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3 Download: 0

입력 강화 읽기자료를 이용한 독해 전략 훈련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독해능력과 독해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입력 강화 읽기자료를 이용한 독해 전략 훈련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독해능력과 독해 전략 사용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윤희민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focuses on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resp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speed and interest. To realize this learner-centered concept, learners can be aware of what their strength and weakness are in the learning process and plan, control, evaluate their own learning for themselves. In reading, learners would rather draw the meaning from the text actively and solve the problems on the reading process for themselves than interpret the text passively. To use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s and learning contexts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be more self-directed and communicative in reading. Besides,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realize the value of using strategies and help them use various strategies frequently and consistently for the effective reading. Many researches show that proficient readers are fully aware of the reading process and use various strategies consistently. Indeed, these strategies are teachable and the training bring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g ability. Based on these researches, this study is to teach middle school students to use reading strategies explicitly with the textual enhanced text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raining with textual enhanced text o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strategy uses. It is assumed that the textual enhanced text provides explicit clues for the strategy use involving the active cognitive process in reading. To carry out the experiment, 105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for 10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with the textual enhanced text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training with the non-textual enhanced text. The subjects took two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two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reading strategy train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s consisted of general reading proficiency tests. One of the questionnaires asked the students to evaluate their reading strategy uses for themselves and the other one was about their attitudes and responses on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cours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strategy uses according to whether text enhance textually or no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nk-aloud metho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improved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textual enhanced text didn 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Comparing the upper level students with the lower level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both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mproved, but there were no outstand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upper and lower levels. It implies that to provide students with textual enhanced text without any explicit explanations cannot lead students attention. This assumption is confirmed by the fact there were no questions about enhancements during the training. Second,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groups strategy use, but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mparing the upper level students with the lower level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both level students in two groups increased their strategy uses after the training but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Particularly, the control group s extent of the increase in strategy use was bigg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 s. Furthermore, compared with two groups extents of the increase in strategy use according to reading stages, both groups strategy uses increased at each stage after the training, but there were no outstanding changes between groups. However, control group s difference in strategy use at every stage changed significantly. Comparing the upper level students with the lower level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a similar result came out. Besides, compared with two groups extents of the increase in metacognitive and cognitive strategies use after the training,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ut the control group s strategy use in both strategies changed considerably after the training. Comparing the upper level students with the lower level stud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changed their strategy use considerably after the training. To sum up, the lower level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use of the strategies at every stage and kind after the training. It implies that the lower level students who has less proficient in reading have more problematic situations in the process, which demands the use of the strategy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linguistic ability. In other words, the control group had more opportunities to use strategies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from the tex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whose comprehension seemed to be supported by the enhancement. Third, students were asked about their attitudes and interests of the training. It was revealed that both groups answered positively on the necessity of the training and showed interests of the training course, but there were no particular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responses. Fourth, the effects of the textual enhancement text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think-aloud method. There seems to be no difference in students strategy use according to whether their texts enhanced textually or not. students seemed to use the enhancements as the clue for the comprehension task and to use more specific strategies for solving the vocabulary problems than the global strategies.