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Title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Authors
추호정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tatus of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of higher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based on 6th grade students by peer group and to verify the correlations between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The relevant issues to study are as below. 1. What is the sexual harassment status of higher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by peer group ? 1-1. What is the status of sexual harassment that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in peer group? 1-2. What is the status of sexual assault that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do in peer group? 2. How is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of higher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by peer group and their self-esteem? 2-1. What about the difference of self-respect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exual harassment of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peer group and by sex? 2-2. What about the difference of self-respect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exual assault of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peer group and by sex? 2-3. How self-esteem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of higher grade students in primary school by peer group?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survey for 418 students of the 6th grade of the public primary school in Seoul and examination on self-respect as well. Total 382 survey answered out of total collected 418 excluding 36 copies which have not been indicated sex i.e., male or female have been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WIN 9.0 program. First, the status of sexual harassment that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in peer group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ing. The sexually harassed students of primary school by peer group is 42.7% and rate of male students i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male : 45.0%, female: 40.1%). In regard to the type of sexual harassment which they experienced was mainly physical sexual harassment (63.6%) relevant to the body. The sexual harassment has been mostly commonly experienced at the 6th grade (56.7%). In terms of the frequency, once or twice is the most common(44.7%). Concerning the feels that they had in sexually harassed, the primary feels was too angry (28.2%) following no feeling in particular (27.9%), feel like taking a revenge (17.0%). About the question of measure to take after sexually abused, immediate measure they take was the most common(46.0%). Particularly, male students take active measure (51.1%) while female students prefer inactive measure (21.9%) and consultation (31.5%) rather than active measure (39.7%). Regarding the aftereffects after sexual harassment, 64.7% answered no damage or loss following 10.0% of those who complained its continuous memory. Second, the status of sexual assault that higher grade of primary school students do in peer group is as following. 20.9% of primary school students has sexually abused in peer group. And among them, rate of male (31.5%)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9.3%). About type of sexual assault, physical sexual assault (71.1%) relevant to the body was the most common. The sexual assault has been mostly commonly committed at the 6th grade (62.3%). In regard to the frequency, 37.1% of sexual abusers stops their behavior after once or twice in general. About the question of how abusers feel in assaulting sexually, 40.2% answered positive feels. But, it was distinguishable by sex because 44.9% of male students had positive feeling while 41.7% of female students had a negative feeling. Third, the outcom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lf-esteem in a peer group is as follow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Difference in self-respect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sexual harassment to be experienced and by sex, availability of sexually abused experience has been meaningful statistically(F=11.733, P<.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according to sex(F=.484, P>.05). Furthermore, there has not been a variance in between sex and availability of sexually abused experience(F=.166, P>.05). With regard to variance by sex between sexually assaulting experience and self-esteem, self-esteem meaningfully varied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sexually assaulting experience(F=20.138, P<.001) and sex(F=4.033, P<.05). But, there was no variance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sex and availability of sexually assaulting experience(F=1.439, P>.05). As a result of analysis of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the type of sexual harassment, the score has been varied by group such as 2.79 of victim group, 3.01 of abused and assaulting group and 3.08 of those who are inexperienced, which is statistically meaningful(P<.001). Concerning variance of self-esteem among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of high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a peer group, the result is as below. Concerning the self-esteem of victim group and victim·abuser group, self-esteem of victim group was 2.80 while that of victim·abuser group was 3.01, which indicates self-esteem of victim·abuser group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victim group and it is statistically meaningful(p<.01). Concerning the self-esteem of victim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 self-esteem of victim group was 2.80 while that of inexperienced group was 3.08, which indicates self-esteem of inexperienced group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victim group and it is statistically meaningful(p<.001). Concerning the self-esteem