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무용예술에 나타난 추상성

Title
무용예술에 나타난 추상성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bstraction in Dance art : focused on th theory of J. Balanchine and M. Cunningham
Authors
윤미정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무용예술추상성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환
Abstract
이 논문은 20세기 무용예술에 나타난 추상성에 관하여 살펴보고, 무용에서 순수 추상무용이 갖는 영역을 확립시키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졌다. 추상무용은 발란쉰과 커닝햄에 의해서 대표되는 것으로 인간의 순수한 움직임에 주목하는 무용을 위한 무용이다. 이러한 순수 추상무용의 완전한 모습인 추상적 형식무용은 발란쉰에 의해서 보다는 커닝햄에 의해서 보다 발전된 형태로 드러난다. 그런데 이러한 추상성은 고전주의와의 연관 속에서 적절하게 해명될 수 있다. 왜냐하면 낭만주의로부터 고전주의로의 이행이 순수추상무용에로 나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 놓았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순수추상무용은 표현주의와 형식주의의 긴장을 통해서 찾아볼 수 있겠지만, 직접적으로는 모더니즘 미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발란쉰은 무용의 본질을 이러한 모더니즘적 시각에서 본 최초의 사람으로서 그의 형식주의적 발레는 추상무용의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즉, 그것은 무용동작이 갖는 순수한 움직임의 표현인 것이다. 움직임의 순수 표현력을 발견한 발란쉰의 추상무용은 나름대로 한계성을 지적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아직도 그가 무용안무에 있어서 음악에 의존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완전한 추상무용, 순수한 추상무용을 실험하는 커닝햄을 필연적으로 언급해야 한다. 그는 비문학적, 비표현주의적인 모더니즘 정신에 충실하며, 더 나아가 아방가르드의 기수로서 발란쉰보다 더욱 더 차원 높은 순수추상 무용을 보여준다. 이것이 바로 커닝햄의 우연적 안무법이다. 여기서 그는 비이성적, 비논리적인 선불교의 공안(또는 화두)을 도입함으로써 직관적, 시적, 창조적, 우연적 안무기법의 가능성을 새롭게 창조한다. 결론적으로 순수추상무용은 순수한 움직임에 함축된 모든 표현가능성들에 주목한다. 그리고 그러한 운동은 발란쉰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수행되었지만, 커팅햄에 이르러서 비로소 완성되었다. 특히 커닝햄은 우연기법이라는 새로운 안무법을 통해 추상무용의 궁극적 목적을 인간의 지적 능력과 주관성을 초월한 순수직관의 단계에서 발현되는 아름다움 그 자체에서 발견함으로써 추상무용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concept of abstraction in dance art. Especially, it attempts to deliverate how the pure abstract dance was grounded. Abstract dance advocated by Balanchine and Cunningham, is regarded as the dance that expresses pure movements of human-beings. However abstract formal dance, the original type of pure abstract dance, is rather clearly revealed by Cunningham than by Balanchine. On the other hand, this abstraction can be adequately comprehended under the context of classism, because the substitution of classism for romanticism opens the way to pure abstract dance. Pure abstract dance is traditionally illuminated in the light of the tention between expressionism and formalism, but directly rooted in Modernism-Aesthetics. Balanchine was the first man who saw the essence of dance from a standpoint of modernism. His formalistic ballet shows properly the essential character of abstract dance. Namely, it corresponds to the pure movements of dance. But we often hesitate to think of him as the representative of abstract dance, because he still depends on music in his choreography of danc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we must here pay attention to the Cunningham's dance theory. Cunningham was faithful to the spirit of modernism which rejects literature and expressionism. As a founder of Avantgarde, he opened up a new dimension of pure abstract dance, which was not fully developed in Balanchine. This is Cunningham's Chance-Choreography. By introducing the unrational, illogical conversation-topic of Zen Buddhism, he creates the intuitive, poetical, Chance Choreography. In conclusion, pure abstract dance testifies positively all th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pure movement. Such a new phase was first introduced with Balanchine. But Cunningham realized it far more radically. According to Cunningham, abstract dance that develops by the new choreography called "chance" is beauty itself, and it can be manifested only through intuition that transcends the subjectivity of human intell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