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조선전기 궁중정재의 유교정치사상에 관한연구

Title
조선전기 궁중정재의 유교정치사상에 관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fucian Political Thoughs of Court Dance-Music Early in the Yi Dynasty
Authors
성윤선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조선전기궁중정재유교정치사상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Yi Dynasty came to take Confucianism as its state foundation ideal by having rejected Buddhism, the state religion of the Koryo Dynasty, in order to sweep off vestiges of Koryo. Confucianism, thereby, played as the ruling ideal of the dynasty a central role in serving as the guiding principles of the Yi Dynasty society, ranging from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sectors to overall walks of life. Successive kings and the ruling class in the Yi Dynasty tried to reinforce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with a goal to realize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Confucian state. It can be said that this Confucian ideal greatly affected the court dance-music that was entirely managed by the dynasty court, and we can find this influence from the fact that a Confucian political ideal lurks in the court dance-music created early in the Yi Dynasty. This appearance of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in the constitution and texts of court dance-music indicates that court dance-music in those days existed not merely as an object of appreciation but as a period product of ideology and political trait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uts its principal objective on clarifyiug how decorums, music, an ism for the people, politics by virtue, the unity of man and nature, flunkeyism in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are innately related to the constitutional and text sides of court dance-music, and then examining based on the results what political functions the court dance-music played. The first half of the Yi Dynasty from King Tejo through King Seongjong took Confucianism as its state foundation and ruling ideal, tried to intensify Confucian ideology with a policy for Confucianism and against Buddhism, established a centralistic bureaucracy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spread a good-neighbor policy with powerful states, endeavoring to secure its international position. The ultimate political goal of the Yi Dynasty that took Confucianism as its political ideal was the construction o fan ideal Confucian political state. In building that ideal state, decorum and music served as a ruling means for enlightening the people by having the function of unity and order on the basis of the rule of heaven and earth. These decorum and music are found in the constitution forms of court dance-music early in the Yi Dynasty. Common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urt dance-music are as follows: 1) The order of dancers are sequential. 2) The beginning of the court dance-music is identical to the end of it in spatial distribution. 3) A certain rule is functioned in the group dance represented from the court dance-music. 4) The spatial constitution of the court dance-music is always based on bilateral symmetry. An analysis of decorum and music reveals points in common, as follows: First, the thought of decorum is widely represented in the social order and functions. Second, the energy of heaven and earth, the bases of decorum and music, exchanges and intersects each other. Third, the energy of Yin and Yang, i.e., heaven and earth, circulates. Fourth, equilibrium and harmony are maintained between the energy of Yin and Yang. That is to say, in the operation of decorum and music, stability is maintained without any partiali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representation of the intention of balance. A review of Confucian thoughts that lurk in the decorum and music and texts of the court dance-music, discloses that politics for the people and politics by virtue are well represented in Mundokkok that praises the virtue of King Tejo as well as in Bongreeui that also praises the humanity and virtue of successive kings who founded the dynasty in receipt of a heavenly will. The ideology of unity of man and heaven based on the hevenly will denoting the acquisition of sovereign power via the will of the people and the will of heaven, the unity of man and heaven principle that sees the will of heaven and the will of man as one are represented in Mongkeumchok and Suborok with the contents that the foundation of the Yi Dynasty is based on the will of