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Title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친사회적 주제의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과정 요소인 친사회적 추론수준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돕기행동, 나누기 행동을 통제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치원 실제 관찰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돕기행동, 나누기 행동의 빈도는 통제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즉,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은 통제집단, 실험 I 집단, 실험 II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은 친사회적 행동과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N유치원의 만 5세반 두 학급의 유아 36명으로 통제집단과 실험 I 집단과 실험 II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은 친사회적 주제가 포함되지 않은 그림동화책을 소그룹으로 읽어주고, 실험 II 집단은 돕기, 나누기 주제가 담긴 그림동화책을 소그룹으로 읽어준 후에 감정이입적 추론토의를 하였다. 연구는 사전평가, 6주간의 실험, 그리고 사후평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 사후 평가에서 이루어진 각 유아의 돕기와 나누기 행동의 검사 및 관찰과 친사회적 추론 검사의 상황은 비디오 녹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점수 및 관찰 빈도를 매개변인으로 공분선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집단간 사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비교 분석을 하였다. 또한, 추론과 행동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 여부에 따라 돕기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고 토의한 집단이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기만 한 집단이나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더 높았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빈도는 유치원 실제 관찰에서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 여부에 따라 돕기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준 집단 유아들의 자발적 돕기 행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놓았으며, 특히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고 토의한 집단 유아들의 자발적 돕기행동 빈도는 가장 높았다. 셋째, 유아의 친사회적 추론 수준은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고 토의한 집단 유아들의 친사회적 추론 수준은 친사회적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기만 한 집단, 그리고 통제집단보다 더 높았다. 넷째, 유아의 돕기 행동과 나누기 행동은 친사회적 추론 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친사회적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돕기행동과 친사회적 추론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또한 그림동화책을 읽어주기만 하기보다는 읽어준 후에 토의를 하는 것은 친사회적 추론 및 행동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p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social story telling and dis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helping and sharing behaviors and prosocial reasoning as inner process of prosocial behavior. To meet the above purpose, four study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I.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s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cores of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I.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frequency of prosocial behavior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the natural setting? In other words,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h fregnancy of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in the natural setting? Ⅲ.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reasoning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Ⅳ.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prosocial reason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6 five year-old children who attended a private N kindergarden in an upper-middle class neighborhood of Gwangju. Each class was designed as control group(12 children), experimental I group(12 children), and experimental II group(12 children).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story telling which excluded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The expeimental II group was exposed to story telling which included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with empathic inference disscussion while experimental I group was exposed to story telling which included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without empathic inference disscussion. The expermental procedure was pre-test and pre-observation, six-week intervention, and post-test and post-observation. Each child was video taped in the pre- and post-test phase. Also, each group was video taped three times in the pre- and pre-observation phases, and then the frequency of each child s spontaneous, requested, and refusal of helping and sharing behavior were calculated. After reviewing the video tape, the scores and frequency of children s helping and sharing behaviors were measured. The rated data were analyzed by adjusted means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for statistical control, by using Scheffe method for planned comparison analysis, and by applying correlation analysis for rel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helping behavior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Especially, The scores of children s help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prosocial story telling with disscussion compaired to the group without disscussion and the control group. 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hildren s spontaneous helping behavior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helping hehavio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exposed to prosocial story telling without disscussion and prosocial story telling with disscussion compaired to the control group. I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osocial reasoning among the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The level of children s prosocial reasoning was higher in the group exposed to prosocial story telling with disscussion compaired to the group exposed to prosocial story telling without disscussion and the control group. IV. There were practical correlations between the prosocial behavior and the prosocial reaso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