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예지 유치원 유아들의 수, 조작 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Title
예지 유치원 유아들의 수, 조작 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Authors
김은선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유아들의 수·조작 놀이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수·조작 놀이가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현장에 들어가 유아들이 수·조작 놀이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묘사하고 해석하여, 수·조작 놀이를 하는 유아들의 특성과 교육적 의의와 유아들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1. 유아들의 수·조작 놀이 특성은 무엇인가? 2. 수·조작 놀이의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3. 수·조작 놀이에서 유아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예지 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29명과 교사 1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2000년 3월 29일부터 2000년 7월 13일까지로 이 기간 동안 총 31회의 참여관찰과 5회의 교사 면담, 비 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현장약기, 문서자료수집, 사진촬영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현장약기의 내용은 현장노트로 만들었고, 면담자료는 면담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 과 Biklin(1991)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한 뒤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조작 놀이를 하는 유아들의 행동 특성으로 탐구, 순환, 통합, 반복이 나타났다. 유아들은 활동자료를 끊임없이 보고, 만지고, 조작해 보고 실패를 경험하면서 탐구를 하였고, 탐색, 탐구, 활용으로 이어지는 순환 과정을 일으키면서 놀이를 했으며 활동자료를 가지고 통합적으로 놀이했다. 또한 활동방법과 원리, 개념이 유사한 활동자료들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새로운 놀이처럼 재미있게 놀이를 했다. 이것은 활동자료들에 대해 교사들이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준 것과는 다른 측면이었다. 둘째, 수·조작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분류, 순서, 수 개념, 공간, 측정, 수 표상, 수학적 용어 등의 수학 영역의 지식과 주제와 관련된 지식, 삶속에서 경험한 지식, 교과영역의 내용의 지식인 일반 영역의 지식을 구성하였다. 지식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활동자료가 구체적으로 정확하게 표현되지 못하거나 잘못 제작된 경우도 있었고, 활동자료가 제시하고 있는 목적을 유아들이 이해하지 못하기도 하였다. 유아들은 활동자료를 그림책을 사용하듯이 활동자료의 그림을 보면서 그 안에 들어 있는 이야기들을 생각해 보고 구성하며 상상하면서 놀이를 하였고, 활동 자료가 담고 있는 이야기들을 발견해 내었다. 이것은 유아들이 수·조작 놀이 자료에 나타난 그림들을 단서로 하여 스스로 행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평가하는데 활동자료가 돕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아들은 모방과 예측하기를 통해 스스로 학습을 이끌어 감으로써 자기조절 능력을 증진시켰다. 예측하기는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놀이를 하는 것이어서 이전 경험과 다른 새로운 놀이의 경우에는 유아들이 잘못된 지식이나 이해로 놀이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수·조작 놀이 환경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적응하고, 친구와 함께 하는 놀이를 통해 사회적인 능력이 배양되었다. 그러나 함께 놀이하는 경우에 유아들이 친구를 찾는 일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조작 놀이에서 유아들은 탐구자로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일에 도전하며 실험정신을 가지고 놀이에 임했다. 탐구를 해 나가는 데 있어서 글자가 유아들에게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찰자로서 다른 유아들과 교사의 놀이를 관찰함으로써 배움의 기회를 가졌다. 또한 협력자로서 유아들간에 배움과 가르침을 서로 공유하였는데 가르침의 방법에는 힌트주기, 시범 보이기, 수정하기,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비계설정하기가 사용되었다.; This ethnographic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of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and 5-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role in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by describing and interpreting how young children experience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in this study.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2. What ar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3. What kind of role do the children in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One teacher and 29 five-year-old children were selected as subject of this study from 예지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study lasted from 29th of March, 2000 to 13th of June, 2000. During this period, 31 participating observations, 5 teacher interviews, and several informal interviews were performed. Data were collected by field jotting, documental data collecting, photographing. The contents of field jotting were transcribed in fields notes, and the interview were duplicat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encoded and categorized as suggested by Bogdan and Biklin (1991). Firstly, result showed that there appeared inquiry, circulation, integration and repeti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ies. Children inquired with experience of continuous observation, touch, manipulation and failure. They played with circulation of exploratory, inquiry and utilization. They also played with supplies integratedly. However, they played with interest with supplies repeatedly as if the play were new. This disagreed with negative point of view of the teacher. Secondly, result showed that children learned mathematical knowledge such as classification, order, number concepts, space, measurement, mathematical representation, mathematical term, etc. and general knowledge such as knowledge related with the topic, knowledge from experience in their life, knowledge of contents of curriculum, etc. There were some case in which the purpose of supplies didn t express correctly, made falsely, or children didn t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supplies. Children thought, made stories, and imagined with the pictures of supplies as if they used illustrated storybooks. They sometimes found the stories inside the supplies. These showed that supplies helped children to make plans, execute, and evaluate by themselves. They also learned by themselves by imitated behavior and anticipation, which led them to improve their self-controllability. Anticipation is to play by experience, which can lead children to wrong knowledge or misunderstand in their plays.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of math/manipulative activities, discussion, and sharing experience were appeared among children while they played with each other, which led to nurture social competence. However, it seemed difficult to children that they found friends to play with. Lastly, result showed that children resolved problems as investigators, challenged a new work, and played with experimental mind in math/manipulative activities. Children learned by observing others play.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nducted among children as helpers. Demonstration, correction, logical explanation, scaffolding were used as ways of teach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