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단서 및 놀이 개입 유형 분석

Title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단서 및 놀이 개입 유형 분석
Authors
남궁선혜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ers s interactive descision making about free play period. In addition, an attampt was to compare the interactive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base on it. Specific questions addressed in the study include: 1. What kinds of cue do kindergarten teachers in free play period? 1-1 What is the cue? 1-2 What is the different thing between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about the cue? 2. What kinds of levels do kindergarten teachers in free play period? 2-1 what is the levels? 2-2 What is the different thing between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about the levels? 3. What kinds of play intervention do kindergarten teachers in free play period? The subject for the study were 18 kindergarten teachers. Stimulated recall techniques were used to collect data on their interactive decision making processes during free play period. Stimulated recall data was classified in cue, level, and decision making. The results of the sy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rder of kindergarten teachers cue were lesson s goal(24.4%), childrens development progress(25.2%), setting(16.5%), classroom climate(13.5%),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12.5%), classroom manegement(5.7%).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were found in lesson s goal, classroom manegement and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Experienced teachers inclined to more perceive about lessons goal and classroom manegement. Otherwise beginning teachers inclined to more perceive about childrens distruptive behavior. 2. Kindergarten teachers inclined to think routine level about cue. Setting(15.7%) was the highest ratio in routine level about cue. Lesson s goal(18.8%) was the highest ratio in interactive level about cue.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were found in level about cue. When teachers judge routine level about cue, beginning teachers more perceived lesson s goal and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than experienced teachers. But teachers judge interactice level about cue, experienced teachers more perceived lesson s goal than beginning teachers. 3. The order of kindergarten teachers decision making in free play period were setting organization (21.8%), redirection (20.9%), conversation (11.4%), maintenance (10.5%), instruction (10.1%), direction (9.2%), praise (6.4%), participation (4.7%) and demonstration (4.4%).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and beginning teachers were found in direction, maintenance. Beginning teachers were more decisions than experienced teachers in direction. Experienced teachers were more decisions than, beinning teachers in maintenance.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 교사가 어떤 놀이 개입을 결정하는지와 놀이 개입을 결정하게 하는 단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경력이 많은 교사와 경력이 적은 교사의 차이점을 알아보아 교사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놀이시 놀이 개입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단서는 무엇인가? 1-1 단서의 유형은 무엇인가? 1-2 단서의 유형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자유놀이시 놀이 개입 의사결정을 하게 하는 단서를 해석하는 수준은 어떠한가? 2-1 단서의 해석 수준은 어떠한가? 2-2 단서의 해석 수준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자유놀이시 놀이 개입 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 이상을 졸업한 유치원 교사 18명이다. 유치원 교사들이 자유놀이 시간에 어떠한 놀이 개입을 결정하며, 놀이 개입을 결정하게 하는 단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자극회상기법을 이용하여 유아 교사로부터 사후면담 자료를 수집한 후 이어서 이를 단서의 유형, 단서를 해석하는 수준, 놀이 개입 유형에 의해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들이 자유놀이 시간에 놀이 개입시 가장 많이 인식하는 단서의 유형으로는 활동목표(25.5%)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유아의 발달 성장 과정(25.2%), 환경(16.5%), 학습분위기(13.5%),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13.3%), 학급운영(5.7%)의 순으로 나타났다. 단서를 인식함에 있어 경력별로 비율의 차이를 보이는 단서의 유형은 활동목표, 학급운영,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이다. 활동목표 단서에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65.3%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경력이 적은 교사는 이보다 적은 34.7%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학급운영 단서에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69.2%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경력이 적은 교사는 이보다 적은 30.8%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21.8%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경력이 적은 교사는 78.2%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즉 경력이 많은 교사는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활동목표와 학급운영 단서를 더 많이 인식하였고 경력이 적은 교사는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 단서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2. 유아교사들은 자유놀이 시간에 놀이 개입시 인식한 단서를 해석함에 있어서 단서를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44.6%)하기 보다는 습관적으로 해석(55.4%)하는 경향이 있다. 단서를 습관적으로 해석하는 수준에서 가장 많이 인식하는 단서의 유형은 환경(15.7%)이며 단서를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수준에서 가장 많이 인식하는 단서의 유형은 활동목표(18.8%)로 나타났다. 단서를 해석함에 있어서 경력별로 차이를 보면 먼저 경력이 많은 교사는 단서를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경력이 적은 교사는 단서를 습관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단서를 습관적으로 해석하는 수준에서 비율의 차이를 보이는 단서의 유형은 활동목표와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이다. 경력이 적은 교사는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활동목표 단서와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 단서를 습관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단서를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수준에서 비율의 차이를 보이는 단서의 유형은 활동목표이다. 경력이 많은 교사는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활동목표 단서를 상황을 고려하여 해석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3. 유아교사들이 자유놀이 시간에 놀이 개입시 가장 많이 나타난 놀이 개입 유형은 환경구성(21..8%)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방향제시(20.9%), 대화(11.4%), 유지(10.5%), 명령(10.1%), 교수(9.2%), 칭찬(6.4%), 참여(4.7%), 시범(4.4%)순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비율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는 명령과 유지이다. 명령에 있어서는 경력이 적은 교사가 15.6%의 비율을 보인 반면 경력이 많은 교사는 5.3%의 비율을 보였고 유지에 있어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13.7%의 비율을 보인 반면에 경력이 적은 교사는 7.2%의 비율을 보였다. 즉 명령에 있어서는 경력이 적은 교사가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좀 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고 유지에 있어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좀 더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