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f Literacy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Literacy Behavior in Symbolic Play
Authors
민재원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Keywords
상징놀이문해환경개입유아문해행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이 유아의 문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는 것이다. 즉, 상징놀이가 나타나는 소꿉놀이에서 두 가지 유형의 문해환경개입(교사개입과 함께 문해자료 제시 / 교사개입 없이 문해자료 제시)이 읽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 쓰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 읽기와 쓰기행동을 합한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한 읽기, 쓰기행동의 내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읽기행동, 쓰기행동,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는 각각 증가하는가? 2.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문해환경개입 유형에 따라 읽기행동, 쓰기행동,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는 각각 차이가 있는가? 3.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문해환경개입 유형에 따라 유아의 읽기 행동, 쓰기행동의 내용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3개 학급으로써 각 학급을 실험집단A(33명), 실험집단B(35명), 통제집단(34명)으로 배정하였다. 세 집단에서 각각 문해환경개입 전 관찰이 6회, 문해환경개입 후 관찰이 6회로 12회의 관찰이 수행되었다. 문해환경개입은 Morrow(1990)의 연구에 기초하여 실험집단A에는 교사개입과 함께 문해자료가 순서적으로 주어졌고 실험집단B에는 교사개입 없이 문해자료가 순서적으로 주어졌다. 교사개입은 상징놀이활동 전 문해자료 사용법 토의, 상징놀이활동 중 관찰, 상징놀이활동 후 문해자료 사용 평가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매 회 각 집단에서 1명의 관찰자가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소꿉놀이 영역에서 5분간격으로 1분씩 총 8번의 관찰을 하여 읽기, 쓰기,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를 기록하였고 또한 매 회 나타난 모든 문해행동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두 종속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사후비교를 위한 Scheffe′검증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유아의 문해행동은 증가하였다. 즉, 문해환경개입 후 실험집단A와 실험집단B에서 읽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 쓰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가 각각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 가 증가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유아수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문해환경개입 유형에 따라 유아의 문해행동의 양에는 차이가 있었다. 읽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는 실험집단A와 실험집단B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쓰기행동을 한 유아의 수는 실험집단A에서 실험집단B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는 실험집단A가 설험집단B보다 많이 나타났다. 실험집단A와 실험집단B는 각각 읽기, 쓰기, 총 문해행동을 한 유아의 수에 있어서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상징놀이에서 문해환경개입 후 문해환경개입 유형에 따라 유아의 문해행동의 내용에는 차이가 있었다. 읽기행동의 내용은 실험집단A가 8가지, 실험집단B가 6가지, 통제집단이 1가지로 나타났고 쓰기행동의 내용은 실험집단A가 22가지, 실험집단B가 6가지, 통제집단이 1가지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A에서 다양한 읽기, 쓰기행동이 나타났으며 실험집단A가 실험집단B보다 쓰기 행동을 놀이상황속으로 보다 잘 통합시켰다. 또한 실험집단A에서 우연히 은행 놀이라는 주제놀이가 도입되어 5회와 6회에 거쳐 이루어짐으로써 읽기, 쓰기 행동이 급증하였고 주제놀이 상황에서 모든 읽기, 쓰기행동이 통합적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ntervention of literacy environment influences young children' s literacy behavior in symbolic play, especially within housekeeping theme. Concretely, the motivation is to find the effects of two types of literacy environment intervention(providing literacy materials with teacher intervention and providing literacy materials without teacher intervention) on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and on the contents of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in symbolic play.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total literacy behavior is the sum of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To this end, three reserach question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increase by the intervention- of literacy environment in symbolic play? 2. Are there diffrences in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type of literacy environment in symbolic play? 3.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in symbolic play? Three classrooms of five year olds at S kindergarten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each of the classrooms were designated as experimental group A (33 children), experimental group B (35 children), and control group (34 children) respectively. The groups were examined six times eac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of literacy environment for a total of twelve observations. Based on Morrow's research, group A was exposed to both teacher's intervention and literacy materials while group B was exposed to only literacy materials. Teacher's intervention consisted of discussion of literacy materials prior to symbolic play, observation during symbolic play, and evaluation of literacy materials following symbolic play. An observer in each group recorded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in housekeeping area for one minute at five minute intervals for a total of eight recordings for each trial. The data were analyzed by matched pair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cheffe test for post hoc comparis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was increased by the intervention of literacy environment in symbolic play.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and writing literacy behavior was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1% and experimental group B,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total literacy behavior was increased. But there was no increase in control group. 2.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children's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by the intervention type of literacy environ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rence in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behavior between group A and group B, but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writing behavior in1 group A was more than that of group B in symbolic play. Also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total literacy behavior in group A was more than in group B.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hildren who showed reading, writing and total literacy behavior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3.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children's reading, writing behavior by the intervention type of literacy environment in symbolic play. Group A exhibited diverse reading and writing behavior, and group B tied the writing behavior to the play situation better than group A. Furthermore, in the reading and writing behaviors of group A increased as bank play was unexpectedly introduced as the thematic play over fifth and sixth trials. All the reading and writing behaviors appeared to be tied together during the thematic play sit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