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연-
dc.creator김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2: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2:08:05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011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28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193-
dc.description.abstract부모-아동간 애착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애착 표상, 성격,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식은 문제되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의 지속성과 원인론, 그리고 아동기 정신병리의 발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9-96개월된 임상(정신병리)집단 아동-어머니 26쌍과 44-78개월된 정상(통제)집단 아동 26쌍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아동들의 문제 행동의 양상과 심각도를 보기 위하여 K-CBCL(Child Behavior Checklist, 1997)을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애착표상을 알아보기 위해 성인애착면접(Adult Attachment Interview)을 사용하였으며,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MMPI(The Minnesota Multiphastic Personality Inventory), 결혼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MAS(Marital Adjustment Scal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 집단 아동들은 정상집단아동들보다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에서 신체화척도와 비행척도를 제외한 위축척도, 우울/불안척도, 미성숙척도, 사고척도, 주의집중척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내재화 척도, 외현화 척도, 총 문제 행동 척도에서도 임상 집단 아동들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왔다. 2. 임상 집단의 어머니는 자율형(F)이 1명(3.8%), 무시형(Ds)이 7명(26.9%), 몰입형(E)이 5명(19.2%), 미해결/비조직형(U/d)이 13명(50%)으로 나타났으며, 정상 집단의 어머니는 자율형(F)이 12명(50%), 무시형(Ds)이 5명(20.8%), 몰입형(E)이 4명(16.7%), 미해결/비조직형(U/d)이 3명(12.5%)으로 분포하였다. 특히 임상 아동의 어머니에서 미해결/비조직유형이 크게 많았다. 3. 임상집단의 어머니와 정상집단의 어머니의 전반적인 성격을 MMPI척도에서 비교한 결과 건강염려증, 우울증, 히스테리, 반사회성, 강박증, 내향성에서 임상아동어머니가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으며, 남성특성-여성특성척도에서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4. 결혼 적응도에서는 정상집단과 비교했을 때, 임상집단의 어머니가 ‘부부애정도’, ‘부부만족도’, ‘부부결합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났고, ‘부부일치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아동기 정신병리 집단과 정상 집단의 어머니들의 애착표상유형, 성격, 결혼 적응 결과를 비교해 봄으로써 어머니의 특성이 양육에 의해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기여하는 면을 살펴보아 아동기 정신병리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애착유형 중 미해결/비조직형(U/d)이 아동의 발달에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으며, 어머니의 성격요인과 결혼 적응 역시 아동의 발달과 연관이 있었다. ; Knowledge of maternal state of mind with respect to attachment, personality, marital adjustment may provide insight into etiology or maintenance of problematic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development of Child Psychopath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29-96 month old children referred to a child psychiatric clinic-mother dyads and 26, 44-78 month old normal comparison children-mother dyads. The K-CBCL(Child Behavior Checklist, 1997) was used for checking the problem patterns and secerities of children. Maternal state of mind with respect to attachment was assessed by the AAI(Adult Attachment Interview, 1985). MMPI(The Minnesota Multiphastic Personality Inventory, 1940) was used for checking the personality and MAS(Marital Adjustment Scale, 1976)was used for checking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K-CBCL Profiles tell distinct patterns and severities of problem behaviors between two groups. Clinic children are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Withdrawn, Anxious/Depressed, Immature, Thought Problems, Attention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 scales. Moreover, Clinic children have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and total problems. 2. Among clinic children s mothers, 3.8% were classified as autonomous(F), 26.9% were classified as dismissing(Ds), 19.2% were classified as preoccupied(E) and 50% were classified as unresolved/disorganized(U/d). Among normal children s mothers, 50% were classified as autonomous(F), 20.8% were classified as dismissing(Ds), 16.7% were classified as preoccupied(E) and 12.5% were classified as unresolved/disorganized(U/d). In Particular, Unresolved/disorganized maternal attachment were overrepresented in the clinic group. This distribution is quite similar to van IJzendoorn s meta analytic results(1996). 3.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point of personality, clinic children s mothers were found to have higher points in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opathic Deviate, Psychasthenia and Social Introversion and lower points in Masculinity-Feminity. 4.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he quality of marital adjustment, clinic children s mothers turned out to be poorer than normal children s mothers in dyadic satisfaction, dyadic affectional expression, dyadic cohesion scales, but not much different in dyadic consensus sca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 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아동기정신병리 = 4 B. 어머니의 특성 = 5 1. 애착 = 5 2. 성격 = 13 3. 결혼적응 = 13 III. 연구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연구 절차 = 17 C. 연구 도구 = 8 D. 자료 처리 = 21 IV. 연구결과 = 22 A. 문제 행동 양상 비교 분석 = 22 B. 어머니 애착표상유형 비교 분석 = 24 C. 어머니 성격 비교 분석 = 28 D. 어머니 결혼 적응 비교 분석 = 30 V. 논의 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8 부록 = 50 영문초록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3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아동기 정신병리와 어머니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성인애착표상유형, 성격,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