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한(漢)과 고구려무용의 비교 연구

Title
한(漢)과 고구려무용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ancing of Han(漢) and Ko-gu-ryo(高句麗)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고구려무용유물고분벽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ccording to the recent tendency of the dancing historiography that would reevaluate the history of Korean Dancing within the international context of East Asian countries, this study makes it its purpose to more profoundly understand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ing in China rmd Korea by means of a comparative study of the art of dancing in the ancient dynasties of both countries, Han(漢) and Ko-gu-ryo(高句麗). In comparing the are of dancing in both dynasties the author put more emphasis upon the historical as well as cultural background of then rather than the particular poses or individual skills of dancing. That is to say, the study has been done on a macroscopic level rather than a microscopic one. Han and Ko-gu-ryo have some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First of all both of them had built the first most powerful nation that had ever existed in their countries, and secured a vast territory widely spreaded over their original land, establishing foreign colonial area by annexing neighbouring countries or tribes beyond their boundaries. And in the ancient East Asia there had been "the tributary system" between the weaklings which was especially tr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her neighbouring countries, according to which the adjoining countries near China should have the obligation to pay the tribute(朝貢) regularly to the Chinese empire which had been believed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中') by the Chinese people. Therefore it seems to be out of doubt that the Han dynasty had no less influence upon the countries near it. Ko-gu-ryo is one of them which was influenced by Han. In the area of the arts as well as in the political, legal and other institutional ones the Han's culture came into Ko-gu-ryo. The dancing of Han is characterized as an art form accompanying with other artistic skill in the feast. Most of the Chinese dancing in this period can be found in the drawings depicting a feast or party of either in the emperor's garden or in the individual squares. It's because the Han dynasty encouraged such kind of feast-like activities as those held in publicly or privately. It is a sort of cultural pattern which on the one hand signified the prosperity of her not only to their subject but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and on the other hand assured her people that the dynasty had such prosperity and wealth as to enjoy the amusement. During the feasts all kinds of are such as dancing, acrobatics, magic, arts, tumbling, and the like were performed in the outdoor squares. This was called as 'Ge Wu Bai Xi(歌 舞百 )'. This form of performance took on the international character by having contact with the Western regions to which the emperor Wu-ti(武帝) sent out a general, Chang-Ch'ien(張衡) and he returned Chima with a report which must have stirred the public imagination as did the travels of Marco Polo. In assorbing their culture especially the Western acrobatics coming to China by way of the new trade road called 'silk road' Ge Wu Bai Xi made a merged product of the traditional Chinese dancing and the Western one. Meanwhile unlike the Ge Wu Bai Xi in China Ko-gu-ryo developed a seemmingly very ritualistic and religious dancing as can be found in the wall paintings of the old tombs, which on the cone hand showed the prosperity and strength of the Ko-gu-ryo dynasty and on the other strong Buddhistic influences thought to be integrated into the folklore beliefs can be found there at large. And dancing was found accompanying the funeral processions or relating with some Buddhistic rituals in the wall paintings. Accordingly in the case of Ko-gu-ryo, dancing and acrobatics were separately performed, whereas in Han both of them were played at the same place. Ko-gu-ryo's dancing for the most part is found to be related with some rites or religions as we see them in the wall paintings, and the acrobatics of her can be found in the course of 'a Procession'. And it can be known that both Han and Ko-gu-ryo used a long sleeve in dancing, which seems to reveal the