of victim·abuser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 self-esteem of victim·abuser group was 3.01 while that of inexperienced group was 3.08, which indicates self-esteem of inexperienced group has been higher than that of victim·abuser group, but it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Regarding variance of self-esteem by sex among small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of high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in a peer group, the result is as below. As far as self-esteem of victim group and victim·abuser group by sex is concerned,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varied between victim group and victim·abuser group(F=10.733, P<.001), but it was not varied by sex(F=2.075, P>.05). Additionally, there was no variance among sex, victim group and victim·abuser group(F=.912, P>.05). As far as self-esteem of victim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 by sex is concerned,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varied between victim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F=22.500, P<.001), however it was not varied by sex(F=3.070, P>.05). On top of that, there was no variance among sex, victim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F=.961, P>.05). As far as self-esteem of victim·abuser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 by sex is concerned, there was neither difference according to between victim·abuser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F=1.379, P>.05) nor to sex (F=.598, P>.05). Futhermore, no variance occurred in terms of interrelations among sex, victim·abuser group and inexperienced group(F=.016, P>.05). As a result of analysis abov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First, as a result of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experience by peer group, 42.7% of primary school students have been sexually harassed which indicates its frequent occurrence. Concerning the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were more abused (45.0%) than the female students(40.1%). It is considerable contrast in the sense that 97% of the victims from sexual violation including sexual harassment in Korea is female. It is common for the adult to think education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and violation unnecessary to the male because sexual violation including sexual harassment occur to the female in general.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 male students were sexually abused as much as female students. It is ,therefore, assumed that education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and violation is demanded to the male. Second, as a survey result of availability of experience to sexually abuse of primary school students in a peer group as well as the varia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31.5%) had more experience to sexually abuse in comparison with the female students (9.3%). It is related with sexual role play during socialization at home, school and society so that adequate sexual education at school relevant to sexual role play between male and female must be systematically proposed. Third, concern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by peer group and their self-esteem, it has been verified that sexually abused experience and experience to harass sexually place an meaningful impact on self-esteem statistically. On top of that, for the variance by sex in terms of self-esteem against type of sexual harassment to be experienced, it is clarified that sex is not a meaningful variable to self-esteem. Though sexual harassment and violation have placed a meaningful impact on self-esteem of female as far as existing studies on sexual harassment and violation are concerned, it is primarily limited to the female as a target in a common context of society. Sex has not been a meaningful variable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lf-esteem with the target of male and female prim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different and noticeable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 of existing studies. In my opinion, it is proposed to study status of sexual harrassment and its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with the target of more students from various grade of students in primary school based on the above result, on top of that the place where sexual harassment occurs is required to be expanded to outside of school rather than in school in order to examine the status of sexual harass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More practical status will be able to be verified based on consultation in depth as well as research by survey and also study on other psychological impact other than self-esteem by sexual harrassment is required to be studied.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의 실태를 알아보고, 그러한 성희롱의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또래 집단 내에서 경험하는 성희롱의 실태는 어떠한가? 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또래 집단 내에서 경험하는 성희롱 피해 경험의 실태는 어떠한가? 1-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또래 집단 내에서 경험하는 성희롱 가해 경험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피해 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2-2.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가해 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2-3.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는 서울시 소재 공립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또래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실태를 묻는 설문지와 자아존중감 검사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설문지 418부중에서 남녀 표시가 안된 36부를 제외한 총 382부의 응답을 SPSSWIN 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본 조사를 통해 나타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피해 경험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피해 경험자는 42.7%이었고 남자의 비율(남자 : 45.0%, 여자 : 40.1%)이 더 높았다. 이들이 경험한 성희롱 피해 유형은 신체와 관련된 신체형 성희롱 이 대부분(63.6%)이었다. 