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1 Download: 0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Title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Authors
김신영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를 규명하고, 규명된 문제의 요인들이 기관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들은 무엇인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한가?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 845명이었으며, 국· 공립 유치원 교사 186명, 사립유치원 교사 389명, 어린이집 교사 27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제 규명을 위한 질문지는 문헌연구와 기초조사, 2회의 델파이(Delphi)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방법에서는 교사들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를 추정하였다. 국·공립, 사립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이 사용되었고, 사후검증을 위하여 Scheff 의 사후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 관계 파악을 위하여 단순적률상관계수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는 79개의 문항으로 규명되었으며 이것은 9개의 요인으로 유목화되었다. 9개의 요인은 유아의 교수학습 , 프로그램 , 교사의 능력개발 , 기관장과의 관계 , 동료와의 관계 , 부모와의 관계 , 제도 , 시설·설비 , 그리고 시간운영 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3.61) 요인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시간운영(3.36) , 제도(3.28)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문제의 발생 빈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사립 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하위요인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 , 프로그램 , 부모와의 관계 , 시설·설비 , 시간운영 의 요인에서 문제의 발생 빈도가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그 중 유아의 교수학습 요인은 세기관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에 시간운영 요인은 사립 유치원 교사에게서, 프로그램 요인은 어린이집 교사에게서, 시설· 설비 요인은 국·공립 유치원 교사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시간운영(3.40) 요인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제도(3.38) 부모와의 관계(3.33) , 유아의 교수학습(3.32)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른 문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전체적으로 사립 유치원 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였으며, 세 집단간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하위요인에서는 프로그램 , 교사의 능력개발 , 동료와의 관계 , 부모와의 관계 , 시설· 설비 , 시간운영 요인에 있어서 세 집단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국· 공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시설· 설비 요인이, 사립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시간운영 요인이, 어린이집 교사는 부모와의 관계 요인이 가장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는 유아의 교수학습 , 프로그램 요인에서 문제의 발생 빈도가 어려움 정도보다 더 크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능력개발 , 기관장과의 관계 , 동료와의 관계 , 부모와의 관계 , 제도 , 시설·설비 , 시간운영 요인 에서는 문제의 발생 빈도에 비하여 어려움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면서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나타났다. 문제의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의 하위요인간 상관관계에서는 시간운영 요인의 문제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871)를 나타내었고, 다음은 시설·설비 (.841), 제도 (.803)의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validate problems perceived by teachers in different types of the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for this study: 1. What are the problems which teachers perceived? 2. What about the frequency of the occurrence of the above problems? 3. What is the degree of the bothersomeness of the teachers due to these problems? 4.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of the teachers perceived problem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845 teachers nationwide: One hundred eighty six were from public kindergartens, 389 were from private kindergartens and 270 were from child 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study, two times Delphi and the pretest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the factor analysis, cronbach , ANOVA, Scheff post-test and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oblem identification task resulted in 79 unique problems which fell into nine global areas of factors: instruction and learning , program ,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 relations with supervisors , relations with colleague , relations with parents , system ,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 2. For the frequency of teacher s perceived problems,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management of time and system .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eacher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perceived problems the most frequently in the sum of all factors, but that was not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ut in the sub-factors, instruction and learning , program , relations with parents ,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show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The factor instruction and learning wa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in all three institutions. The factor management of time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actor program in the child center teachers and the factor equipment and facilities i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3. For the bothersomeness of teacher s perceived problems,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system , relations with parents and instruction and learning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bothersomeness most seriousl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sub-factors,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gram ,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 relations with colleague , relations with parents ,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factors. In the case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i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 with parents factor was found a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the child center teachers. 4.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by the teachers. But in the sub-factor instruction and learning and program factors, the frequency was observed to be more serious than bothersomeness, and that was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development of teacher ability , relations with supervisors , relations with colleague , relations with parents , system ,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time factors, the bothersomeness was more critical than the frequency,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correlation of sub-factors between the frequency and bothersomeness, the management of time factor was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system fact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