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른 부모 참여

Title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른 부모 참여
Authors
김혜린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이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참여 활동은 기관의 질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23곳을 1차로 선정하여 교육환경의 질적 수준을 측정한 후, 총점 범위를 기준으로 상위 30% 이상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상 집단과 하위 30% 이하의 점수를 받은 기관인 하 집단을 연구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연구 대상은 17곳의 유치원과, 이 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17명, 그리고 이 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425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전반적인 질적 환경을 평가하기 위하여 Harms와 Clifford(1980)가 제작한 유아교육환경 평가척도(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ECERS)를 임재택(1983)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기관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관용 질문지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부모용 질문지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BK21 핵심사업팀(2002)이 개발한 「유아교육기관 인정기준」 중 가정 및 지역사회 영역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에서의 부모참여 계획과 활동 실태에 대한 기관과 부모 인식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χ²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계획과 활동 효과에 대한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가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참여 계획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의 효율적인 연계를 위한 계획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계획 수립 여부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세우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연계 계획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에 개별적인 요구나 건의사항을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면담, 전화에 대한 기관 인식과, 전화, 교사 e-mail 및 유치원 홈페이지, 알림장 및 쪽지편지, 부모면담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정의 배경이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에 대해서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실시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희망 내용이나 일시 조사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파악한 내용이 실제 활동에 반영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조직 및 지원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과의 연계 담당 교직원에 대해서, 기관은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원장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부모는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질이 낮은 기관의 부모들에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두드러졌다. 부모회 및 임원회 구성 여부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회 및 임원회 활동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의 참여 및 협조 요청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요청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인 부모 참여를 위한 기관의 도움 제공에 대해서는 부모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도움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이 기관의 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가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육내용과 활동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도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양육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에서의 유아 행동이나 생활, 건상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관계없이 제공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과 가정이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인식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수업참관, 인쇄자료에 대한 기관 인식과, 어머니(아버지)참여수업, 부모 면담, 수업참관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정에서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기관을 지원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가정에서의 정보 제공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의 효과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의 교육활동에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에 대해서는 기관 인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가 기관의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의 가짓 수는 기관과 부모 모두 기관의 질에 따라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체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견학·행사 도우미, 학습자료 제공에 대한 기관 인식과, 보조교사에 대한 부모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의 가족들에게 반응적이고 따뜻하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사가 부모의 의견을 주의깊게 듣고 실제 교육활동에 반영하는지는 기관 인식과 부모 만족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가 유아의 가족을 존중하고 따뜻하게 대하는지는 부모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1.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2. Is there a difference of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In this study, 23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ve been selected first. After examin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s quality level,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high 30% were selected as the high group and the kindergartens that received grades in the low 30% were selected as the low group based on the total score range. The final selected research subjects are 17 kindergartens and the teachers and also the 425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here. In this study, the tool that Im Jei Tec (1983) modified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kindergarten’s environment. He modified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made by Clifford and Harms(1980) so it was right with our countrie s situation. The kindergarten questionnaire made to examine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of parent involvement was adjusted and supplemented by the Family and Local Community area which is from the 「Accreditation criteria for early childhood program」, developed by the Brain Korea 21 Projec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departm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To find out parent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the questionnaire for the parents were made in the same way. In this study, the χ²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if there was a difference of kindergarten and parent 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condition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Also the t verification was enforced to find out th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kindergarten and parent s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planning and activity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The followings are the epitome of the study conclusion.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of the planning linkage with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he plan for efficiently linking with the family. The parents and the kindergarten recognized that the success and failure of establishing the plan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planning linkage effect. The number of ways that parents could converse about proposals and requests to the kindergarte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about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 s recognition showed differences in parent counseling, phone counseling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s in phone counseling, e-mail connection, kindergarten homepage, letters, and parent counseling. The research to understand the family 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was recognized to be done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ut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arents recognition about expectation on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one time verification but both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o see if the researched contents would reflect to real activity. Second, I examined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plan for the linkage with the family. The faculty, dealing with family linkage, recognized the manager as the kindergarten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In the other hand the parent was recognized as the teacher and this showed more conspicuously in low quality kindergarten s parents.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parent s association and board committee form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to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 s recogni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atisfaction about the organization s activit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parent involvement activity and assistance request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quest effects that relates to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s satisfaction.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recognition about the kindergarten s aid offer for positive parent involvement and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dealing with the aid s effect.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ctivity linking with the family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First, I examined to see if the kindergarten supported the family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contents and activities was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connection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y the kindergarten and the parents and also both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s effe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Fostering information were recognized to be offered with no relations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y both the kindergarten and par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information effects on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the parent 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behavior, life, and health conditions in kindergarten was recognized that it had nothing to do with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ut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 satisfaction about the information s effects. There showed regardin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the kindergarten and family could intera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Also, in specified effects, kindergarten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class observation, print data,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mother(father) involvement class, parent counseling, and class observation. Second, I examined if the family supported the kindergarten with various contents and ways.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information offer in the family and kindergarten recognition and parent satisfaction bo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inform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dergarten recognition about parents positively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ways parents could participate in educat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kindergarten s environment but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field trip, event helper, study data offer and parent s satisfaction showed difference in classroom assistance. Third, I examined to see if it interacted nicely with the children s family. Th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kindergarten s recognition and parent s satisfaction dealing with whether or not the teacher listen carefully to the parent s opinion and reflect it to the actual activity. There on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ent s satisfaction on whether the teacher acted friendly and respected the child s fami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