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수행 평가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Title
수행 평가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조사
Authors
유경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수행 평가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수행 평가의 개선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수행 평가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이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 평가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행 평가에 대한 이해 정도와 시행 의지는 어떠한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은 수행 평가 기준안을 어떻게 작성하며 실시 절차는 어떠한가? 4. 초등학교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수행 평가의 방법과 도구는 무엇인가? 5. 현재 초등학교 수행 평가 시행의 지원 체제는 어떠한가? 6. 현재 수행 평가 시행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직접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백분율을 산출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담당 학년별, 교직 경력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χ²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교육 평가란 학습 과정, 결과를 직접적, 지속적, 전체적으로 평가하여 교수-학습 과정에 재활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선택형 검사 위주의 기존 평가 방식이 변환되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를 학생 개개인의 변화, 발달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2.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행 평가의 가장 큰 특징을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직접적, 지속적, 전체적 평가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은 실기 평가와 혼동하여 수행 평가 시행상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대부분 수행 평가를 바람직한 평가 방식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소극적으로 시행하고 있었으며 수행 평가 관련 연수의 참여도 소극적이었다. 3. 교사들은 대부분 동학년 협의 또는 학년별 학과 담당 교사가 작성한 학교 단위의 기준안을 따르고 있었다. 그런데 교과 전담 교사들은 담임 교사에 비해 기준안을 스스로 작성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기준안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를 ‘일관된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기준안을 작성할 때 평가 영역 설정과 영역간 배점에서 교과목의 특성과 성취 목표를 고려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수행 평가 기준을 주로 과제 수행 전에 미리 제시하였고, 교사들이 선호하는 척도법은 ◎, ○, △, ·, ×와 같은 기호척도법이었다. 그러나 고학년 담당 교사로 갈수록 숫자척도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 후에 수행 평가한다고 응답한 교사들의 비율이 높아 아직도 기존의 평가 관행을 따르는 교사가 많음을 알 수 있었지만, 수행 평가 결과 처리에 있어서는 교수-학습의 개선 자료로 활용한다는 응답이 많아 평가가 평가로서 끝나는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평가 도구는 기준안에 의한 체크리스트와 일일 기록장이었으며 녹음기, 비디오 카메라, 컴퓨터와 같은 평가 도구의 사용은 매우 드물었다. 교사들이 사용하는 수행 평가 기법들을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법은 실기 시험, 서술형(주관식)검사, 관찰법, 실험·실습법, 조사보고서 기법이었고, 대체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법은 구술 시험, 논술형 검사, 자기평가 보고서 기법이었다. 그러나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 기법은 포트폴리오, 면접법, 공개 시험, 연구보고서, 찬·반 토론법,프로파일,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 이었다. 프로파일,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은 사용률이 매우 낮았다. 담당 학년별로 사용하는 수행 평가 기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대체로 담당 학생들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학년에 적합한 수행 평가 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5. 교사에 대한 수행 평가 시행 지원 상황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수행 평가 시행 과정에서 동료 교사들의 도움을 가장 많이 받고 있었다. 수행 평가 관련 연수는 주로 학교내에서 시행되는 연수를 받고 있었으며 이수 횟수는 교사 1인당 1-3회가 가장 많았고, 특히 교직 경력 3년 미만의 교사들은 연수를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행 평가의 교구 및 기자재의 학교별 배치 상황은 미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행 평가 실시 후 업무량이 늘어났다고 응답했다. 수행 평가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관계 기관과 각 학교별로 관련 연수의 다양하고 폭넓은 기회 제공과 교구 및 기자재의 확보, 업무량 경감의 지원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6. 교사들은 수행 평가 시행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을 평가 업무에 대한 시간과 노력 부담, 연수 기회 부족에 의견을 모았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 방안으로 교사 1인당 학생수 조정과 잡무 경감, 효과적인 수행 평가 도구 제작을 들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수행 평가 시행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효과적인 수행 평가 도구 제작이 시급하다. 이는 교내 교사 연구 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연구 활동과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행 평가 기법의 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수행 평가 시행의 실제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행 평가 관련 연수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하지도 않았다. 셋째, 교사의 업무 경감, 교구 및 기자재 확충을 위한 관계 기관과 학교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행 평가 시행 후 업무량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하였고, 교구 및 기자재도 부족한 실정이라고 하였다.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ar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primary school by Survey and analysis of teacher s recognition about performance assessm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2. Framing course of standard program of performance assessment. 3. Method, instrument and data of performance assessment. 4. Manag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5. Supporting system of performance assessment 6. Problems in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improvement. For surveying above study contents, this researcher used the questionnaire on 310 teachers in Seoul. The percentage about each question item was calculated and verification was executed so as to verify the difference by age, teaching career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Performance assessment is recognized as direct and continuous evaluation of teaching process and peed-back of its results. 2. Performance assessment is need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ystematically. 3. Teachers were using the standard program made by output of discussion of same grade or the teachers in charge of subject. 4. Teachers suggest the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before performing the subject. They prefer signal scoring and as glade higher number scoring is preferred. 5. Checklist by given standards and daily record are frequently used as evaluation instrument. The use of recording tape, video tape recorder, computer is not common. 6. Many teachers replied that they execute Performance assessment after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Many teachers replied that they use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as data for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process. 7. The installation of instru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is not sufficient. 8. Increase in working time for evaluation and insufficient learning program are known as prominent problem of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above study results, This researcher suggest several topics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1. Development of efficient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2. Teachers should be supplied the chance to experience variable and extent performance assessment learning program. 3. Reduction in working time for unnecessary job and increase of instru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