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ggests as follows. First, although to provide students with textual enhanced text didn t bring the facilita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trategy uses, it cannot be denied that textual enhancement can be the scaffold for using the reading strategies if it is used with the explicit explanations and enough practices. Analyzing the results from think-aloud protocols, the fact was revealed that textual enhancement could be used to solve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Second, lower level students demonstrated remarkable effects on the strategies uses after the training, which indicates that the students who lack the abilities for the self-directed study can improve their attitudes through the systematic training. Third, the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quantitative analyses with qualitative analyses to observe the use of strategies involving the mental process.; 2001년부터 실시되어온 제 7차 교육 과정은 학생의 학습 속도와 관심의 개인차를 존중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을 지향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학습자는 스스로 학습 과정을 인식하고 학습 태도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학습을 계획, 조절, 평가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태도를 갖춰야 한다. 읽기 교육에 있어서도 학습자는 단순히 문자를 해독하는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읽기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하고 적극적으로 의미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읽기 과정은 자신의 수준과 상황에 맞는 다양한 전략 사용으로 보다 구체화될 수 있기에 교사는 학습자들이 전략 사용의 가치를 인식하고 전략으로 학습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유창한 독자일수록 읽기 과정에 대한 인식이 뛰어나고 다양한 전략을 자유자재로 사용한다는 결과들과 이러한 전략들은 훈련을 통해 가르쳐질 수 있으며 독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이라는 결과들이 나와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전략 사용의 가치와 훈련에 대한 교사,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현장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입력 강화 읽기 자료를 이용한 독해 전략 훈련을 정규 수업에 통합하여 실시하였다. 입력 강화 읽기 자료가 전략 사용에 대한 명시적 단서를 제공해줄 것이라는 가정에 바탕을 두고 전략 훈련을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과 전략 사용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주간 105명의 중학교 3학년 영어 학습자를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에는 입력 강화 읽기 자료를 이용한 독해 전략 훈련을, 통제 집단에는 강화되지 않은 읽기 자료를 이용한 독해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 전·후에 독해 능력 검사, 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했으며 훈련 후에 전략 훈련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고구술기법(think-out-loud)을 통해 읽기 자료의 강화 유무에 따라 전략 사용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 전략 훈련이 실험, 통제 집단의 독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에 대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 강화 자료 사용의 긍정적인 영향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상·하위 집단 별 비교 역시 실험·통제 집단 모두 독해력이 향상되었으나 상·하위 집단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입력 강화를 전략 사용에 이용하도록 직접적인 설명이 제공되지 않았고 수업 관찰 결과 강화된 단어들에 대해서 질문을 하거나 궁금해하는 학생들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단순히 강화된 읽기 자료를 제공한다는 것이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둘째, 독해 전략 훈련이 전체 실험·통제 집단의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두 집단 모두 전략 사용 빈도는 늘었으나, 두 집단 간 전략 사용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하위 집단 별 비교 역시 실험·통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통제 집단의 전략 사용 변화 정도가 실험 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읽기 단계에 따른 전략 사용을 비교해 보면, 실험·통제 집단 모두 모든 단계에서 전략 사용 빈도가 증가했으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하위 집단 별 비교 역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모든 단계에서 통제 집단에서만 사전·사후 전략 사용 변화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초인지 전략과 인지 전략 사용 변화에 있어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두 전략 모두 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전략 사용 변화가 유의미했다. 상·하위 집단 별 비교의 경우, 사전·사후 전략 사용에 있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통제 하위 집단의 사전·사후 전략 사용 변화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모든 단계 별, 종류 별 사전·사후 전략 사용 변화 정도는 통제 하위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읽기 능력이 부족한 하위 집단일수록 읽기 과정에서 더 많은 문제 해결 상황에 직면하고 상황 해결을 위한 전략 사용의 기회가 많아져 자신의 전략 사용을 두드러지게 인식·평가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입력 강화된 내용으로 이해에 도움을 받은 실험 집단보다 강화된 내용을 제공받지 못한 통제 집단이 이해 부족을 보상하기 위해 전략을 더 자주 사용했다고 응답한 것으로 풀이된다. 셋째, 실험·통제 집단 간 독해 전략 훈련에 대한 태도와 흥미도 설문 조사 결과 두 집단 모두 전략 훈련에 긍정적인 태도와 흥미를 나타냈으며 응답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드러나지 않았다. 넷째, 사고 구술 기법을 이용하여 읽기 자료의 강화 유무에 따른 독해 전략 사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 자료의 강화 유무에 따라 전략 사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학습자들은 강화된 내용을 내용 이해나 과제 해결의 단서로 삼았으며 어휘에 관련된 국부적 이해 전략을 두드러지게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들을 통해 독해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력 강화된 읽기 자료가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 향상이나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았으나 읽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내용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 향후 독해 전략 연구나 현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입력 강화를 단순히 제공하는 것만으로 학습자들의 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없었으나 교사의 명시적인 설명과 충분한 연습이 제공된다면 입력 강화가 전략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사고구술기법을 이용한 전략 사용 분석 결과 강화 읽기 자료가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독해 문제 해결에 대한 단서가 되어 주는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하위 집단의 훈련 후 전략 사용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스스로 학습할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도 체계적인 훈련을 시킨다면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고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략 사용의 변화를 보다 심도 있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양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질적인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훈련에 대한 관찰일지나 훈련 후 심층 면담,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 일지 쓰기 등의 방법을 통해 전략 훈련의 효과와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좀더 심도 있게 살필 수 있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