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상호작용 모형을 적용한 중등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Title
상호작용 모형을 적용한 중등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Other Titles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Interactive Approach to Reading in Middle School English
Authors
조재옥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상호작용모형중등영어읽기지도 방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읽기에 있어서 독해과정을 보는 관점이 서로 다른 여러 모형들은 각각의 모형에서 부족한 점이나 결점을 보완하면서 변화되어 왔다. 상향과정 모형(Bottom-up Model)이 'bottom', 즉 페이지에 있는 단어 하나하나에 주의를 집중하면서 읽으며, 철자-소리의 관계를 강조한 나머지 읽기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독자의 내면을 간과하였기 때문에 독자의 지적 능력이나 배경지식을 강조하는 하향과정 모형(Top-down Model)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하향과정 모형에서는 읽기란 독자가 지니고 있는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글의 의미를 예측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읽기의 과정에서 기본적이라 할 수 있는 지각적이고 문자해독적인 영역을 소홀히 하게 됨으로써 이것을 보완한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Model)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많은 비중을 두고 학습을 하여도 독해 능력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중등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독해 지도를 좀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가장 이상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는 상호작용 모형에 따라 중학교 영어 읽기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설제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읽기학습은 먼저 크게 독해 선행, 독해 중, 독해 후행 활동의 세단계로 분리되어 각 단계에서 필요한 연습문제와 활동이 제시되었다. 독해 선행 활동은 읽기 속도 향상을 위한 연습문제들과 독해 자료에 대한 선험지식을 활성화 하기위한 활동을 포함했다. 독해 활동은 독해자료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위해 독해자료의 화제나 내용에 담긴 일반적인 개념을 알아 보는 문제들과 단어와 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구의 해석 연습을 포함했다. 독해 후행 활동으로는 구문구조 인식을 돕기위해 단락의 순서를 바로잡는 연습이나 단락의 기능을 확인하는 연습이 포함되었고, 비판적 읽기를 위한 연습으로 글쓴이의 관점이나 목적을 조사하는 연습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들은 독해 활동에 필요하긴 하나, 모든 연습들이 모든 단계에서 실시 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계에서 가장 적절한 연습이 선별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읽기 기술은 오랜 시간에 걸린 학습자 자신의 광범위한 독서를 통해서도 발전될 수 있으며, 연습문제가 실제적인 읽기 범위를 대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사는 적절하고 다양한 활동을 단계에 따라 제시해 줌으로써 읽기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키고 독해시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학습자 읽기능력이 발전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읽기능력은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교사는 인지하여 구태의연한 방법에만 의존함이 없이 지도법을 계속적으로 모색하고 실제적인 학습상황에 적용시켜 나가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호작용 모형에 바탕을 둔 할동과 연습문제들이 수업시간에 실제로 적용해 보았을 때 과연 효과적인 방법인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다른 독해 지도 활동의 올바른 평가 방법읽기에 있어서 독해과정을 보는 관점이 서로 다른 여러 모형들은 각각의 모형에서 부족한 점이나 결점을 보완하면서 변화되어 왔다. 상향과정 모형(Bottom-up Model)이 'bottom', 즉 페이지에 있는 단어 하나하나에 주의를 집중하면서 읽으며, 철자-소리의 관계를 강조한 나머지 읽기를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독자의 내면을 간과하였기 때문에 독자의 지적 능력이나 배경지식을 강조하는 하향과정 모형(Top-down Model)이 대두되었다. 그런데, 하향과정 모형에서는 읽기란 독자가 지니고 있는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글의 의미를 예측해 가는 과정이라는 것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읽기의 과정에서 기본적이라 할 수 있는 지각적이고 문자해독적인 영역을 소홀히 하게 됨으로써 이것을 보완한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Model)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많은 비중을 두고 학습을 하여도 독해 능력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중등 영어교육에 있어서의 독해 지도를 좀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가장 이상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는 상호작용 모형에 따라 중학교 영어 읽기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읽기학습은 먼저 크게 독해 선행, 독해 중, 독해 후행 활동의 세단계로 분리되어 각 단계에서 필요한 연습문제와 활동이 제시되었다. 독해 선행 활동은 읽기 속도 향상을 위한 연습문제들과 독해 자료에 대한 선험지식을 활성화 하기위한 활동을 포함했다. 독해 활동은 독해자료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돕기위해 독해자료의 화제나 내용에 담긴 일반적인 개념을 알아 보는 문제들과 단어와 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한 구의 해석 연습을 포함했다. 독해 후행 활동으로는 구문구조 인식을 돕기위해 단락의 순서를 바로잡는 연습이나 단락의 기능을 확인하는 연습이 포함되었고, 비판적 읽기를 위한 연습으로 글쓴이의 관점이나 목적을 조사하는 연습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독해 능력 향상을 위한 연습들은 독해 활동에 필요하긴 하나, 모든 연습들이 모든 단계에서 실시 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계에서 가장 적절한 연습이 선별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읽기 기술은 오랜 시간에 걸린 학습자 자신의 광범위한 독서를 통해서도 발전될 수 있으며, 연습문제가 실제적인 읽기 범위를 대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사는 적절하고 다양한 활동을 단계에 따라 제시해 줌으로써 읽기에 대한 동기를 유발시키고 독해시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학습자 읽기능력이 발전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읽기능력은 지속적인 학습을 통하여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교사는 인지하여 구태의연한 방법에만 의존함이 없이 지도법을 계속적으로 모색하고 실제적인 학습상황에 적용시켜 나가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상호작용 모형에 바탕을 둔 할동과 연습문제들이 수업시간에 실제로 적용해 보았을 때 과연 효과적인 방법인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다른 독해 지도 활동의 올바른 평가 방법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ding models(bottom-up, top-down and interactive), and to show the interactive model in the best one for teaching students reading in the middle school of Korea. In addition, the study aims at presenting how to apply the interactive model of reading to real classrooms by providing various types of useful exercise. The emphasis on reading has changed with the methodology from being neglected during audio-lingualism to being recognized as an important and necessary skill of language study in cognitivism. In the bottom-up model, reading was viewed as a decoding process of building up a meaning for text. An important shortcoming of this model is the neglect of the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which has motivated the development of another model called the top-down model. In this approach, the reader is not only an active participant in reading process, but everything in the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It also has a problem: it overemphasizes the role of the reader's schema and ignores that of visual materials. The reading process requires both top-down and bottom-up strategies operating reciprocally, consequently, a new approach has been proposed: interactive. The interactive model emphasizes the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obtained by means of bottom-up decoding and information provided by means of top-down analysis. Students should be taught reading skills to improve their reading rate and comprehension. To make their rate and comprehension develop, this study investigates reading activities which include a Rate Development Component to improve rate and comprehension, a Core Reading Component to develop analytical and critical skills and an Extensive Reading Component to give the students the opportunities to pursue core reading topics and practice reading skills on their own, according to Linda Jensen's suggestion. Fluent reading requires skills from the basic perceptual skills to skimming and scanning, speed, and reading critically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 But all of these don't have to be used for every stage. The teachers can select the best exercise which can improve reading skills and apply them in the classrooms. This study was not applied to a real classroom environment. In the future this approach should be practiced and tested in real reading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