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수준 및 위치 분석

Title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수준 및 위치 분석
Authors
김남덕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읽기 교과서에 있는 질문의 빈도, 수준, 위치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교과서에서 질문의 빈도는 어떠한가? 둘째, 읽기 교과서에서 질문의 수준과 수준에 따른 하위 분류별 비중은 어떠하며, 특성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 셋째, 읽기 교과서에서 질문의 위치와 위치에 따른 하위 분류별 비중은 어떠하며, 특성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수준을 분석하는 데 있어, Pearson & Johnson(1978)의 질문-응답의 세 종류인, ‘교재에 명시된 질문(Textually-Explicit Question)’, ‘교재에 함축된 질문(Textually-Implicit Question)’, ‘기존 지식을 적용(응용)한 질문(Scriptally Implicit Question)’을 그 개념정의에 의하여, 각기 ‘사실적’, ‘해석적’, ‘적용적’ 수준이라고 하고, 이를 기본 틀로 이용하였다. 한편, 질문의 위치는 읽기가 텍스트를 기본적인 구분 단위로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질문이 제시될 만한 위치인 ‘읽기 전’, ‘읽는 중’, ‘읽은 후’의 세 단계로 나누고, 이를 기본 틀로 이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현 6차 교육과정의 1~6학년 국어과 읽기 1, 2학기 교과서이고, 양적인 분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질문 수는 2150개로, 1학년이 191개로 가장 적었고, 6학년이 454개로 가장 많았다. 읽기 교과서의 질문은 제재글 당 평균 약 4.93개가 속해있었다. 4학년이 제재글 당 질문 수가 4.16개로 가장 적었고, 6학년이 5.46개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수준과 그 하위 분류별 비중 및 특성을 살펴보면, 해석적인 수준이 44.6%로 가장 높고, 사실적 수준이 29.4%, 적용적인 수준이 26.0%로 나타났다. 또한 질문의 수준의 하위 분류별 비중으로는 글을 정리해서 답하기, 한 문장과 한 문단의 내용을 그대로 파악하기, 글에 대한 감상·견해·조직하기 및 자신의 경험 묻기, 요약하기 등이 각각 28.8%, 28.7%, 14%, 5%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목 붙이기, 문단 내용을 도식화하기, 문단나누기, 지은이의 관점이나 의도 파악하기 등은 전체 1% 내외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각 질문의 수준 내에서도 편중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위치와 그 하위 분류별 비중 및 그 특성을 살펴보면, 읽은 후가 82.5%로 압도적으로 많이 제시되어 있고, 읽기 전이 9.0%, 읽는 중이 8.5%를 차지하고 있었다. 읽은 후 활동인 연결짓기, 자기 점검하기, 훑어보기가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었고, 읽은 후 활동인 빨리 읽기, 읽기 전 활동인 미리보기, 빈칸 채우며 읽기, 연상하기, 읽는 중 활동인 글자 인식하기 등이 전체 비중 2% 미만의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다음과 같은 제언 및 후속 연구 과제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읽기 교과서의 질문의 수준에 있어서 제재글의 내용 파악, 즉 한 문장과 한 문단의 내용을 그대로 파악하는 형태의 질문, 혹은 문단과 문단을 통합하여 답하는 형태의 질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기존 지식을 적용하거나 응용하는 질문의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둘째, 질문의 위치에 있어서는 읽기 전과 읽는 중의 활동안 중에서 다양한 읽기 방법을 요구하는 질문을 선별·제시할 필요가 있다. 제재글을 주고 읽어 보게 한 후, 질문의 내용에 답을 하게 하는 대부분의 읽기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읽기 활동이나 방법, 전략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셋째, 분석에 있어서 제재글의 성격, 선정, 장르 등의 변인을 고려하지 않았는데, 보다 향상된 연구를 기대하려면 위의 변인들에 따른 질문의 변화의 양상 등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겠다. 넷째, 본 연구는 연구자 혼자서 질문의 제양상을 분석한 연구이므로 주관성 배제 문제 및 타당도 확보의 어려움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면서 객관성을 확보받을 수 있는 준거와 방법에 의한 후속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questions by analyzing the questions, especially about the frequency, levels, and positions of them in elementary school reading textbook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how is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elementary school reading textbook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weights in the levels of questions and lower classified questions in elementary school reading textbook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weights in the positions of questions and lower classified questions in elementary school reading textbooks? This study used as the three types of questions - ‘Textually Explicit Question’, ‘Textually Implicit Question’, ‘Scriptally Implicit Question’- the levels of questions suggested by Pearson & Johnson(1978)’s taxonomy & Yun(1990)’s standards to analyze the levels of questions. And it used as the three types of questions - pre passage, inter passage, post passage - the positions of questions suggested by Stewart(1985)’s standards & Park(1995)’s standards to analyze the positions of ques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reading textbooks used among 1st to 6th grade which were published in the 6th education period. The method of analysis is mainly quantitative and partially qualit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questions in one article is averagely about 4.93. In 4th grade, one article averagely has about 4.16 questions. It s lowest. In 6th grade, one article averagely has about 5.46 questions. It s highest.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levels of questions, the percentage of text-implicit question is highest about 44.6%. The percentage of text explicit questions is about 29.4%, and that of scriptally implicit questions is about 26.0%. Understanding the whole content of one sentence or one paragraph, the impressions, critics, opinions of students themselves, and summarizing texts occupied the most percentage. But naming of an article, diagramming of one paragraph, dividing the paragraph, and recognizing the point of view or intention of writer were treated insufficiently. Third, from the viewpoint of positions of questions, the percentage of post-passage question is overwhelmingly highest about 82.5%. And the ratio of pre-passage questions and inter-passage questions is about 9.0% & 8.5% each. Connecting contents, self-examinations, glancing at text occupied the most percentage. But reading in advance, reading in filling in a blank, associating and recognizing letters were treated insufficiently.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various levels of question should be included in reading textbooks. It is that there are so many text-fixed questions in demanding the only right answer. Second, a few good inter-passage questions and pre-passage questions should be selected and included in reading textbooks if they are necessary for students to read the textbook effectively. It is that there are so many post-passage questions in the reading textbooks. Third, the gengr and characteristics of texts should be regarded highly and thoughtfully in developing, organizing and inserting questions. Fourth, this study has the difficulties of acquiring validity and excluding subjectivity because it is done by this researcher, alone. So researcher expects that the better study by specific norms and standards will be carried ou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