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5 Download: 0

서울시 초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 실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분석

Title
서울시 초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 실시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분석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시 현황과 수행평가에 관한 전반적 인식을 분석하고 그 실시와 인식에 따르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교육현장에서 수행평가가 실천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로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시 현황(연수 실태, 실시 절차의 수준, 실시 종류와 사용의 이유) 파악,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전반적 수행평가에 관한 인식(정의, 교과와의 관련성, 실시현황, 지원현황) 분석, 셋째, 초등 교사들의 수행평가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 넷째, 교사 특성에 따른 수행평가 실시 현황 및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연구의 모집단으로 2단계 군집 표집으로 60개 학교 720명의 교사에게 질문지를 발송하여 68%에 해당하는 496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사용되었다. 질문지 분석 결과, 첫째,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시 현황에 대한 조사 중 학기당 수행평가 교내연수 횟수 평균은 약 3회였고, 교사들의 주당 수행평가 연구 시간의 평균은 약 2시간 30분 정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공립학교 교사보다는 사립학교 교사가,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수행평가 연구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직 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행정직 담당 업무가 많은 교사일수록 수행평가 연구시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부 연수 경험자들은 연구 대상 교사 전체의 약 1/4에 불과하였으며, 수행평가에 관한 정보는 주로 문헌이나 교내 연수를 통해서 얻는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제를 작성하고 선정, 실시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의 협의보다는 외부 제작된 과제를 골라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정도였으며, 그 수행 결과에 대해서도 학부모에게 통보하는 방식에 그치고 있을 뿐 상호작용이 이뤄지고 있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사립학교 교사들은 본인이 제작한 과제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 국·공립학교 교사들은 외부제작 과제를 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수행평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학습 측면에 많은 이점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행평가의 종류를 평가 기록 방법(누가기록)이나, 형성평가, 시험지 등과 같은 평가의 유형과 혼동함으로써 수행평가의 종류를 확대 해석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의 인식에서도 상당수의 교사들은 수행평가를 형성평가 라고 정의 내려 과정 의 평가와 혼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수행평가의 지원에 대해 교사들은 교육청, 교장, 교사간의 장려가 보통이라고 인식하였으나, 비용 및 자료, 기술과 연수에 대한 지원은 별로 없다고 응답하여, 인적 지원보다는 물적 지원이 아주 빈약함을 말해 주고 있다. 교사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직위의 교사일수록 그리고 남교사인 경우 지원이 많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를 실시의 장애요인으로는 현 우리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업무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과 과밀학급을 말하였다. 넷째,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시와 그 효과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수행평가가 학교활동에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또한 실시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도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그에 비해 현 교육실정이나 교육과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업무부담을 가중시키고 실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였다. 수행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충분히 신뢰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평가 실시의 효과에 대해 교사들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는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시는 양적 증가에 비해 질적 측면에서의 실질적인 수행평가가 이뤄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수행평가에 관한 긍정적 인식을 갖고, 그 실시 효과가 교육에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수행평가 연수 및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몸소 수행평가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들이 수행평가의 이론은 물론, 실제 제작 및 사용에 관한 연구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는 연구 분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the present condition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overall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to analyze those issues related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eventually to make an alternative proposal for more practicable and systematic performance assessment. This thesis treats the following 4 subjects; how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is being conducted(an investigation into training, an execution procedure, and the types & reasons), how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perceive this performance assessment(a definition, a correlation with curriculum, and executing & supporting conditions), how mu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 effect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lastly i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executed according to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s and then how the results are different.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of 720 teachers was conducted,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60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4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hich amounted to 68%. First, the study proves that, with regard to the present condi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get an average of 3 training courses per semester and that they spend an average of 2.5 hours a week in doing research activiti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private school teachers and female teachers spend much more time studying performance assessment than public school teachers and male teachers do, and that those with many years teaching career and thos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have got less time to study. In the meantime, only a quarter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have experienced some external training courses and theyve got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mainly from reference materials or training in school. Most public school teachers would choos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which is designed by an external agency, rather than the one which is made by teachers themselves. They also just notify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means there are little feedback 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about the results. On the contrary, private school teachers answer that they make their own assessment task, not using an external one. Second, it is found that teachers use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which they think would have a great deal of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But some teachers tend to magnify the mean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by mistaking performance assessment for scoring method, formative assessment, and examination paper etc. Moreover, teachers define performance assessment as a formative assessment, thus they show a tendency to confuse these two things. Third, regarding the support for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s answer that the support from educational facilities, principals, and other teachers is average but that the support in money, materials, and training is below the average. This indicates that material support is much poorer than the support of human resources. Analysi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roves that the more teachers have teaching experience or administrative affairs, the more they recognize theyve got enough support. Besides, overcrowded class and lack of time due to administrative works are chosen to be obstacles to performance assessment. Fourth, as for the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its effect, teachers answer that they consider performance assessment as one of the major school activities and that they are very interested in conducting this assessment. But, on the other hand, teachers complain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or curriculum and that it increases burden on themselves. It is also found that teachers don t think the result of assessment is completely reliable. The teachers recognize performance assessment is effective, but at the same time they don t understand clearly any positive effects of this assessment. After all, performance assessment has grown in terms of quantity, not in terms of quality. Accordingly teachers shoul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of performance assessment so that they might have positive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at they might anticipate the performance assessment would bring about a great deal of desirable effects on education. Consequently more academic atmosphere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devote themselves to not only theoretical research but also practical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