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7 Download: 0

모음환경에 따른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ㅅ/, /ㅈ/, /ㄱ/ 산출 연구

Title
모음환경에 따른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ㅅ/, /ㅈ/, /ㄱ/ 산출 연구
Authors
나니나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말소리 산출에서 가장 빈번한 오류를 보이는 음소는 조음방법상 마찰음과 파찰음이며, 조음위치 측면으로 연구개음을 들 수 있다. 마찰음과 파찰음은 높은 주파수대에 소리 정보를 담고 있어, 대부분의 경우 고주파수대에서 청력이 떨어지는 심도 이상의 청각장애 아동이 소리 정보를 변별하기 어려운 자음군이다. 또한 연구개음은 조음위치가 구강 후방에 위치하고 있어 시각적으로 조음위치와 방법을 관찰하기 어려운 자음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심도 청각 장애 아동은 이들 자음 산출을 쉽게 습득하지 못하며, 산출하더라도 빈번한 생략과 왜곡, 대치의 오류를 보인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마찰음과 파찰음, 연구개음에 나타나는 오류는 음운환경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띌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특정 말소리 환경에서 정확한 산출이 가능하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도 청각장애 아동이 마찰음과 파찰음, 연구개음의 대표자음인 /ㅅ/, /ㅈ/, /ㄱ/의 산출시, 가장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는 음운환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음운환경을 CV문맥과 VCV문맥으로 나누어, 목표 자음의 정확한 산출을 돕는 모음환경을 찾고자 하였다. 이는 우리말에서 자음이 단독으로 산출되지 않고, 반드시 모음과 함께 결합한 음절형태로만 산출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독립변인인 모음환경은 조음음성학적인 면에서 가장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이, /우/, /아/, /애/의 네 개로 한정하였다. 먼저 CV문맥에서는 뒤 모음 /이, /우/, /아/, /애/에 따라 /ㅅ/, /ㅈ/, /ㄱ/의 산출점수(정반응 1점, 오반응 0점)를 각각 분석했다. VCV문맥에서는 모음이 전후 모두에 위치하므로, 앞 모음을 기준으로 뒤 모음을 고저성과 전후성에서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와, 뒤 모음을 기준으로 앞 모음을 고저성과 전후성에서 체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두 경우로 나누어 자음별로 산출점수를 각각 분석했다. 본 연구는 보청기 착용 전의 청력 손실 외의 다른 변인을 제외하기 위한 방법으로 글자 자극을 통한 ‘읽기’로 /ㅅ/, /ㅈ/, /ㄱ/의 산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대상 아동은 심도 이상의 청력 손실 이외에 다른 발달적, 기능적 장애가 없는 초등학교 2-6학년 아동으로 제한하였다. 또 모음환경의 영향을 알기 위한 목적이므로 모음 /이, /우/, /아/, /애/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는 아동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각 자음별로 20명씩이며, 개체 내 변인이 하나인 반복측정의 방법으로 모음환경에 따른 자음 산출정확도를 분석했다. 이후 모음환경 간 효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한 사후검정으로 대비(반복) 검정을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V 문맥에서 /ㅅ/, /ㅈ/의 산출정확도는 모음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ㄱ/은 모음환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CV 문맥에서 /ㅅ/의 산출정확도가 가장 높은 모음환경은 /아/였다. 2) CV 문맥에서 /ㅈ/의 산출정확도가 가장 높은 모음환경은 /이/였다. 2. VCV 문맥에서 /ㅅ/, /ㅈ/의 산출정확도는 모음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ㄱ/은 모음환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 VCV문맥에서 /ㅅ/의 산출정확도는 앞 모음을 기준으로 했을 때와 뒤 모음을 기준으로 했을 때 모두 앞 모음과 뒤 모음이 동일한 경우에 산출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2) VCV문맥에서 /ㅈ/의 산출정확도는 앞 모음을 기준으로 했을 때와 뒤 모음을 기준으로 했을 때 모두 앞 모음과 뒤 모음이 동일한 경우에 산출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ofoundly hearing-impaired children show differences in articulation accuracy of /s/, /c/ and /k/ depending on the vowel environment. All of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 at 2-6 grade, and their hearing loss level was higher than profound. The subjects were twenty at each consonants, their productions were sampled and investigated by within-subject repeated measurement design. Each of the 3 consonants was combined with 4 vowels (/i/, /u/, /a/, /æ/), and so there at each consonant, 4 nonsense syllables of CV, and 16 nonsense syllables of VCV were used as stimuli to elicit the children s response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orrect /s/ and /c/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fferent vowels in the context of both CV and VCV. (2) the case of CV syllables, high percentages of correct /s/ production were obtained for /sa/ and /si/. (3) the case of CV syllables, high percentages of correct /c/ productionwere obtained for /ci/ and /cu/. (4) the case of VCV syllables, high percentages of correct /s/ production were obtained for /isi/, /usu/, /asa/, and /æsæ/. (5) the case of VCV syllables, high percentages of correct /c/ production were obtained for /ici/, /ucu/, /aca/, and /æc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