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정원-
dc.creator서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어(漢語)학습서인 『노걸대(老乞大)』를 중심으로 복식관련 명칭을 정리·비교한 것이다. 『노걸대』는 주로 상가(商賈)의 실용(實用) 회화를 다룬 것으로 고려 후기에서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간본(刊本)을 편찬하였다. 기본적인 내용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여러 차례 원문의 개수(改修)나 언해(諺解)를 통해 각 편찬 당시의 한어 구어체를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사회 풍속과 생활문화도 기록하고 있어서 우리 나라와 대륙 제(諸)민족들간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사적 자료를 제공해 주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걸대』의 이와 같은 특징을 고려하여, 현존하고 있는 (원간(原刊))『노걸대(老乞大)』, (산개(刪改))『노걸대(老乞大)』, (번역(飜譯))『노걸대(老乞大)』 上·下,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上·下, 『구간노걸대(舊刊老乞大)』 上·下, 『노걸대신석(老乞大新釋)』, 『노걸대신석언해(老乞大新釋諺解)』 卷一, 『중간노걸대(重刊老乞大)』, 『중간노걸대언해(重刊老乞大諺解)』 上·下를 대상으로 복식관련용어를 살펴보았다. 단, 이 가운데 바로 전(前) 시기의 『노걸대언해』와 내용이 거의 유사하여 복식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점을 찾지 못하였던 『구간노걸대』, 『중간노걸대언해』와 한어문이 일치하는 『중간노걸대』는 제외하였다. 또한 전문(全文)이 남아있지 않은 『노걸대신석언해』도 제외하였다. 이상 6종류의 『노걸대』를 한어문의 변화 양상에 따라 (원간)『노걸대』, (산개)『노걸대』~『노걸대언해』,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로 분류하여 표를 구성하고 각 시기별로 사용되어진 복식 관련 용어를 찾아 크게 복식과 소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노걸대』에는 관모(冠帽), 의(衣), 대(帶), 신발 등의 복식관련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관모의 입식(笠飾)인 정자(頂子)는 우리 나라에서 제도화 된 것이 명(明)나라 건국(1368) 이전인 고려 공민왕 16년(1367)임을 볼 때 원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노걸대』에서도 정자에 관한 기록이 (원간)『노걸대』(1346년 추정)에서부터 기록되어 있어서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샹모 로 언해되는 紅纓은 붉은 색 모자의 끈 또는 모(帽)의 정상에 하는 붉은 색 이삭모양[穗子]의 장식을 뜻한다. 紅纓은 조선시대에 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간)『노걸대』에서 고려 상인이 본국으로 사가는 잡화물품 목록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어서 고려시대에 이미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입영(笠纓)은 원나라 황제의 초상화, 직물의 문양이나 같은 시기 우리 나라 초상화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원 이후의 회화자료나 초상화에서는 입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서, 원나라와 고려에서 유행하던 입영제도가 명이 건국되면서 중국에서는 사라지고 고려에만 남아 조선까지 그 풍속이 이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입영이 발생하게 된 정확한 기원은 알 수 없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려(麗)·원(元) 관계 교류를 밝히는 또 하나의 좋은 근거로 생각된다. 帽子는 대부분 갓 으로 언해된다. 갓 은 보통 립(笠) 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노걸대』에 나타난 모자류(帽子類)에서는 문맥이나 명칭 자체로 난모(煖帽)로 추측되는 貂鼠皮披肩, 大帽子, 紵絲剛叉帽兒, 天靑紵絲帽兒, 雲南氈帽兒, 貂鼠皮狐帽 등도 ~갓 으로 언해되어있다. 따라서 갓 은 특정명칭이 아니라 모자를 통칭하는 의미로 쓰였다고 함이 적절하다. 그 밖에 (원간)『노걸대』에서는 후대에 편찬된 『노걸대』 간본들보다 油單고고, 副圓종帽兒, 單桃牛尾笠子, 靑氈鉢笠兒, 笠子 등 다양한 명칭들이 나타난다. 특히 油單고고의 고고란 12~13세기에 직위 있는 몽골 귀부인만이 쓸 수 있었던 관모로 몽골어에서 차용된 명칭이다. 『노걸대』의 시대별 간본의 변화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의복명칭으로는 오子, 直身, 布衫, 汗衫, 袴兒이며, (원간)『노걸대』에서는 披氈氈衫, 腰線오子, 搭搭五兒, 衫兒, 雲肩搭胡, 開襟오子가 나타나며, (산개)『노걸대』~『노걸대언해』에서는 曳撒(衣撒),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에서는 袍子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와 거의 비슷한 시기에 편찬된 『박통사신석언해』(1765)에도 帖裏, 曳撒(衣撒), 搭胡의 명칭을 찾아 볼 수 없다. 대신 細褶單袍子, 袍子 등의 새로운 명칭이 쓰이고 이에 대한 언해는 □□ 주름 홋두루막 , 두루막이 로 나타난다. 이렇듯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복식명칭들은 각 시기에 대표적인 의복을 뜻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繫腰는 띠[帶]를 나타내며, 靴는 소재와 신발 장식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裙刀子(裙上帶的小刀子) 등은 (원간)『노걸대』에서부터 그 기록이 나타나 있어 몽골풍과도 관련있는 품목으로 사료된다. 소재와 관련된 명칭으로는 마직물(麻織物), 면(綿), 견직물(絹織物), 모직물(毛織物) 등의 직물(織物)류, 피혁(皮革)과 실[絲], 뿔, 나무종류 등이 나타났다. 또한 직물과 관련된 색채와 문양에 관한 명칭도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모시뵈 라 언해되는 毛施布는 우리 나라의 저마포(苧麻布)로 고려에서 불리는 명칭이 중국에서 그대로 사용되었다. 한인(漢人)들 사이에서는 麻布, 木絲布, 沒絲布, 漂白布 등으로도 불렸다. 그러나 후대 간본인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에서는 毛藍布라는 명칭이 쓰여 모시뵈 로 언해된다. 綿子(면子) 혹은 綿(면)은 직물으로서의 의미보다 솜 의 의미로서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것을 볼 수 있다. 솜 을 지칭하는 한자어는 綿(면), 綿子(면子) 뿐 아니라 花絨, 壓的綿花, 凉(량)花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凉(량)花는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에 그 기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가장 늦게 출현한 명칭으로 보인다. 견직물에는 여러 종류가 나타난다. 