이러한 성희롱 피해는 6학년 때(56.7%)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횟수 면에서는 대체로 1-2번인 경우(44.7%)가 많았다. 성희롱 피해 경험 시 느꼈던 감정의 유형은 너무 화가 났다 28.2%, 별 느낌 없었다 27.9%, 복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피해 경험 후 대처 방안을 보면 주로 즉각적인 적극적 대처 (46.0%)를 한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의 경우 적극적 대처 (51.1%)를 주로 한 반면, 여자의 경우 적극적 대처 (39.7%)보다는 소극적 대처 (21.9%)와 상담 (31.5%)의 방법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피해 경험 후 후유증을 살펴보면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가 64.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험한 일이 자꾸 생각났다 가 10.0%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가해 경험 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가해 경험자는 20.9%로 남자의 비율(31.5%)이 여자(9.3%)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희롱 가해 유형 역시 신체와 관련된 신체형 성희롱 이 대부분(71.1%)이었다. 이러한 성희롱 가해는 6학년 때(62.3%)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횟수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1-2번에 그친 경우(37.1%)가 많았다. 성희롱 가해 경험 시 느낀 감정을 살펴보면 긍정적 감정 이 40.2%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남자의 경우 긍정적 감정 이 44.9%, 여자의 경우 부정적 감정 이 41.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해 남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희롱 피해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경험유무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F=11.733, P<.001),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F=.484, P>.05) . 또한 피해경험 유무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66, P>.05). 성희롱 가해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가해경험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F=20.138, P<.001),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F=4.033, P<.05) . 그러나 가해경험 유무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439, P>.05). 성희롱 경험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 분석을 한 결과를 살펴보면 피해 집단이 2.80점, 피해·가해 집단이 3.01점, 무경험 집단이 3.08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 유형에 따른 소집단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해 집단과 피해·가해 집단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 집단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2.80점, 피해·가해 집단의 경우 3.01점으로 나타나 피해·가해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피해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피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집단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2.80점, 무경험 집단의 경우 3.08점으로 나타나 무경험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피해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피해·가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가해 집단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3.01점, 무경험 집단의 경우 3.08점으로 나타나 무경험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피해·가해 집단의 자아존중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성희롱 경험 유형에 따른 소집단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피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소집단간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해 집단과 피해·가해 집단간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 집단과 피해·가해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F=10.733, P<.001),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F=2.075, P>.05). 또한 피해 집단과 피해·가해 집단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912, P>.05). 피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F=22.500, P<.001),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F=3.070, P>.05). 또한 피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961, P>.05). 피해·가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피해·가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F=1.379, P>.05), 성별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F=.598, P>.05) . 또한 피해·가해 집단과 무경험 집단간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16, P>.05). 따라서 성희롱 경험 유형에 따른 소집단간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은 자아존중감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피해 경험은 42.7%로 나타나 성희롱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피해 경험의 남녀 비율에서 남자의 비율(45.0%)이 여자의 비율(40.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 나라에서 성희롱을 포함한 성폭력 피해자 중 여자의 비율이 97%에 달하는 것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성인들은 흔히 성희롱을 포함한 성폭력을 여자만 당한다고 생각하여 성희롱 피해 예방 교육이 남자 아동에게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조사 결과 남자에게서도 여자와 비슷한 비율로 성희롱 피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자뿐만 아니라 남자에게도 성희롱 예방 교육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가해 경험의 유무와 남녀 차를 알아 본 결과 남자의 경우(31.5%) 여자의 경우(9.3%)보다 가해 경험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성 역할 사회화와 관련이 있으므로 남자와 여자의 바람직한 성 역할 학습과 관련된 내용이 학교 성교육 내용에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교육되어져야 하겠다. 셋째, 초등학교 아동의 또래 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희롱 피해 경험과 가해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성희롱이나 성폭력의 피해 경험이 자아존중감 상실과 같은 정신적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 피해 경험뿐만 아니라 가해 경험도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성희롱 예방교육이 단순한 예방 차원의 교육이나 피해자 대처교육만을 실시할 것이 아니라 가해자의 자존감 증진을 통해서 성희롱의 발생을 줄이는, 보다 적극적인 차원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성희롱 경험 유형별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은 가해 경험 유무에서만 차이를 나타내었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희롱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는 성희롱의 경험이 주로 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했으나 이는 사회적인 통념상 조사 대상을 주로 여성으로 한정한 결과였다. 초등학교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성희롱 경험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성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은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이다. 앞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수의 학생, 초등학교 다른 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또래집단 내에서의 성희롱 경험 실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후속 연구와, 성희롱 경험의 경험 장소를 교내뿐만이 아닌, 학교 밖까지 확대하여 초등학교 아동이 경험하는 성희롱의 실태를 파악해보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설문지 조사와 함께 심층 면담을 하여 보다 실제적인 실태를 파악하고, 성희롱의 경험이 자아존중감 외에 어떤 정신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