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취업모의 직업별 부모 - 자녀관계

Title
취업모의 직업별 부모 - 자녀관계
Other Titles
Parent-Child Relationship Patterns Varying by the Profession of the Working Mother
Authors
정훈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취업모직업별부모-자녀관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As many Scholars attes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essential of all human relationships. In regard to the accelerated growth of the working mother group,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similaritie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by analyzing the comparisons present in the child rearing practices of the parents generation and those pertaining to the childs' generation. In order to realize such goals, firstly, a detail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effects of the child rearing practices of the working mother's parents reflected in the child rearing methods of the working mother presently. Secondly, the study focuses on predicting the correspondance between the profession of the working mother and the actual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problems approac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child rearing practices experienced by the parent effect their own child rearing method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authority, control, punishment, responsibility, intimacy corresponding to the working mother's prof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 working mothers living in the Seoul area. The method of measurement used is the Radke parent's Inventory redevised by Jae eun Kim. 2 copies one each for the childrearing method received and the method they are practicing presently were distributed to each parent and were received within a week's perio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mpiled into categories of profession, age group, final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and the scores were derived in order to calculate the mean and deviation. ANOVA tests using the SAS package were conducted in order to claculate the different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ild rearing practices of the working mother nearly coincides with the practices to which the participant was subject. There are hardly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child rearing methods. 2. Regarding the 5 variables of authority: democracy, control: autonomy, light: heavy punishment, the existence of a responsible relationship, the existence of intimacy among parent and child, found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profession of the working mother. 3. Concerning the afore mentioned 5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ofession of the working mother. In conclusion, this study reaffirms the numerous theon'es st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s the most essential among human relationships and affirms the connection between child rearing practices being inherited. Finally, the study confirms by research that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of child rearing methods accoring to profession and furthermore that there is a differe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patterns.;부모-자녀의 관계는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관계라고 많은 학자들이 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취업모의 부모-자녀 관계에 대해 부모세대의 훈육과 자녀세대의 훈육을 비교함으로서 그 유사성을 알고저 하여 첫째, 발달적인 측면에서 취업모의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훈육방법의 유사성을 연구하고, 둘째, 실질적인 측면에서 취업모의 직업에 따라 취업모가 받은 부모의 훈육방법이 취업모가 자신의 자녀에 대한 훈육방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체적으로 예측하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룬 문제는 1. 취업모가 생각하는 부모세대의 훈육이 취업모가 자녀에게 가하는 훈육과의 관계에는 유사성이 있는가? 2. 취업모가 생각하는 부모세대의 훈육방법과 취업모 자신이 자녀세대에게 가하는 훈육방법에 차이는 있는가? 3. 취업모의 직업에 따라 취업모가 받은 부모세대의 훈육방법과 취업모 자신의 자녀에게 가하는 훈육방법에 차이는 있는가? 본 연구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서 서울시내의 취업모 9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측정도구는 김재은이 번안한 Redke의 「Parents'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이를 연구대상에게 2부(부모에게서 받은 훈육, 자녀에게 가하는 훈육)씩을 배부하여 일주일 후에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를 세대별·직업별로 정리하고 분리한 다음 원점수를 산출하여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내고, γ, t 검증으로 유의도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취업모가 생각하는 부모에게서 받은 훈육이 취업모가 자녀에게 가하는 훈육과의 유사성에서 세대별 훈육의 유사성을 살펴보면 취업모의 부모 세대와 자녀세대에 대한 부모-자녀 관계에서 그 훈육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2. 훈육방법의 세대별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권위-민주와 벌의 정도, 부모와 자녀 사이의 친밀감의 정도에서는 취업모의 부모세대에서 보다 자녀세대에게 더욱 더 민주적이고 벌의 정도도 부드러워지고 있고, 부모와 자녀와의 친밀감도 많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2) 통제-자율과 자녀에 대한 부모의 책임의 상대적 정도에서는 자녀세대에서 취업모가 부모세대로부터 받은 훈육보다 더욱 더 구속이 심해지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책임에서 어머니의 책임이 적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3. 취업모의 직업에 따라 실질적인 훈육방법인 권위-민주, 통제-자율, 벌의 정도, 부모-자녀간의 친밀감 정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책임의 상대적 정도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경우 권위의 정도에 대해서는 세대별 차이와 같이 민주적인 경향으로 나타났고, 통제의 정도에 대해서는 부모세대에서 보다 자녀 세대에게 더욱 더 엄격하게 훈육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다른 취업모의 경우에 비해 볼 때 가장 엄격한 경향으로 나타났고, 부모와 자녀와의 친밀도에 대해서는 세대별 분류와는 다르게 취업모와 자녀와의 친밀감이 좋아지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보다는 낮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2) 판매직의 경우 권위의 정도, 통제의 정도, 벌의 정도, 책임의 정도에 대해서는 세대별 분류와 비슷한 경향이나, 취업모와 자녀와의 친밀감 정도에 관해서는 좋아지고 있으나 아주 미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3) 서비스직 취업모의 경우도 취업모의 직업이 교사나 판매직의 경우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나, 주목할 만한 것은 벌의 정도에서 다른 취업모의 경우와 많은 차이로 취업모가 자녀에게 가하는 벌의 정도가 부드러운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부모-자녀 관계가 인간관계에서 가장 밀접하고 기본적인 관계임을 재확인하였고, 부모의 훈육방법이 자녀가 가하는 훈육방법에 영향을 미치고, 취업모의 직업에 따라 훈육방법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