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Title
과시소비성향과 정장 수입브랜드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Authors
박미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다른 어떤 제품보다도 의복은 착용자의 경제적 지위, 사회적 지위나 그 사람의 내재적 특성을 잘 표현한다. 그러므로 상징성이 중요시되고, 상징적 소비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과시소비의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소비자들의 과시욕구에 부응하고 기업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라이센스와 직수입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 추세이다. 1995년 병행수입제 허용과 1996년 유통시장 전면 개방 실시 등으로 불과 몇 년 사이에 폭발적인 급증을 이루었던 수입브랜드 도입이 1998년 IMF의 한파로 잠시 주춤했으나 1999년 경기회복으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점차 의류시장에서 큰 구매력을 행사하는 20대 여성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과시소비성향과 수입브랜드 선호 의 관계 및 의복구매행동을 파악하여, 마케팅의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20대 여성의 과시소비서향을 알아본다. 둘째, 과시소비성향과 수입 브랜드 선호의 관계를 알아본다. 셋째,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본다. 넷째, 수입 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500명을 편의추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2차례의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통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백분율,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earson 적률상관분석, duncan-test, X²-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자들의 과시소비성향의 평균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3.19로 나타났고, 과시소비성향을 측정하는 문항의 평균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상위 30%를 상, 중간 40%를 중, 하위 30%를 하로 분류하였다. 또한 여성 소비자들의 과시소비성향 차원은 유명상표선호요인, 타인인정지향요인, 유행추구요인 제품상징성 요인 고가 및 외제품 선호 요인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과시소비성향 하위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명상표요인과 고가 및 외제품 선호요인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타인인정지향요인과 유명상표요인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과시소비성향 하위요인의 영향력은 타인인정지향, 유명상표선호 요인, 제품의 상징성 요인, 유행지향 요인, 고가 및 외제품선호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셋째, 과시소비성향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적 변인을 살펴본 결과, 결혼여부를 제외한, 연령, 본인학력, 가장학력, 본인직업, 가장직업, 가정의 총월수입, 거주지, 주관적 사회계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과시소비성향과 수입브랜드 선호를 살펴본 결과, 수입브랜드를 선호할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수입브랜드 선호와 구매행동을 살펴본 결과 과시소비성향이 높을수록 국내브랜드 보다 수입브랜드를 선호한다. 선호이유도 가격이나 체형과의 적합성 같은 실용적 이유보다는 디자인·색상의 우수성 또는 상표신뢰성·우수한 명성과 같은 심미적이며 상징적 이유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시소비성향이 높을수록 수입브랜드구매경험도 높게 나타났으며, 수입브랜드 구매비중, 수입브랜드 정장 소유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과시소비성향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경우,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디스플레이,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정보원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다. 구매기준에 있어서는 디자인·스타일과 품질을 주요한 요인으로 뽑았다. 구매처의 경우 모든 집단에서 백화점의 이용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시소비성향이 높을수록 구매빈도도 더 높게 나타났고, 정장 한 벌 평균구매가격, 한계절 평균의복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입브랜드 선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경우, 디스플레이,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정보원의 이용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기준에 있어서는 디자인·스타일과 품질, 체형과의 적합성을 주요한 요인으로 뽑았다. 구매처의 경우도 백화점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브랜드 선호집단이 국내브랜드 선호집단보다 구매빈도도 높게 나타났고, 정장 한 벌 평균구매가격, 한계절 평균의복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basic strategy of examining marketing and promotional activities especially for the Korean women in their 20s. We will look over their conspicuous consuming tendency and imported-brand preferences based on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The specific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examine the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ny influential factors caused by this behavior. I will als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conspicuous consumption level. Second, it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foreign-brands preferences. Third, it is to examine the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by groups according to the conspicuous consumption level and by forming consumer groups who answered to prefer either imported- brands or domestic brands. The survey sheets were handed out to 464 women living in Seoul and the model sampling is based on their age and careers.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s and former studies are used as the method to extract the analysis outcome. SPSS Packages are applied to find out the results of frequencies, percentages, arithmatic means,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s, and the X²-test of the data.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three groups for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extracted from the mean. Five factors in conspicuous consumption are genera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he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composed of preference to be recognized by others factor, preference to well-known brand factor, high priced & preference to imported- brand factor, symbolic factor, trend-oriented factor. Second, with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the conspicuous consump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in age, educational levels in person, occupational levels in person, monthly household income, neighborhood and subjective social class. Third, after analysing correlation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mported-brand preference, it is found that consumer with high conspicuous consumption prefers imported-brands. Forth, there were the preference for brands, the reasons for the preference, purchasing experience of imported- brands, the portion of possessing imported- brands and the number of formal suits among them, which hav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conspicuous consumption. Fifth, purchasing behavior of clothi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spicuous consumption in information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tore types, purchasing frequency,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 Sixth,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import brand reference in informations,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tore types, purchasing frequency, seasonal clothing expendi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