특히 (원간)『노걸대』 이후의 간본에서는 단직물(緞織物)의 색과 문양의 상태가 직물명에 형용되어 있어 다양한 단(緞)의 명칭들이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명·청대(淸代)에 주자직 직물이 많이 제직되었다는 사실과 일치하고 있다. (원간)『노걸대』에서는 후대 다른 간본들에 비하여 직금(織金)과 관련된 명칭을 많이 나타나며, 특히 편김답자, 渾金搭子 등과 같이 몽골어의 차용어도 나타난다. 색채명을 살펴보면 (원간)『노걸대』에서는 갈색(褐色)계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원대 서민복식에 선명한 색채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함에 따라서 갈색계열의 염색이 매우 발전했다는 기록은 (원간)『노걸대』의 기록과 일치하고 있다. 후대 간본으로 갈수록 갈색계의 색명이 줄어들고 청색계열의 색이 월등히 많아지는 것은 명·청대에는 청색계열이 선호된 듯하다. 문양으로는 운문(雲紋), 식물문(植物紋), 동물문(動物紋), 길상문(吉祥紋), 복합문(複合紋) 등 다양한 문양의 명칭이 나타나는데 특히 운문은 (원간)『노걸대』 이후의 간본에서 많이 나타난다. 피혁류에는 貂鼠皮, 궤皮, 서피, 斜皮 등이 있었는데, 직물류와 달리 간본별로 특별한 특징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밖에 犀角, 象牙는 초기 간본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에서 나타나므로 조선후기에 수입량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걸대』가 편찬된 기간은 중국 대륙 내에서 몽골족, 한족(漢族), 만주족(滿洲族)에 의해 왕조의 교체가 3번이나 이뤄진 기간이다. 왕조교체로 인한 한어의 변화양상은 『노걸대』의 원문의 개수(改修)나 언해(諺解)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본 연구에서 한어의 현격한 수정양상에 따라 나눈 『노걸대』의 세 시기는 대륙에서의 왕조교체 연도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간)『노걸대』에서는 몽골의 원제국, (산개)『노걸대』~『노걸대언해』는 한족(漢族)의 명왕조(明王朝), 『노걸대신석』~『중간노걸대언해』에서는 만주족(滿洲族)의 청왕조(淸王朝)의 특징들을 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 특정문화가 유입되어 보편화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따진다면 『노걸대』의 한어문의 변화는 대륙에서의 왕조 교체에 따른 변화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노걸대』는 중국의 시대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지만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노걸대』 내에는 한국복식과 관련된 많은 명칭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한·중 교류사와 병행 연구를 한다면 여러 복식 명칭의 유래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노걸대』가 편찬되었던 14~18세기라는 광범위한 시기 안에서의 고려와 원의 관계, 조선과 명·청과의 관계 등 역사적 배경을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또한 문헌을 통한 연구였기 때문에 소재나 복식에서의 실제적인 형태를 추정하기는 힘들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노걸대』에 나타난 복식관련용어의 초기작업으로서 대부분 명칭들을 소개하는데서 그쳤으나, 올바른 사료의 인용을 위한 『노걸대』의 분석에 있어서는 성과가 있었다. 앞으로 복식별, 소재별에 대한 세부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는 다음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ssify and compare terminologies related to dress styles based on Nogeoldae, an study book for Chinese language. The book deals with colloquial side of the language used by merchants, and several different versions of it have been published betwee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late Chosun Dynasty. While maintaining its main contents, it was revised and translated to record the conversational form of the language at the time it was written. Also, the book depicts social customs and living cultures, providing important historial data that are essential in studying interrelation between Korea and the surrounding nations in the continent. Keeping such features of Nogeoldae in mind, the thesis examines the terminologies found in Nogeoldae(original version), Nogeoldae(revised version), Nogeoldae I/II(translated version), Nogeoldaeunhae I/II, Gugannogeoldae I/II, Nogeoldaeshinseok, Nogeldaeshinseokunhae I, Junggannogeoldae, and Junggannogealdaeunhae I/II. Gugannogeoldae, Nogeldaeshinseokunhae, and Junggannogeoldaeare excluded; Gugannogeoldae and Junggannogeoldae share nearly or exactly same content with Nogeoldaeunhae and Junggannogealdaeunhae respectively. Nogeldaeshinseokunhae fail to make the list as parts of its manuscript have been lost. These six versions of Nogeoldae are dvided into three groups and are made into a tabl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Chinese language; Nogeoldae(original version), Nogeoldae(revised version) ~ Nogeoldaeunhae, and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Then terminologies from each period are collected and categorized in terms of their dress styles and materials. Costume related terms such as official caps, clothes, belts and shoes appear in Nogeoldae. For example, that Jeongja(頂子), a type of official ornament, was officially adopted in the 16th year of King Gongmin of the Koryo Dynasty (1367) just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Ming(明) Dynasty (1368) tells that its style is derives from the Yuan(元) Dynasty.