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부가의문문에 관한 연구

Title
부가의문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ag Question in English
Authors
안행순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부가의문문영어교과서단문구조이론중문구조이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연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e and frequency distribution of tag questions in the new junior high and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also to compare Korean English teachers' use of tag questions with that of American English teachers in order to help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ag questions in English. For this aim, first, fiv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fiv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sentences with tag questions in the textbooks and the tag questions in the books were not of various types. All tag questions were governed only by the normative grammar. Secondl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46 Korea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o investigate their knowledge and use of tag questions. compared with D.T Langendoen's examination of 45 America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he Korean teachers usually used tag questions according to the normative grammar. Their use of tag questions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American teachers who used the tag questions according to their grammar acquired through the use of the languag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suggest that English textbooks should contain more various and practical types of tag questions for helping Korean students learn and use them in real communication. Furthermore. Korean English teachers need to lake an effort to acquire the knowledge of tag questions and their use that native speakers of English have.;오늘날 국가간의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국제어인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이 절실히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1989년에 영어 고과서도 실용 생활 영어가 더욱 강화되어 중학교는 5종으로, 고등학교는 8종으로 개편되었다. 본 논문은 개편된 중·고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부가의문문의 분포 상황과 한국 영어 교사들의 부가의문문에 대한 이해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영어 모국어 화자들이 실제 사용하고 있는 부기의문문과의 차이점을 밝히고 그에 따른 올바른 지도와 학습을 촉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먼저 중학교 5종과 고등학교 5종의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부가의문문을 구어체와 문어체에 나타난 비율, 부가의문문의 극에 따른 비율, 동사의 형태와 시제에 따른 비율, 인칭과 수에 따른 비율, 진술문의 종류에 따른 비율 등으로 분석 하였다. 둘째, D.T Langendoen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제시하여, 수도권 지역의 중·고교 영어 교사들의 부가의문문 이해도를 조사한 결과를 Langendoen이 미국의 중·고등학교 영어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비교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중·고교 영어 교과서에는 부가의문문의 문장이 적었고 부가의문문의 형태도 다양하지 않았으며 한국 교사들 역시 대체로 부가의문문에 대한 이해가 폭넓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올바른 언어 사용 능력 함양을 위해, 한국 학생들이 좀 더 다양하고 실용적인 부가의문문의 형태를 배울 수 있도록 교과서 제작시 부가의문문의 비중과 형태가 고려되어야함을 제안한다. 그리고 한국 영어 교사들 역시 영어 모국어 화자들이 실제 사용하고 있는 부가의문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여 실용 생활 영어에 대한 이해를 넓힐 것을 제안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