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성지현-
dc.creator성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35-
dc.description.abstractThe contemporary society today is composed of many organizations and people today spend the most of their times doing things related to these organizations. While in organizations, there is time when people have to speak out their opinions in professions and come across with conflicting opinions. The argument is the process of harmonizing and compromising conflicting opinions. And carrying out this process is necessary ability in organizations. What types of impression will be projected in this process often result in work performance accomplishment and the success in the inside of organization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ver the meaningful messages on the state in a contention to the people in organizations by measuring the communication attitude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the state of argument and analyzing its correlation to the productivity in the organization. The communication attitude in argument of the organizational constituent is measured in three criteria based on the concepts of argumentativeness, argumentative flexibility, and verbal aggressiveness. And it is also examined that how each of these three basis are related with such productivity showing elements as the promotional spe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come down to the actual proof of the examination, the survey with a list of questions among the office workers was conducted. 202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analysis. For judg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y, the co-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outcomes of the survey by using SPSS 12.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gumentativenes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al speed, and job satisfaction and argumentative flexibility has no correlation with any of the productivity variances. Verbal aggressiv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motional speed. Secondly, among the three variances on communication in argument, verbal aggressivenes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promotional speed. The variance explaining job satisfaction attentively the most was argumentativeness and the variance explai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ttentively the most was verbal aggressiveness.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rgument tendencies among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ir types. There also were differences in the argument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businesses. Argumentative flexibility was found to be strong among the people in the business field of manufacturing, finance, and service. And verbal aggressiveness was found to be strong among the people in the business field of educational service, construction, and culture oriented service. Since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common knowledge more or less, the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addition, looking into the difference by the degree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the necessity of argument for business, and the frequency of argument for business, the difference in argumentative flexibility was found depending on the degree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The difference in argumentative flexibility was found, depending on the necessity of argument and the frequency of argument for busines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s of works of organizational members, was not found.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males show stronger argumentativeness and verbal aggressiveness than females when the difference in argumentative attitude depending on sex. Finally, in looking into the controlling effects depending on other demographical variances, it is found that those who are married tend to show stronger argumentative flexibility than those who are not married. However the differences by age,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work position were not foun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the initial research o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ttitude and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The domestic researches o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re very sporadic and especially the researches o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re rarely seen. Therefore, the fact that the study is the initial domestic research o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within organization is very meaningful. It is also meaningful in a sense that more accurate measure was carried out on argumentative attitude by measuring such various variances as argumentativeness, argumentative flexibility, and verbal aggressiveness. Moreov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of the constituents more precisely by considering such elements as promotional speed for the objective index of success within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subjective scale of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Finally, the study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informed the members of organizations the proper attitude in the state of argument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nces for attitude i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nd the variances for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Among three variances of attitudes o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The verbal aggressiveness need to be controlled properly for organizational achievement such as promotion. And it also can distra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looking at the fact that the variance explaining job satisfaction in the most attentive way is argumentativeness, it needs to be developed properly in order to have more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rough the study, it seems to be possible to direct the members of organizations to the way they can control their argumentative attitudes for the success within organizations. However, the following issues are still left to be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us