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영어 듣기학습 지도를 위한 듣기자료대본 사용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초급학습자를 중심으로

Title
영어 듣기학습 지도를 위한 듣기자료대본 사용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초급학습자를 중심으로
Authors
권수진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의 영어교육 목표는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강조된 언어기능으로 듣기기능과 말하기기능을 꼽을 수 있다. 이에 우리의 교육현장에서도 듣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방안에 많은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이 중에서도 듣기기능은 읽기기능과 함께 이해기능으로 분류되어 말하기, 쓰기의 표현기능보다 먼저 교수하도록 권장되고 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측면에서 듣기학습의 중요성은 널리 인식되어있다. 따라서 다양한 듣기학습방법과 적절한 교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에 거론되고 있는 통합적 학습법에서는 듣기와 읽기를 함께 학습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읽기능력이 듣기능력에 비해 뛰어난 우리 나라 학습자들에게 이 방법은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듣기와 읽기의 통합학습의 여러 가지 방안들 중에서, 우리 나라 교육현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테이프자료대본 제시가 중학교 초급학습자들의 듣기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한다. 본 실험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진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듣기학습에 있어서 듣기자료대본울 제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대본이 없는 자료를 제시하여 듣기학습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자료대본을 활용하여 학습한 실험집단은 대본을 제공받지 못한 통제집단보다 듣기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듣기수준별 상ㆍ하위 집단간의 듣기능력 향상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듣기자료대본 사용은 하위집단 학생에게 더욱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집단간 평가지 유형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본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특히 문자유형의 평가지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드러나, 듣기자료대본을 사용하여 학습한 학습자들은 문자형 문제가 제시될 때 높은 점수를 획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학습성향에 따른 듣기자료대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향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시각적 유형을 가진 학생들이 다른 유형의 학습자들보다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듣기자료대본은 시각적 유형의 학습자들에게 제시될 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듣기자료대본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듣기자료대본은 듣기학습 단계별로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하며, 듣기이전단계에서는 역할극, 빨리 읽기, 회상기법 등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듣기단계에서는 대본을 통하여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를 연결하여 학습할 수 있는 특정정보에 밑줄긋기, 따라읽기 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듣기이후단계에서는 학습한 정보의 이해를 공고히 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빈칸 채우기, 순서 맞추기 등이 있다. 둘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듣기자료대본 제시 시기를 살펴보면, 하위학습자들에게는 듣기이전단계와 듣기단계에서 대본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위학습자들에게는 듣기이후단계에서 대본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듣기자료대본을 실제 교실상황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살펴본 듣기단계별 활용방안을 학습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듣기자료대본을 사용하여 세부사항 듣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듣기학습의 상ㆍ하향과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듣기학습에 있어서는 듣기교수만 실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듣기자료대본 읽기가 듣기능력이 부족한 학습자의 듣기학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통하여 볼 때, 현재 수준별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는 하위수준 학습자의 듣기지도의 한 방편으로 듣기자료대본 활용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국한해서 단기간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어듣기능력이 좀 더 우수한 학생들의 듣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 Nowadays the ultimate goal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language skill. However, listening instruction is still a burden to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an effective metho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Recently, integrated teaching of listening and reading is considered an innovative method on listening instruction since integrated learning has gained popularity over the past half-decade. If this method is effective, we can get great ideas on listening instruction. Unfortunately, however, very little empirical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effect of integrating listening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 a tapescript through listening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and find the effective ways to use a tapescrip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listening instruction with tapescripts, but the control groups were not given tapescripts during the 8-week long experimen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 in listening 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reading a tapescript promotes the students learning.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stening ability development between upper-level students and lower-level student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compared with the upper-level students, the lower-level students showed higher development. This implies that reading a tapescript is more helpful to lower-level students. Third, Being investigated the relation with the test typ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more improvement when the test options were presented in the written form.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erceptual style groups. However, the visual-type students improved mos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ing listening with tapescripts is helpful, especially to lower-level students. Thus, reading a tapescript while listening is recommended in order to help them develop their listening ability. Secondly, they suggest that reading a tapescript is more effective for the visua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several activities and considerations to use a tapescript effectively in the classroom. First, role play , speeded reading and recall techniques are recommended to provide students with background knowledge in pre-listening stage. In while-listening stage, underline on specific feature , read-along are suggested to motivate students and facilitate listening comprehension. In post-listening stage, clozed test and scrambled sentences are recommended to check their comprehension. Secondly, when we use a tapescript we have to consider students language proficiency and their difficulties on listening learning. Besides, we have to find the effective ways to use a tapescript to integrate top-down and bottom-up skills.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ding a tapescript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Moreover, the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 long-term listening instruction eff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