결과 및 고찰 = 14 1. 고온성 방선균의 분리 및 선정 = 14 2. 선정된 균주의 동정 = 15 3. 균주7-1의 amylase생성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 16 (1) 온도의 영향 = 16 (2) pH의 영향 = 16 (3) 배양시간에 의한 영향 = 16 4. Amylas의 정제 = 16 5. 정제된 효소의 균질성 및 분자량 측정 = 21 6. α-Amylase의 확인 = 26 (1) Iodine staining power의 감소 = 26 (2) 분해산물의 확인 및 분석 = 26 7. α- amylase 의 성질 = 29 (1) 반응속도에 미치는 기질의 영향 = 29 (2) 효소의 최적 pH = 31 (3) 효소의 최적 온도 = 33 (4) 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 33 (5) 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 36 (6) 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Ca^(2+)이온의 영향 = 36 (7) 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metal ion의 영향 = 36 (8) 효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chemical reagent의 영향 = 39 Ⅳ. 결론 = 40 참고문헌 = 41 도판설명 및 도판 = 47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2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Thermomonospora sp. 균주(NO.7-1)-
dc.subject당화형-
dc.subjectα-amylase-
dc.subject정제-
dc.titleThermomonospora sp. 균주(NO.7-1)가 생산하는 당화형 α-amylase의 정제와 그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CCHARIFYING α-AMYLASE FROM Thermomonospora SP. NO.7-1-
dc.format.page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