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0 Download: 0

수학 학습에 있어서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Title
수학 학습에 있어서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Authors
강문희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려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1-1.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에 차이가 있는가? 1-2.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교과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1-3.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 차이가 있는가? 2.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은 수학 학업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가? 2-1.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수학 학업 성취도 중 계산력에 차이가 있는가? 2-2.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수학 학업 성취도 중 이해력에 차이가 있는가? 2-3.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수학 학업 성취도 중 적용력에 차이가 있는가? 2-4.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수학 학업 성취도 중 분석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 신길동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아동 71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검사 도구는 정의적인 영역의 평가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작한 수학 학습태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업성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기간 동안 학습한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수학 교육과정 내용 중에서 국립교육평가원에서 발생한 <초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 우수 문항집>과 교육부에서 발행한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 교사용 지도서를 참고로 하여 검사지를 작성하였고, 검사지의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경험이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자문을 구해 문항을 분석하고 이를 수정·보완하여 수학 학업성취 검사지를 완성하였다. 실험 처치는 실험집단에게 총 8주간에 걸쳐 수학 학습에서 쓰기 활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동안 전형적인 학습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 결과에 대한 평균치의 차를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학 학습태도면에서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즉, 수학학습에서의 쓰기활동은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등 긍정적인 수학 학습태도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수학 학업성취면에서 실험집단은 쓰기 활동을 통하여 평균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 보면, 수학 학습에서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의적인 영역인 수학 학습태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수학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은 아동에게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형성시켜주고 수학 학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학 학습에서 쓰기 활동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행능력에 의한 평균 점수를 보면 이해력의 성취수준이 높게 나타나 쓰기 활동이 이해력에 있어 다소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 학습에서 쓰기 활동을 장기적으로 적용할 경우 전체적인 수학 학업성취의 신장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뒤따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orts of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on the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s and on affective domain. That is,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on learning attitude and on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main two research questions are: 1. Do writ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effect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1-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ception on the subj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1-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on the subj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1-3.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habits on the subjec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2. Do writ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effect on the achievement of mathematics? 2-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unting abilities in mathema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2-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bility to understanded mathematical concep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2-3.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bility to apply for mathematical concep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2-4.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zing abilities in mathematic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hich has not?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fundamental survey on the condi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 Based on the data I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I selected two fifth grade classes, on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or a control group in D elementary school in Shingil-dong, Seoul for this study. Two major test materials were used in this study:1) Test of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to evaluate the effective domain; 2) Test of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second achievement test in mathematics was designed based on mathematics textbooks, workbooks for student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published by the Korea Education Ministry, and on the book titled in "Elementary Achievement Evaluation Test" by National Education Institute. The help of well-experienced teachers increased the validity of the test material. For eight week,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trol group maintained typical learning methods. I used the t-test to refine the data for further interpretation of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n scores for each group of data being analyzed after performing SA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1.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based difference was 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given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taught by traditional learning strategy(p<.05). That is, this research shows that writing activities in mathematics affect positively o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such as self-conception, and learning habits on the subject between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The mean scores of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an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ut it is not meaningful in statistics(p<.05). The results are like these. An experimental group which has done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showed better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in affection domain than a control group which has not. The fact tells us that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make children interested in and confident of Mathematics, and have positive attitude to Mathematics. There isn t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achievement of mathematics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However, high mean scores in understanding ability lets us know that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re, to some degree, effective on understanding ability. So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much effective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as a whole if mathematical writing activities are performed for a long term and following studies need to be d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