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1 Download: 0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간 평가의 일관성 분석

Title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간 평가의 일관성 분석
Authors
이윤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에 비추어 공식적 교육과정과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가 각 교육과정 수준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은 각 교육과정 의사결정 수준별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1-1.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관점,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은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1-2.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관점,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은 각각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2.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은 각 교육과정 의사결정 수준 간에 일관성이 있는가? 2-1.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관점은 이상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 2-2.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목적은 이상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 2-3.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내용은 이상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 2-4.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방법은 이상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 2-5.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은 이상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 간에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국가에서 발생한 초등영어의 공식적 교육과정 문서인 <교육과정 총론>, <영어교육과정>, <영어교육과정 해설> 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 분석준거> 에 비추어 내용 분석하였다. 둘째, 비율층화표집으로 표집 된 서울시내 3,4학년 초등영어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해, 응답한 145명의 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 분석준거> 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셋째,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별로 분석한 평가적 특징을 바탕으로, 각 교육과정 수준 간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의 일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각 연구문제별로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의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분석준거에 비추어 분석한 결과,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관점과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은 분석준거에 매우 부합하였고 평가목적은 비교적 부합함으로써, 이 평가요소들은 대체로 의사소통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평가내용과 평가방법에는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의 특징에 부합하지 않는 요소들이 섞여 제시되어 있었으므로 의사소통 중심적이라고 할 수 없었다. 이것은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가 평가관점이나 평가목적에서 지향하는 바에 비해 평가내용과 평가방법과 같은 구체적인 실천 수준에서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와 일관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초등영어의 공식적 교육과정에는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의 특징이 일관되게 반영되어 있지 않고, 내적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영어의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분석준거에 비추어 분석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들이 분석준거에 비교적 부합함으로 나타나 대체로 의사소통 중심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이는 인지된 교육과정에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의 특징이 비교적 일관되게 반영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등영어 교사들은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를 실현시키기 위한 평가적 특징을 대체로 일관된 방식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 간 의사소통적 중심적 평가의 일관성을 평가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평가관점과 평가목적,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은 각 교육과정 수준 간에 일관성을 유지했으나 평가내용과 평가방법은 각 교육과정 수준 간에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그리고 평가관점, 평가결과처리 및 활용, 평가목적 중 ‘의사소통능력의 개인차 극복’ 항목 등은 공식적 교육과정에서보다 인지된 교육과정에서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과 일관되는 정도가 다소 낮았다. 이것은 공식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이 인지된 교육과정에 충실히 전달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평가내용과 평가방법은 공식적 교육과정에서보다 인지된 교육과정에서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과 일관되는 정도가 더 높았다. 이것은 교사들이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을 국가 수준의 공식적 교육과정 문서가 아닌 다른 원천을 통해 영향 받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이 지향하는 평가는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이나, 이러한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은 공식적 교육과정과 인지된 교육과정 등에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는 각 교육과정 수준 간에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는 대체로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와 일관되었다. 그러나 공식적 교육과정에는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에 부합하지 않는 요소들이 평가내용, 평가방법에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와 일관되지 않았고,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와도 일관되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영어의 이상적 교육과정과 공식적 교육과정, 인지된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 간에는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초등영어의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이 국가 수준의 공식적 교육과정보다 교사 수준의 인지된 교육과정에 더 충실히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수준의 공식적 교육과정은 교사 수준에서 실행되는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참고의 틀이 된다. 따라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교사 수준에서 의사소통 중심적 평가가 일관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공식적 교육과정 문서에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이 충실히 반영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과정 수준 간에 평가적 특징이 일관되지 않게 전개되고 있는 것은, 초등영어 교육과정에서 평가가 바람직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하기 어렵게 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평가와 교육과정이 통일성을 결여함으로써 초등영어 교육과정이 올바르게 실행되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상적 교육과정에서의 평가적 특징이 모든 교육과정 수준 간에 반영되어 일관되게 나타날 수 있도록, 초등영어평가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 그리고 교육부의 체계적인 영어교사 재교육과 훈련 제도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assessment in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followed by each level of curriculum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What is the character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1-1. What are the character of the viewpoint of th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 formal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1-2. What are the character of the viewpoint of th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 perceived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2. Does the character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each level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2-1. Does the viewpoint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curriculum? 2-2. Does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curriculum? 2-3. Does the contents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curriculum? 2-4. Does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curriculum? 2-5. Does the management of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iewpoint of th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assessment results in the formal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corresponded to the frame of reference. Bu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and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didn t corresponded to the frame of reference.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and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are changed more than the viewpoint of the assessment and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Second, all of the factors in the assessment in the perceived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corresponded to the frame of reference. Third, th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the assessment results maintained the consistency among the levels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Bu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and the method of the assessment didn t maintain the consistency among the level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assessment didn t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idealogical curriculum, the formal curriculum and the perceived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Especially the assessment of the perceived curriculum was more consistent than the formal curriculum. Therefore it is very hard to expect that the essential intent of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could come true. To solve this problem, curriculum designers need to research elementary English assessment continuously, and Minister of Education need to plan the workshop for elementary English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