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흥미 일관도와의 관계

Title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흥미 일관도와의 관계
Authors
이영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직업흥미 일관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중학생의 중요한 과업인 자아정체감의 형성과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르게 이해하여 직업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진로결정기술을 확립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직업흥미 일관도란 Holland가 제시한 육각형이론의 6가지 직업 영역가운데 유사한 영역에 대해 높은 흥미를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광진구, 강동구, 강남구, 강서구에 소재한 중학생 456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박아청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승국(1999)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직업흥미 일관도는 노동부 중앙고용정보 관리소에서 고려대학교에 의뢰하여 중학교 2학년~고등학생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발행한 『청소년용 직업흥미 검사』지를 사용하여 개인의 흥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아 정체감과 직업흥미 일관도와의 관계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자아정체감이 높은 단계에 있는 학생은 직업흥미 일관도가 높게 나타났고, 자아정체감이 낮은 단계에 있는 학생들은 직업흥미 일관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간 자아정체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형별 직업흥미도에서는 남·녀별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설득형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은 실재형, 예술형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진로나 직업에 대한 생각과 의사 결정은 청소년 전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소년들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인성교육과 자기의 소질과 능력에 알맞은 직업 탐색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진로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job interest amongst middle school students. Identity is one of major facto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y are growing, therefore will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ir aptitude and personal interest appropriately. The samples, which constitute 456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randomly selected and surveyed amongst Kwangjin-ku, Kangdong Ku, Kang Nam-ku, and Kang Suh-ku in Seoul. Korean Identity Test was used as tools, which has been developed by Park A Chong (1990), and revised by Lee Sung Kuk (1999). The test for adolescence job interest (2000) was used for analysis of personal interest, which was developed by Koryo University on be half of the Central Employment Information bureau which is the sub branch of the Government for adolescence in secondary school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ly, significant correlation of self-establishment and job interest consistency has been found. The data indicates a high consistency of high identity student, and low for low identity. A high identity student understands his/her interest and aptitude, and seems to have decided future job to a certain degree, thus shows the high consistency. On the other hand, low identity student seem to choose various jobs, therefore indicates low consistency. Second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dentity between genders. Identity is one of the major influential variables to job preference, thus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females enhancing status in the home and the society. Equal education for both genders is also an influential factor. Thirdly, different preference between genders is observed in the classified job interests. Male students highly prefer explorative jobs, artistic jobs, and enterprising jobs. Female students prefer realistic jobs, and social jobs; therefore indicate the changing value of vocations. As can be seen, the results indicate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fostering personality, and they should be provided in early adolescence period in order to enable adolescence to develop their talent and ability through positive Ident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