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영어 현재완료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연구

Title
영어 현재완료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연구
Authors
김영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영어의 ‘현재완료’는 한국어에 없는 독립된 복합 형태소로서 많은 언어학자들은 이를 하나의 상(aspect)으로 설정해 왔다. 현재완료가 상(aspect)이라는 점에서, 영어는 현재완료가 시제로 존재하는 Romance language와 구별되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aspect)으로 받아들여진 영어의 현재완료는 많은 경우에 단순과거 시제와 비슷한 의미를 지니고 실제로 단순과거 시제와 혼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 일부 언어학자들(Klein 1992: 538, Brinton 1988: 15) 사이에서는 현재완료를 시제로 보거나 시제와 상의 특성을 함께 지닌 형태소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현재완료가 단순과거 시제와 혼용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반드시 현재완료만이 허용되는 경우들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이 때문에 한국 학습자들은 영어의 현재완료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사용하는 데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은 영어 현재완료가 단순과거 시제와 뚜렷한 의미적 차이를 지녀 반드시 구별되어야 하는 경우와 의미적으로 동등하여 단순과거 시제와 혼용될 수 있는 경우를 구별하여 밝힘으로서 한국의 영어 학습자들이 현재완료의 의미와 용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는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을 둔다. 영어의 현재완료는 과거의 의미와 현재의 의미를 동시에 내포하며 과거와 현재 사이의 전체 시구간에 나타나는 과정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이러한 의미적 특수성 때문에 현재완료 구문은 간결하면서도 응집성있는 표현이 요구되는 문자언어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현재완료 구문의 이러한 효율성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의미상 유사하며, 때로는 동등하기까지 한 단순과거 시제와의 구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많은 연구들이 의미적으로 유사한 이 두 문법 형태의 차이점을 규명하려 노력해 왔다. 그러나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시제의 의미상 차이점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둔 나머지 의미적으로 동등한 경우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실제로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시제는 문맥에 따라 의미적으로 동등한 경우가 많으므로 두 문법 형태의 차이점만을 근거로 현재완료의 용법 전반을 파악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그러므로 현재완료 구문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위해서는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시제의 의미적 동질성이 차이점과 더불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를 위해서, 본 연구는 현재완료에 대한 전통문법적 의미론과 기본 의미론 및 화용론적 접근을 차례로 소개하고 그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통용되는 현재완료의 의미나 용법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기위해 현재완료와 단순과거 시제의 의미적 동질성까지도 심도있게 논의하는 최근의 이론들을 참고하며 시사지나 영화 대본의 실제 영문자료를 검증하여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현재완료의 가장 본질적 의미는 시간적 수식어(temporal modifier) 없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구간의 전 과정과 그 과정과 관련된 현 시점의 결과적 상태를 동시에 내포한다. 둘째, 현재완료 구문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전체 시구간에서 현시점에 의미상 초점을 두어 현재의 결과적 상태를 강조하게 되면, 동사나 사건 자체의 상(aktionsart)을 고려하여 단순과거 시제나, BE-passive 또는 GET-passive로 대체 가능하다. 셋째, 현재완료 구문이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전 시구간에서 과거의 어느 한 불확정적 시점에 의미의 초점은 두는 경우라면, ever, never 등의 부사와 함께 단순과거 시제로 대체 가능하다. 위의 두 번째와 세 번째 결론에 의하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전 시구간에서 어느 한 특정 시점만이 의미적으로 강조될 때 현재완료 구문은 동사 자체의 상(aktionsart)을 고려하여 단순과거 시제나 수동태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넷째,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구간의 전 과정과 그 과정과 관련된 현 시점의 결과적 상태를 시간적 수식어(temporal modifier) 없이 한 문장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현재완료 구문을 사용한다. 즉 현재완료의 가장 본질적 의미를 표현하고자 할 때에 한해서 현재완료 구문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현재완료형 ‘Have+-ed’가 관용화되어 본동사가 원래 가졌던 고유의 의미를 상실한 경우는 단순과거 시제로 대체 불가능하여, 현재완료 구문의 절대성이 요구된다. ; A number of scholars have argued that English present perfect, which does not exist as an independent compound morpheme in Korean, is an aspect. From this point of view, English is different from Romance language in which the present perfect is a tense. However, some scholars (Brinton 1988: 15, Klein 1992: 538) recently argued that the present perfect is not an aspect but has the character of both aspect and tense. This argument is reasonable from the phenomenon that the present perfect actually mingles with the simple past. Meanwhile, the present perfect is mandatory in some cases regardless of its occasional minglement with the simple past. This is why Korean studen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present perfect and using it properly. To help Koreans understand and express the present perfect proper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ses where the present perfect is mandatory due to the semantic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 perfect and the simple past.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ses where the simple past or other grammatical forms can substitute for the present perfect due to their semantic equivalence. The English present perfect implies the past meaning, the present meaning and the meaning of process 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This semantic property is good for the written language in which the short, compact expressions are preferable. To make a good use of this property, an explicit rule must be established that distinguishes the present perfect from the simple past. Many scholars have long tried to grasp the subtle semantic distinction of the two grammatical forms.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grasp the whole field of English present perfect usage on the basis of existing studies because they focused primarily on investigating the semantic distinction of the two grammatical forms and insufficiently investigated the semantic equivalence. Therefore, the semantic equivalence between the present perfect and the simple past is as important as the semantic distinction in understanding the usage of the present perfect. For the purposes and needs of this study, the traditional analyses of the present perfect, the approaches to the basic meaning of the present perfect, and the pragmatic approaches to the present perfect a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se approache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And then the semantic equivalence between the present perfect and the simple past is argued on the basis of recent studies which attach importance to the semantic equivalence and verified through authentic English materials. In addition to this, the cases where the present perfect is mandatory are also argued through authentic English material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perfect implies both the meaning of process 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he meaning of present resultant state without a temporal modifier. This is considere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resent perfect. Second, the simple past, BE-passive or GET-passive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perfect when its semantic focus is on the present resultant state 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n this case, the aktionsart, the aspect of the verb or event itself, should be telic or resultative. Third, the simple past with the adverb ‘ever’ or ‘never’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perfect when its semantic focus is on an unspecified past time with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rom the second and third conclusions, the simple past, BE-passive or GET-passive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perfect when its semantic focus is on one point 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orth, when the present perfect implies both the meaning of process in the whole time perio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he meaning of present resultant state without a temporal modifier, the present perfect is mandatory. That is, the present perfect is mandatory when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resent perfect is needed. Fifth, the ‘Have+-ed’ form as an idiomatic expression can t be substituted with the simple past if the main verb in the ‘Have+-ed’ form has lost its original mea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