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성인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분석

Title
성인 여성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분석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Osteoporosis has been a rising problem as growth of older age population increased caused by elongation of lif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known to play a key role in bone metabolism, and diet is also consider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BMD), including age, height, weight, lifestyle behaviors, dietary habits, daily nutrient intake of adult women. We evaluated 1422 women who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Jan. 2001 to Apr. 200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 T-score of lumbar spine BMD and femoral neck BMD were -0.15±1.20, -0.61±0.97 in pre-menopausal women, -1.69±1.50, -1.68±1.04 in post-menopausal women, BMD level of post-menopausal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menopausal women. The mean daily energy, protein and calcium intak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en nutrient intake was compared with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RDA), energy and calcium intake showed means lower than the RDA. Although not significant, smoking and regular exercise, each have an effect on the BMD, but drinking did not show any effect. The frequency of meat and fish, and dairy products was related to BMD in post-menopausal women. Protein intake and calcium intak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umbar spine BMD(r=0.107, p<0.05, r=0.097, p<0.05) in post-menopausal women, but no correlation was found with femoral neck BM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it was shown that the stronger determinants affecting the BMD were age and body mass index(BMI). Age was negative correlation and BMI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BMD. In post-menopausal women, years of menopause and menarche had greater effect on lumbar spine BMD than age. ; 의학의 발전으로 사람의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됨에 따라 골질량 감소와 골다공증이 주요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이 노인의 주요 사망원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골절치료를 위한 의료비용의 증가 등 사회적, 경제적 손실의 원인이 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발병요인으로는 성장기에 형성되는 골격의 총량을 결정하는 유전적 요인과 골격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인 활동량, 호르몬의 균형, 흡연,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 칼슘 및 단백질 섭취량 등의 환경적 요인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 1월부터 2002년 4월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23~75세의 성인 여성 1412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자료와 생활습관, 식사습관, 영양소 섭취실태를 조사한 후, 폐경 전후의 성인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경부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대상자 중 폐경 전 여성은 836명(59%), 폐경 후 여성은 576명(41%)이었다. 대상자들의 요추 골밀도와 대퇴경부 골밀도의 평균 T-score는, 폐경 전 여성의 경우 -0.15±1.20, -0.61±0.97, 폐경 후 여성의 경우 -1.69±1.50, -1.68±1.04으로,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는 정상이었으나,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는 정상 이하로 낮았다. 대상자들의 1일 평균 열량, 단백질, 칼슘의 섭취량은 폐경 전 여성의 경우 각각 1716.6±391.9kcal, 68.4±21.4g, 485.0±182.4mg이었으며,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각각 1714.5±360.9kcal, 68.7±20.5g, 497.1±186.0mg으로 폐경 전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열량과 칼슘의 섭취량은 각각 영양권장량의 85%, 70% 수준이었다. 흡연, 운동 등 생활습관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폐경 후 여성의 경우 흡연자에 비하여 비흡연자의 대퇴경부 골밀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폐경 전후 대상자 모두 규칙적인 운동을 한 경우에 요추 및 대퇴경부 골밀도가 더 높았다. 음주 여부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식습관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폐경 후 여성의 경우 단백질 식품과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하여 요추 골밀도가 더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과 골밀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요추 골밀도는 폐경 후 여성의 단백질, 칼슘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대퇴경부 골밀도는 영양소 섭취량과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었다. 폐경 전 여성의 경우는 요추 및 대퇴경부 골밀도 모두 영양소 섭취량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폐경 전후 여성에서 골밀도의 변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은 나이와 체질량지수(BMI)였으며, 나이가 어릴수록, BMI가 증가할수록 골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여성의 요추 골밀도는 나이보다는 폐경 후 경과기간과 초경나이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흡연, 운동 등의 생활습관, 단백질 식품과 유제품의 섭취 빈도, 단백질 및 칼슘의 섭취량 등의 식습관이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의 측정위치에 따라 생활습관 및 식습관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는데, 흡연은 대퇴경부 골밀도에, 식습관과 단백질, 칼슘섭취량은 요추 골밀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생활습관 및 식습관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은 폐경 전 여성의 경우보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성장기부터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 등의 바람직한 생활습관과 함께 적절한 양의 단백질 및 칼슘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지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