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지속적인 묵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속적인 묵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박성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is important to develop efficient reading ability because all learning requires good reading skill. To acquire this ability, individual learners need more opportunities to read materials that they chose for themselves with proper guidance in class. But few English teachers in Korea have focused on this aspect of reading instruction. Reading lessons in class should help learners develop independent reading ability, and more importantly, learner autonomy to read for their interest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ustained Silent Reading(SSR), a type of individualized independent reading activities, into English classes for beginners. SSR in many studies has been proved to be very effective for L1 learners. This study also aims at finding out the effects of SSR on developing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plus their interests and confidence in reading. It compares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based on the students reading proficiency levels. The present study extends the previous research on SSR by further investigating how to use SSR effectively in Korean EFL classrooms and proposes a specific plan for SSR and appropriate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 the lower level, the intermediate level, and the upper level. The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ry works for children, which seemed to be appropriate for the students linguistically, cognitively, and affectivel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a ten week period. During that time, the experimental groups performed SSR activities for about 15 minutes per class, four times a week. The students also kept taking notes on what they had read and how they had felt about it. Meanwhile, the control groups participated in cooperative reading in groups under the teacher s guidance. The data from the pre- and post-tests and the questionnaire on the ten-week reading experience were gathered to compare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the control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t-test, the one way ANOVA, and the two way ANOVA. The data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ll three sub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s did significantly better (p < .05) than the control groups on the post-test. SSR proved especially effective in improving intermediate-level and the lower-leve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 control group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between the pre- and the post-tests. This indicates that reading interesting authentic reading materials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Secondly, SSR proved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op-down processing skill in reading than bottom-up processing skill. This implies that SSR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global understanding of the text rather than recognizing the specific information. Thirdly, from the results on the questionnaire, both group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reading time and material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interests and confidence in reading, and they felt that their reading speed had been increased. This might be resulted from their experiences in independent autonomous rea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should give their students time to read more intrinsically motivating reading materials independently and guide them to general understanding of a text. Secondly,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reading and confident in their own reading abilities by expressing his or her trust in their students potentiality. Thirdly, teachers should give their students individualized reading assignments according to their reading proficiency levels. In conclusion, SSR proved to be a practical and effective activity for beginner EFL readers.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ways of improving reading abilities of advanced students.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whether reading experiences in class c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good reading habits outside the classroom. ; 읽기는 모든 학습의 기본적인 기능이므로 학습자들은 효율적인 독해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학습자가 이러한 능력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지도 아래 읽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과 함께 개인별로 수준에 적합한 읽기 자료를 가지고 자유롭게 읽을 수 있는 기회를 필요로 한다. 자유로운 읽기를 통해 읽기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인 독립적인 읽기 능력을 습득하고 자신의 학습을 책임지는 자율적인 학습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를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지속적인 묵독의 실행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독립적인 읽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과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특히 학습자의 독해 수준에 따라 그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더 나아가 외국어로서의 우리 나라 영어 교실에 지속적인 묵독을 도입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실험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0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학습자의 언어적·인지적·정의적 수준에 적합한 내용의 읽기 자료를 제공하고, 독립적으로 15분 정도씩 지속적으로 묵독하게 한 후 읽은 내용과 느낌을 간단하게 기록하게 하였다. 그리고 통제집단에게는 실험집단과 동일한 교재를 사용하여 조별 협동적인 읽기를 실시하였다. 실험·통제집단을 각각 상·중·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 이전·이후 독해 능력 평가와 읽기 활동에 관한 설문 조사 자료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으로 통계 처리한 결과, 지속적인 묵독이 영어 초보 학습자의 독해 능력 및 읽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적인 묵독은 학습자의 독해 수준에 관계없이 독해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실험집단내에서는 특히 중·하위집단에 많은 영향을 준다. 그러나 통제집단도 실험 전·후 평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임으로써, 학습자에게 적합한 읽기 자료의 선택과 읽기 경험의 확대가 독해 능력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속적인 묵독은 글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하향식 독해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읽기 활동에 관한 설문 조사에서 지속적인 묵독은 학습자들의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읽기 속도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이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교실에 읽기에 대한 동기부여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독립적으로 읽는 활동을 도입하고, 독해 시험을 위한 읽기 학습에서 벗어나 글을 부분이 아닌 전체로 읽고 전반적인 의미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은 학습자들이 독립적인 읽기 활동에서의 시행착오를 스스로 해결함으로써 읽기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습자의 능력에 대한 믿음으로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보는 자세가 요구된다. 셋째, 독립적인 읽기에서 학습자들은 독해 능력에 따라 읽는 양에서 많은 차이를 보였으므로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라 읽기 자료의 언어 수준이나 양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개별화된 읽기 과제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묵독은 통제집단의 조별 협동적인 읽기 방법에 비해 독해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고, 읽기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도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 학습자가 자신의 읽기 자료를 직접 선택하여 읽는 경우의 효과, 그리고 학교에서의 독립적인 읽기 활동이 가정에서의 영어 독서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 등도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