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records concerning jeongja in Nogeoldae are found from the edition Nogeoldae(original version). 紅纓, which is interpreted as Syangmo(샹모) in Korean, means a red string of a hat or a red colored, ear-shaped [穗子] ornament on Jeongja of a official cap. 紅纓 is known to have been used mainly during the Chosun Dynasty, but it is included in the list of general merchandise of a Korean merchant who was on the way back to his home country, which suggests that it was possibly used in the Koryo Dynasty. Ripyeong(笠纓) is seen on the portraits of emperors or tapestries in the Yuan Dynasty and on Korean portraits of the same period. However, it disappears from paintings and portraits after Yuan. This shows that it has been popular in the Yuan and Koryo Dynasty but stopped in China when the Ming Dynasty was established and only continued to exist in Korea by being delivered to the Chosun Dynasty. The origin of Ripyeong is not clear. If it is investigated in depth, it will provide an excellent base for clarifying the relationship and exchanges between Koryo and Yuan. Moja(帽子 - caps) was mostly translated as Gaot in Korean. Gaot is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Rip(笠). However, kinds of caps appearing in Nogeoldae were translated as ~Gaot , even though some of them such as 貂鼠皮披肩, 大帽子, 紵絲剛叉帽兒, 天靑紵絲帽兒, 雲南氈帽兒 and 貂鼠皮狐帽 are supposed to be winter cap(煖帽) considering the contexts or the literal meanings of the terms. This suggests that Gaot was used as a common name denoting all types of hats. Compared to later editions of Nogeoldae, Nogeoldae(original version) contains various terms such as 油單고고, 副圓종帽兒, 單桃牛尾笠子, 靑氈鉢笠兒 and 笠子. In particular, 고고 in 油單고고 is a word borrowed from Mongolian, which implies an official cap for Mongolian noble women of title in the 12th~13th century. Names of dresses appearing in all the editions regardless of their revisions are 오子, 直身, 布衫, 汗衫 and 袴兒. Significantly, Nogeoldae(original version) has 披氈氈衫, 腰線오子, 搭搭五兒, 衫兒, 雲肩搭胡 and 開襟오子, while Nogeoldae(revised version) ~ Nogeoldaeunhae do 曳撒(衣撒), and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do 袍子. Baktongsasinseokeonhae(1765), which was edited in a similar age to that when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were edited, does not show names such as 帖裏, 曳撒(衣撒) and 搭胡. Instead, it contains new names such as 細褶單袍子 and 袍子, which were translated as gana jureum hotdurumag (□□ 주름 홋두루막) and durumagi (두루막이) respectively. These characteristic names of dresses are considered to denote representative dresses in the corresponding periods. 繫腰 represents a belt [帶], and shoes are ca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corations and materials. 裙刀子(裙上帶的小刀子), which begins to appear from Nogeoldae(original version), is considered to be an item related to Mongolian customs. There were fabrics such as phloem fiber fabrics, cotton, silk, wool, etc., leather, yarn, and other materials such as horns and woods in Nogeoldae. Mosipo(毛施布 - Ramie fabrics), which was translated as Mosiboi in Korean and is equivalent to Korean 苧麻布, derived its name from that used in Koryo. It was called 麻布, 木絲布, 沒絲布, or 漂白布 by Chineses. However,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the later editions, called it 毛藍布and translated into Mosiboi in Korean. 綿子(면子) or 綿(면) appears to denote silk cotton rather than fabric in general. Chinese characters indicating cotton are various from 綿(면) and 綿子(면子) to 花絨, 壓的綿花, 凉(량)花. 凉(량)花 appears in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which may means that the name emerged most lately. Various terminologies are found with regard to silk fabrics. Especially versions after Nogeoldae(original version) include diverse names of silk fabrics that represent the colors and patterns of the silk fabrics. This coincides with the fact that the Ming and Qing Dynasty in China produced a large amount of satin fabrics. Compared to the other editions, Nogeoldae(original version) contains many terms related to golden fabrics(織金) and words borrowed from Mongolian such as 편김답자 and 渾金搭子. As for terms concerning colors, brown color