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韓成俊에 관한 연구

Title
韓成俊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the Han Seong-Jin's Dance-world
Authors
鄭惠蘭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한성준승무태평무학춤신선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매자
Abstract
About 1900 Korea was confronted with the sudden change of history and the end of dynasty system. During that time Korean dance, like any other forms of art, was prone to uninspired imitation of western style with not only historical or cultural consciousness but also artistic or critical spirit, In the vortex of spiritless dance-world, Han Seong-Jun (born in 1874, id. in the initial period of flowering time of Korea) elaborated the folk singing and dancing so that he elevated it to the dimen sion of art. In such a activity Han underwent all sorts of hardship because of the abs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the lack of preserved dance document. He established traditional dance as modern form of art by consolidating his musical talent with dance. Music was always the base of his art-world. He displayed mucical quality which made him embody natural sentiment rooted i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lthough he had failed to give historical character to folk dance by his subordinate perspective, in which the folk dance finds the complete form of art in court dance, Han was the just successor of typical Korean tune carrying the tradition of indigenous folk dance in Cheolla province (Namdo-chibang). Through his works we can confirm that the folk dance possesses natural beauty grown in the nature of earth as aesthetic element. In 1930 Han drganized the , and also grouped the in 1934. From then on he staged many traditional dances on some- what occidental stage. In so doing he attempted to popularize traditional dance. Compared with his sinsere effort, his dance-World contains rather romantic amusement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He had nothing of regular education course even in singing and dancing. But Han was thorough nationalist dancer. Therefore he was so defient to the foreign dance style that he corresponded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s to the western-styled Korean dance (so-called Shin-moo-yong, that is, new dance). He guided the modernization of Korean dance by cho Taek-won and Choi Seong-hee, and helped them to found Shinmooyong. In contemporary Korea HanseongJun-tyed dances, based on the traditional and folk ground, form a part of Korean dance. In this sense he is now estimated as a person who had done distinguished service to have made the folk dance artistic. This thesis deals with HAN' sartistic aspect, focusing on the idea of his dance through his life and the real dance world of his time. The method of research consists of observation with was made possible by Han Yeong-sook's demonstration (Han Yeong-sook is HAN's grand-daughter and she was taught dance by HAN) and oral statement of HAN's other disciples. Finally this attempts to enlarge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history of Korean dance.;한국에서 1900년대 초반은 조선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새시대가 도래하던 시기로 그러한 시대적인 혼란 속에서 형성된 한국무용은 다른 분야의 예술과 마찬가지로 역사의식이나 문화의식 예술정신 또는 비판정신이 결여된 채 맹목적인 모방에만 치우쳐 있었다. 이토록 무기력한 무용계의 와중에서 한성준은 개화기인 1874년에 태어나서 정치·사회 체제의 거센 변혁의 기류 속에서 성장하여 보존기록이 거의 안되어 있던 민속가무를 가다듬어 예술적 차원으로 끌어 올렸으며, 또한 고수로서의 음악적 재질을 무용과 접합시켜 전통무용을 근대예술로 정착시켰다. 그는 민속음악의 구성을 근거로 한 미묘한 생태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형성화시킬 수 있는 음악적 자질의 소유자로, 그의 예술세계는 거의가 음악을 발판으로 구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그가 민속무가 궁중무의 줄기라는 종속적인 관점으로 인해 민중적 무용을 역사화 하는데 실패하였지만, 그는 예로부터 전래되는 남도지방의 민속무용 전통을 이은 대표적인 가락의 소유자요, 전수자였다. 그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민속무용의 美的 속성으로서 변화가 많고 다양하며 자연의 흙 속에서 자라온 자연스러운 민속무용의 자연미를 재확인할 수 있다. 한성준은 또한, 1930년 「조선음악무용연구회」를 조직하여 1934년 무용만을 전문으로 하는 「무용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전통무용을 무대화시켜 춤의 대중화를 시도하였다. 자신의 출신과는 대조적으로 그의 무용세계는 심각하기보다는 담담하였고 사념에 들어가기보다는 현실 속에서 道樂을 찾는 낭만이 짙게 풍기고 있었다. 그가 비록 무용 전반에 대한 학문적 기반은 갖추지 못하였다 할지라도 당시의 시대적 조류에 따른 서양식 조선무용에 대하여, 우리의 전통무용을 내세울 만큼 뚜렷한 무용관을 소유하고 있었다. 또한 신무용 주역인 최승희·조택원 양인의 우리 춤 현대화 작업에 안내자 역할을 했으며, 그들이 이 땅에 신무용을 정착시키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오늘, 한국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한성준류의 무용(승무, 태평무, 살풀이, 신선무, 바라춤등 )은 전통적이고도 민중적인 바탕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때, 한성준은 전통적인 민속무용을 잘 다듬어진 예술차원으로 이끌어낸 공로자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성준의 생애와 당대의 무용현실을 통하여 그가 추구한 무용의 理念을 중심으로 그의 예술세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를 위해 그의 손녀인 한영숙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몇 작품을 통해 무용세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성준과 직접·간접으로 관련을 맺었던 여러 사람들의 구술을 통해 그의 예술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현재 우리가 근대 한국무용사에 臨하는 태도와 범위를 확장시켜 보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