heaven. Finally, flunkeyism which establishes an international sovereign- subject relationship between a small country and a powerful country, is also shown. Keunchonjong, Suinyongjong, Hawangeun, Hasonginyong, and Seongtek that intend for praising the virtue of the Myong Dynasty emperor and consoling Chinese envoys. The involvement of the thought of decorum and music in the constitution or texts of court dance-music not merely played a role in politics as a means for enlightening the people, for reinforcing the Confucian ideal,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but also played and role in diplomacy as a diplomatic catalyzer for round diplomatic relations among neighboring states. In the final analysis, it can be carefully concluded that court dance-music in the Yi Dynasty, as aforementioned, took a part in constructing an ideal Confucian state as a cultural means, and that it was a period product or a political production which political ideology in those days is represented, beyond the boundary of a mere object of appreciation or amusement.;조선은 고려의 잔재를 불식시키기 위하여 고려의 국교였던 불교를 배척하고 건국이념으로서 유교를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유교는 건국이념이자 통치이념으로서 정치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문화 전만에 걸쳐 조선사회를 지탱하는 지침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해 왔다. 따라서 조선의 역대 왕들과 지배층은 유교이상국가 건설이라는 목표 아래 모든 체제를 정비하고 유교이념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교이념은 궁중에서 행해지고 관리되어진 정재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은 조선전기에 창작된 궁중정재에 유교정치이념이 잠재해 있음을 통해 찾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교정치사상이 정재의 구성형식과 창사에 나타나고 있는 것은 그 당시의 정재가 단순히 감상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념성과 정치성이 수반되는 시대적 산물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유교정치사상내에서의 예(禮)·악(樂)과 민본(民本)·덕치(德治)사상, 천인합일(天人合一), 사대(事大)사상이 궁중정재의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구성형식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창사에 내재해 있음을 밝혀 내고 이를 토대로 궁중정재의 정치적 기능을 고찰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태조에서 성종에 이르는 조선전기는 유교를 천국이념이자 통치이념으로 삼아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을 펴면서 유교이념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며 왕권의 강화를 위하여 중앙집권적인 관료체제를 수립하였고 외교적으로는 사대교린정책을 펴면서 조선의 국제적인 지위를 확보해 나가고자 하였다.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 유교를 국교로 삼았던 조선의 궁극적인 정치목표는 이상적인 유교정치국가를 성립하는 것이였으므로 천도(天道)와 합치되는 유교이상국가 건설에 있어서 예와 악은 땅과 하늘의 법칙을 따라 화합과 질서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백성을 교화하는 도덕적·문화적 수단으로 근본적인 통치수단이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와 악은 조선전기 궁중정재의 공통된 구성형식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정재의 공통된 구성형식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의 진행순서가 순차적이라는 점. 둘째, 정재의 시작과 끝의 공간배치가 동일하다는 점. 세째, 정재의 진행과정중에 나타나는 회무에 있어서 일정한 규칙성이 작용한다는 점. 네째, 정재의 공간구성이 항상 좌우대칭이라는 점. 이와같은 공통점에서 나타나는 예악사상을 살펴보면 첫번째 공통점은 사회적으로 질서와 순서의 기능을 갖는 예사상의 반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두번째 공통점에서는 예와 악의 근본인 하늘과 땅의 기(氣)가 서로 교류하고 교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세번째 공통점에서는 하늘과 땅 즉 음양(陰陽)의 기(氣)가 순환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네번째 공통점에서는 음양의 기가 서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다시 말하면 예와 악의 운영에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안정적 상태를 보이고자 하는 정치적 의도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은 궁중정재의 구성형식에 나타나는 예악사상과 더불어 정재의 창사에 내재되어 있는 유교정치사상을 살펴보면 민(民)이 나라의 근본이므로 하늘의 이치를 깨달아 민을 위한 정치를 해야 한다는 민본과 덕치사상은 태조의 덕(德)을 칭송하는 문덕곡과 천명(天命)을 받아 조선을 건국한 역대 왕의 인(仁)과 덕을 칭송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봉래의에 잘 나타나고 있으며 천(天)과 면(民)이 하나인 동시에 천심(天心)과 민심(民心)이 하나라는 천민일치관(天民一致觀)과 민심과 천심의 획득이 곧 통치권의 획득이라는 천명사상에 기인한 천일합일(天人合一) 사상은 태조의 조선건국이 천명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몽금척과 수보록에 나타나고 있고 마지막으로 명(明)과 조선의 관계가 대국(大國)과 소국(小國)으로서 국제적 군신(君臣)관계로 설정하고 있는 사대사상은 근천정·수명명 하황은과 명나라 황제의 덕을 칭송하고 중국의 사신을 위로하기 위해 만들어진 하성명 ·성택에서 엿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정재의 구성형식과 창사에 예악사상과 유교정치사상이 내포되어 있음은 조선전기 궁중정재가 백성을 교화하는 수단과 유교정치이념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또 조선건국의 정당성과 왕권의 정당성을 제시하여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정치적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원활한 외교관계에 있어서 촉매제 역할을 하는 외교적 수단으로서의 정치적 기능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조선전기 궁중정재는 궁극적으로 이상적인 유교정치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문화적 통치수단으로 그 일익을 담당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그 동안 정재가 왕의 여흥을 위한 오락물이나 감상물로서의 일차적 역할을 넘어서서 그 당시의 정치사상이 반영된 시대적 산물이자 정치적 산물이라고 조심스럽게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