is mentioned most frequently in Nogeoldae(original version). The record that because the Yuan Dynasty prohibited the common people from wearing dresses of in vivid colors brownish dyeing was highly developed is in accord with the record of Nogeoldae(original version). Later editions have a less number of mentions on brownish colors and a remarkable increasing number of mentions of bluish colors. This suggests that bluish colors were preferred in the Ming and Qing Dynasty. As for patterns, terms related to various types of patterns such as cloud patterns, plant patterns, animal patterns and fortune patterns and composite patterns appear. Especially, cloud patterns are mentioned frequently in the editions since Nogeoldae(original version). Types of leather mentioned are 貂鼠皮, 궤皮, 서피, and 斜皮. They do not show any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editions. In addition, rhino horns and ivory appearing in Nogeoldaeshinseok ~ Junggannogealdaeunhae suggest that they were imported in an increasing amount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editions of Nogeoldae were published over the period during which China underwent power changes three times by the Mongolian, the Chinese and the Manchurian. Changes in Chinese expressions caused by the power changes are continuously reflected in the revisions and translations into Korean in Nogeoldae. Especially, though the three periods of Nogeoldae, which result from division based on distinctive revision patterns, do not coincide with the year of the power changes in the continent, Nogeoldae(original version)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golian Empire, Nogeoldae(revised version) ∼ Nogeoldaeunhae the Chinese Ming Empire, and Nogeolshinsseokdae ~ Junggannogeoldaeunhae the Manchurian Qing Empire. Taking the time to be taken for a specific culture to be imported and popularized into account, the changes in Chinese expressions in Nogeoldae are considered to correspond with the power changes in the continent. As Nogeoldae is a study book of Chinese language, it is focused on the real situation of China in the corresponding period. With regard to terminologies related to dresses, it is not certain how much it deals with Chinese dresses and how precisely it reflects the Korean reality. Nogeoldae is deeply related to the historical situations of China. However, as examined above, Nogeoldae contains numerous terms related to Korean dresses. Therefore, if it is analyzed in parallel with the history of Korea-China interchange, the origins and other relevant facts of the names of various dresses will possibly be revealed. Though the study should have involved historical backgrounds including the relation between Koryo and Yuen and the relation between Chosun and Ming or Qing within such a long period, about fifth century, Nogeoldae was published. But it did not handle all of these. Furthermore, another limitation is that it could not figure the actual shapes and materials of dresses because it was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thesis simply introduced most terms related to dresses appearing in Nogeoldae, as an initial work for researches on dress-related terminologies. However, its results were valuable in that Nogeoldae may be referred appropriately as a historical material based on this analysis. More detailed and in-depth analyses of dresses by materials and patterns will be carried out further in the fu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 서론 = 1 A. 연구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방법과 내용 = 3 II. 『노걸대(老乞大)』의 편찬과 간행 = 6 A. 『노걸대』가 쓰여진 배경 = 6 B. 『노걸대』의 내용과 구성 = 7 C. 『노걸대』의 변천 = 10 1. 한어본(漢語本) = 10 2. 언해본(諺解本) = 12 III. 『노걸대(老乞大)』에 기록된 복식 = 15 A. 관모(冠帽) = 15 B. 의(衣) = 30 C. 대(帶) = 43 D. 신발 = 47 E. 기타 = 49 IV. 『노걸대(老乞大)』에 기록된 소재 = 57 A. 직물(織物) = 57 1. 마직물(麻織物) = 57 2. 면(綿) = 60 3. 견직물(絹織物) = 61 4. 모직물(毛織物) = 75 5. 색채와 문양 = 76 B. 피혁(皮革) = 90 C. 기타 = 92 V. 결론 및 제언 = 95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89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老乞大' 刊本들을 통해본 14~18세기의 복식관련 용어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