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6 Download: 0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Title
포트폴리오 평가가 중학교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를 중심으로
Authors
이경태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교육 과정의 시행을 앞두고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법으로 수행 평가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능력을 자기 주도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하고 우리나라의 대규모 학급에서 개별화 수업을 가능하게 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평가에 활용하여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태도, 전략 사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실험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습자이며 15주간 실험집단에게는 포트폴리오 평가에 필요한 자료들을 나누어준 후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이 평가법을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 후 두 집단의 학습자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에게는 면담을 추가로 실시하고 포트폴리오 자료와 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 이전·이후의 쓰기 능력 평가 결과와 실험 집단의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연구 결과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은 1차 포트폴리오 평가보다 4차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하였고, 구성, 완성, 적절성, 자기 반성 등의 4가지 포트폴리오 평가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이것은 실험 이후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실험 집단이 영어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보인 것과 일치하며 실험기간의 수업에 성실히 참여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할 경우 학습자의 태도와 수업 참여도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향상을 하였다. 쓰기 능력 평가 결과를 평가 영역별로 살펴 보면 실험집단의 상위그룹은 실험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문법을 제외한 내용, 조직, 담화, 철자 및 맞춤법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며 유의한 향상을 하였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하위그룹은 조직과 문법 영역외에는 통제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이것은 통제집단의 하위 그룹 역시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에서 큰 폭의 향상을 하여 실험집단의 향상폭과 차이가 줄었기 때문이다. 상·하위 그룹 모두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쓰기 능력에서 향상을 보인 것은 포트폴리오 평가가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 즉 역류효과(washback)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포트폴리오 평가와 실험 이후 쓰기 능력 평가 결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은 교사가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수집된 학습 자료를 수동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에게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 과제를 완성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총체적인 면을 평가할 수 있는 능동적인 기능까지 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쓰기를 포함한 다른 기능의 지도 및 평가에도 활용할 경우 학습자의 지속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학습에서의 역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넷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쓰기에 대한 태도, 쓰기 전략 사용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으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쓰기 평가 결과 역시 과정 지향적 쓰기 지도의 전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과제 수행, 과제 길이, 내용, 조직, 글을 읽는 독자에 대한 배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큰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연구자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평가의 영향이 큰 우리 나라 상황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는 영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포트폴리오를 통한 교사와 학생간의 개별적인 대화를 통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진정한 교수-학습 현장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가 원활하게 현장에 시행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평가 척도, 적절한 포트폴리오 자료 등의 마련이 필요하고 포트폴리오를 업무 증가로만 보는 교사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실험대상과 영어 능력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른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큰 향상을 보였던 쓰기 능력의 평가 척도, 포트폴리오를 통한 쓰기 지도 방법, 쓰기 자료 등에 대한 지속적인 현장 연구가 필요하다. ; One of the merits of portfolio assessment is to have students hold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ir learning by assessing the degree of their own advance. Portfolio assessment makes it possible to teach students individually how to communicate, even in a big clas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in English.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level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5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took part in classroom activities with portfolio materials such as goal cards, writing strategy checklists, evaluating logs and a cover of portfolio, but the control groups didn t use these materials. Another materials, classroom activities, tasks and classes were applied to both groups in the same way. After the 15-week long experiment, the students in both groups were surveyed and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dditionally interviewed. Also, the portfolio materials and writing materials of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analyzed.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 for writing ability and the analysis of students portfolio are as follows: First,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s were improved in the fourth portfolio assessment more significantly than in the first one.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 completion, felicity and self-examination. This corresponds to the result of survey that shows the experimental groups positive attitude on English and writing, which means they have done their best for the experi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s in after-writing ability tests, and the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writing ability. The upp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produced higher scores in contents, organization, texts, spelling and orthography, except gramma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However,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didn t show any difference except grammar and organization. This results from the great improvement of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s, reducing the difference from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ason why the experimental groups improved writing ability more significantly than the control groups is that portfolio assessmen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This is called washback effect. Third, both upper level and lower leve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ortfolio assessment and writing ability improvement. This indicates that portfoli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ower level students, as well as the upper level ones, and it should be used for teaching both level students.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expressed their opinions that using writing strategy and portfolio assessment are useful and meaningful.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the upper level students, expressed a negative effect, which proves washback effect. Fifth, the students showed great improvement in setting learning goals and in doing self-assessment as learning with portfolio assessment had proceeded. In addition, they improved themselves significantly in performing the tasks, organizing the length and structure, considering readers and expressing their own opinions, through the process-oriented writing. Portfolio assessment should be supplemented with standardized criteria with high validity to be applied to real English classrooms in Korea.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other students language ability.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writing and evaluating criteria should be prepared through portfolio assessment. Moreover, it is necessary to train language teachers in implementing portfolio assessment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in English classroo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