fact that the dancing of Han had some influence on the forms of Ko-gu-ryo's dancing to some degree. However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e research, Ko-gu-ryo seems to have reliquished that kind of entertainment and amusement discovered in Han's dancing and instead developed either a ritualistic or a lively dancing to dance with a ribon(建舞). It shows that even though Ko-gu-ryo was geographically located near Han, she made her own original dancing greatly different from that of Han. Moreover there remain some evidences that Ko-gu-ryo had some direct contacts with the Western regions. The thesis is composed of six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I made it clear why I set out a comparative study of the dancing of Han and Ko-gu-ryo. And in chapter 2 the historical relations between them were discussed, especially focusing on the tributary system in the ancient East Asia. In chapter 3 I dealt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Han's dancing and discussed the feature of Han's dancing. In the case of the dancing of Ko-gu-ryo the chapter is divided with the tomb with acrobatics and the tomb with dancing due to the paucity of rich remains except the wall paintings of tomb in Ko-gu-ryo. In chpter 5 I made a genera comparison of the Han and Ko-gu-ryo. And as a conclusive remark in the last chapter I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dancing of Han and Ko-gu-ryo, mentioning some of the problems to be overcome in the way of research and proposed some of the topics that we should study more deeply in the next step.;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역사를 주변 국가들과의 영향 관계 안에서 재조명하려는 최근의 무용학계의 경향에 파라, 고분 벽화를 통해 우리에게 당시의 뛰어난 무용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고구려 시대의 무용을 이웃하고 있는 중국 한나라의 무용과 비교함으로써 각 나라의 독특한 무용 형태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과 고구려는 각 나라의 역사속에서 최초로 가장 강력한 국가를 형성하였으며 엄청난 정복력으로 주위의 소국을 병합,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두 나라의 관계는 당시 역사적으로 면저 강력한 제국을 형성하고 있었던 한이 조공(朝貢)이라는 정치적인 관계 속에서 고구려와 문화적인 교류를 하였음이 문헌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고구려는 당시에 문화적으로 보다 국제적인 교류를 하였음이 문헌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고구려는 당시에 문화적으로 보다 국제적인 성격을 띠고 있던 한의 문화를 상호 교류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받아들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유물을 통해서 나타나는 한의 무용은 연회(宴會)장면 안에서 많이 보여지고 있다. 그 이유는 한이 제국을 형성하면서 주위 나라와 정치적인 관계를 맺는 가운데 자국의 번영을 상징하고 대내적으로도 안정되고 부유한 문화를 즐기는 대표적인 문화 형태로 연회를 활성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러한 연회의 양상은 한의 영토가 확대되고 그 세력이 서역에까지 미침에 따라 주위 국가들의 문화 형태가 혼합되는 국제적인 성격의 문화가 만들어지면서 가무백희(歌舞百戱)라는 종합적인 공연 형태로 나타났다. 그것은 무용과 잡기가 한데 어우러져 공연되는 것으로 이러한 모습은 각각의 형태에 영향을 미쳐 무용은 기예적인 면을 받아들이게 되고 잡기 역시 무용의 극적인 면에 영향을 받았다. 이에 비해 고구려는 고분벽화의 내용이 당시의 강대하고 발전한 고구려의 사회상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무용 형태와 관련된 내용에 있어서 매우 의식적(儀式的)이거나 종교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그것은 민간 신앙을 통합하는 강력한 불교가 고분 벽화의 내용 전반에 상당히 많이 나타나는 가운데 당시의 장례풍속과 불교의식적인 내용과 관련된 화면(書面)안에 무용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의 무용이 무용과 잡기가 함께 연출되는 성격이었던 것과는 달리 고구려의 무용은 의식이나 종교에 관련된 화면 속에서, 잡기는 행렬도(行列圖)라는 사실적인 벽화 내용속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한과 고구려에는 동일하게 긴 소매를 사용한 무용 형태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한의 무용이 고구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그러나 구체적인 비교 결과, 고구려에서는 한의 유희(遊戱)적인 성격과 여성적인 부드러움이 사라진 의식적이고 활달한 건무(建舞)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것은 역사적으로 한의 문화에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었던 고구려였지만 한의 무용을 받아들임에 있어 외형적인 것에만 영향을 받고 자기화(自己化)시킨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구려 무용의 동작 중에서는 한 외에 서역의 영향도 상당히 많이 보여주는 예도 있다. 잡기의 경우 한은 서역의 환술과 잡기를 받아들임으로써 더욱 기교적이고 다양한 유형을 갖게 되었는데, 고구려에 있어서는 행렬 가운데에서 나타나는 잡기가 대부분이었다. 예외적인 경우는 장천 제1호분에 나타나는 '백희기악도(百戱伎樂圖)'가 있는데 유일하게 무용과 잡기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고구려의 종교관념 안에서 나타나는 축제적인 제사형태를 표현한 것으로 고구려 벽화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인 성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는 것 같다. 두 나라 무용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특징은 자연발생적인 성격을 지닌 무용의 근원적인 모습이 당시에 독특한 배경 아래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변모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두 나라 무용이 상당히 다른 성격으로 발전하게 되는 발판을 형성하게 한 것 같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