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순-
dc.contributor.author한영은-
dc.creator한영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0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3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84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needed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children and teachers about environmemt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Concerning reg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children'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mtal education. Second,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environmemt and response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nvironmemtal education. For solving those problems. opinions of 231 teachers and 388 children in the sixth grade have been surveyed at educational divisions in seoul.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First, most of children are concerned about environmemtal problems, especially they regard water pollution, air pollution, bad smell and wastes as serious. They learn environmemtal pollutions by TV and radio since the environmemt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 is too insufficient. So children prefer to visible media when environmemtal education are offered at school. Most of them want to establish new curriculums of environmemtal education, and also have a mind to participate in environmemtal conservation activities. Second, there is no curriculum of the environmemtal education for teachers, however they have concerns in environmemtal pollutions and consider them seriously. Having no teaching time about environmemtal pollutions, teachers wish school hours for environmemtal education. Since the lack of teaching materials is a obstacle in environmemtal education, they want to organize an independent curriculum for environmemtal education. Teachers stress the perception and the attitude in the case of goals of the environmemtal education, thus in its contents they also emphasize environmemtal pollution, environmemtal preserv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in the order named. Various activities of the environmemtal preservation have been performing according to children's ability, and then they wish that classes of the environmemtal education are offered an hour by week. Teachers request sufficient supply of teaching materials and new organization of the environmemtal education. 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rning programs for children and teaching programs for teachers in the environmemtal education must be set up as soon as possible.;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아동 및 교사의 환경교육에 관한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학교 관경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아동의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과 인식 (2)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자료 (3) 독립 교과목 신설에 관한 의견 (4) 교수 학습 방법 (5)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 사례 2. 국민학교 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환경교육 현황 (1)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관심 (2) 환경교육 경험 유무와 형태 (3) 환경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실천의지 (4) 학교 환경교육 실시 현황 (5) 교수 학습 자료 및 환경교육 저해 요인 (6) 교육과정적 측면 (7) 목표 및 내용 영역의 강조 순위 (8) 교수 학습 방법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특별시 교육구별로 국민학교 교사 231명과 6학년 아동 388명에게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자료는 질문 문항에 대한 응답자수의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민학교 아동의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대부분의 국민학교 아동들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환경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고(71.7%), TV나 라디오등을 통해 환경오염을 인식하며 (59.6%), 환경오염 문제에 대해 심각한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다(95.4%).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물의 오염(28.5%), 공기오염(20. 5%), 악취·쓰레기(12.9%)등을 꼽았고, 그 원인으로 공장 폐수(31.0%), 쓰레기(28.5%), 합성세제(19.0%) 등을 지적하였다. (2) 환경오염에 대해 주로 배우는 시간은 교과 수업시간이고(91.7%), 사회(30.6%), 자연(29.6%), 도덕(22.0%) 에서 많이 다루나, 그 양은 미흡하였다. 환경교육시 많이 사용 되는 자료는 TV, VTR등이고(41.2%), 가장 흥미 있었던 자료도 TV, VTR등의 영상자료라고 응답하였다(61.9%). (3) 환경교육에 대한 독립교과목을 신설하는데에 대하여 많은 아동들이 지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68.9%). (4) 환경보전 활동에 대하여 많은 아동들이 참여의지를 보였으며(90.2%)쓰레기 처리에 대한 실천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97.2%). (5) 가정에서는 환경보전을 위하여 1회용품이나 합성세제등의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며, 학교에서도 쓰레기 버리지 않기 및 쓰레기 줍기, 쓰레기 분리 처리, 환경보호 캠페인, 자연보호 활동, 음식(점심) 남기지 않기, 우유팩 모으기 순으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민학교 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환경교육 현황 (1) 우리나라의 환경오염 상태에 대해 모든 교사가 심각함을 인식하고 있으며(100%),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수질오염(31.2%), 공기오염(27.7%), 악취·쓰레기(14.2%)를 지적하였고, 환경문제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3.6%). (2) 국민학교 교사들의 과반수이상이 환경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고(72.7%), 또 경험이 있는 교사도 "자기 연수"라는 형태가 가장 많아(38.1%),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국민학교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환경교육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국민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모든 교사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100%),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에도 높은 실천의지를 나타냈다(96.1%). (4) 환경교육은 주로 교과 내용 지도시에 이루어지고(76.2%), 사회(31.4%), 자연(29.4%), 도덕(24.2%)순으로 많이 다루며, 그 내용량은 아주 적었다. 환경교육시 많이 사용하는 자료는 인쇄자료외에 TV·VTR등이었다(33.8%) (5) 국민학교 환경교육의 기자재 구비 현황은 부족한 상태이고, 환경교육의 저해요인 또한 교수 자료 부족이라는 지적이 가장 많았다(52.0%). (6) 6차 교육과정 개정시 환경교육의 내용이 증가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높았고(94.6%), 독립교과목으로 신설하자는 의견도 비교적 높았다(61.1%). (7) 학교 환경교육에서의 목표의 강조 순위는 인식, 태도, 참여, 지식, 기능 순서였고, 내용 영역에서는 환경오염, 환경보전 자연보존, 자연환경, 환경의 질향상등이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8)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교육의 실례를 묻는 질문에 정기적인 학교 주변 환경 정화, 쓰레기 분리 처리, 폐품 재활용, 환경보호 켐페인, 환경보전 책자로서 환경처에서 출간한 '사람과 환경' 이용, 게시교육, 우유팩·폐건전지 수합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환경교육의 내용이나 방법등에 관해서는 주당 1시간 정도의 독립교과로 배당하여 심도 있게 지도할 것과, 각 대학 환경학과에서 국민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의 방안이 연구되어 적절한 내용을 담은 교과서와 지도서, 수준높은 TV, VTR 등의 영상자료의 충분한 보급, 가정과 학교의 환경연락을 취하는 환경 교육과정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문제 = 2 C. 용어의 정의 = 3 Ⅱ. 환경교육에 대한 이론 = 4 A. 환경교육의 성격 및 목표 = 4 B. 환경교육의 내용 = 15 C. 환경교육의 방법 = 25 D. 우리나라 환경교육 현황 = 37 Ⅲ. 연구의 방법 = 40 A. 아동의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조사 = 40 B. 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환경교육 현황 = 43 Ⅳ. 결과 분석 및 토의 = 46 A. 아동의 환경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 46 B. 교사의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환경교육 현황 = 54 Ⅴ. 결론 및 제언 = 64 A. 결론 = 64 B. 제언 = 65 참고문헌 = 66 부록 = 70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88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국민학교 교사-
dc.subject아동-
dc.subject환경교육-
dc.subject인식-
dc.title국민학교 교사와 아동의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ERGEPTIONS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EDUCATION IN PROMARY SCHOOL-
dc.format.page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