to be further researched. First, it can be suspected that the answers for the index of argumentative attitude are acquired in objective manner. It is hard to measure the attitude of argumentative communication precisely if the people being surveyed answered what they thought the appropriate answers in objective manner without answering their honest argumentative attitudes. Furthermore, the survey questionnaire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 degree of difficulties of questions in overall is rather high. If the people being surveyed do not understand the questions, it will be hard to measure the data being collected accurately. Therefore, the post work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questionnaire has to be executed. Finally, estimating the speed of promotion has its own limitation. Accurate estimation on promotional speed by the way it is done in the study is tough in such case as job transfer. Therefore, new way of estimating promotional speed even including exceptional cases has to be found in further research.;오늘날 현대사회는 많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대인들은 생활의 대부분을 조직과 관련하여 살아가고 있다. 조직 생활을 하다 보면 업무 상 자기 주장을 펼쳐야 할 때가 있고, 그 과정에서 반대되는 의견과 충동할 수도 있다. 서로 다른 의견을 조율하고 타협해 나가는 과정이 바로 논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조직 생활을 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능력이다. 업무 상 필요한 논쟁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어떤 인상을 주는가는 업무 성과와 조직 내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를 측정하고, 이것이 조직 내 성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에게 논쟁 상황에 대한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조직 구성원의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는 논쟁성과 논쟁 유연성, 언어적 공격성 개념을 이용하여 세 가지로 측정하였고, 조직 내 성과를 나타내는 승진속도,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각각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현재 재직 중인 사무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3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최종 20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적절성 판단을 위해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 분석 등을 실시한 후,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 분석, 일원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쟁성은 승진속도, 직무만족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이며, 논쟁 유연성은 어떤 조직 성과 변수와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적 공격성은 조직몰입과 승진속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조직몰입과는 양(+)의 상관관계, 승진속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세 태도 변수 중 언어적 공격성이 승진속도와의 상관관계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공격적인 언어 사용은 조직 내 성공과 멀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직무만족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논쟁성이었으며, 조직몰입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언어적 공격성이었다. 셋째, 조직 및 업무 특성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논쟁 태도를 살펴본 결과도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먼저 조직 형태에 따라 집단간 논쟁성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특이할만한 점은 국내기업 조직 구성원의 논쟁성이 가장 높고, 외국기업의 조직 구성원의 논쟁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업종에 따라서도 조직 구성원의 논쟁 태도는 차이가 있었다. 제조업, 금융업, 사업 서비스업 종사자 순으로 논쟁 유연성이 강했으며, 언어적 공격성은 교육 서비스업, 건설업, 문화 관련 서비스업 종사자들이 강한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결과들은 상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결과라 차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중요도, 업무 상 논쟁 필요성, 업무 상 논쟁 빈도에 따른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요도에 따른 논쟁 유연성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대체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고 말한 조직일수록 논쟁 유연성이 낮은 경향이 있었지만,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이 ‘아주 중요하다’고 말한 집단은 ‘중요하다’고 말한 집단보다 논쟁 유연성이 높았다. 업무 상 논쟁 필요성과 논쟁 빈도에 따라서는 논쟁 유연성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조직 구성원의 담당 업무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논쟁 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논쟁성과 언어적 공격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타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조절 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논쟁 유연성이 더 강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연령과 교육수준, 직급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와 조직성과에 대한 국내 초기 연구이다. 국내의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는 무척 산발적이며, 특히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내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국내 초기 연구라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관한 변수를 논쟁성, 논쟁 유연성, 언어적 공격성으로 다양하게 측정함으로써 논쟁 태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측정을 했다는 데에도 의의를 가진다. 즉,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조직성과도 조직 내 성공의 객관적 지표로서의 승진속도와 주관적 조직성과 척도로서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다 함께 고찰함으로써 더 정확하게 조직 구성원의 조직성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 변수와 조직성과 변수들과의 관계 고찰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에게 논쟁 상황에서의 적절한 태도를 알려주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즉, 승진 등의 조직 성과를 위해서는 논쟁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세 태도 변수 중 언어적 공격성을 자제하는 것이 필요하며, 언어적 공격성은 직무몰입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직무만족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논쟁성이었으므로, 직무에 만족감을 가지기 위해 논쟁성을 적당히 개발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각자의 논쟁 태도를 조직 내에서 성공이 가능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이에 따른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쟁 태도 척도 응답이 객관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설문 시, 본인의 솔직한 논쟁 태도가 아닌 객관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인식되는 태도에 표시한다면, 해당 개인의 정확한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를 측정하기 힘들 것이다. 둘째, 그리고 설문 문항의 난이도가 높은데 설문의 한계가 있다. 조사 대상자가 설문의 의도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논쟁 태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설문 문항의 난이도 조절을 위한 사후 작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승진 속도 계산의 한계이다. 이직의 경우 등은 본 연구의 승진속도 계산 방법에 따라 정확한 산출이 힘들다. 따라서 차후 연구에서는 예외적인 경우까지 포함할 수 있는 승진속도 계산법을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vi Ⅰ. 서 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C. 연구의 방법 및 구성 = 9 Ⅱ. 이론적 배경 = 11 A.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 11 B. 논쟁의 개념 및 연구 현황 = 14 C. 논쟁 커뮤니케이션과 태도 변수의 개념 및 선행 연구 = 16 D. 조직성과 = 31 Ⅲ. 연구의 모형 및 가설 = 40 A. 연구 모형 = 40 B. 연구 가설 = 41 Ⅳ. 연구 방법 = 47 A. 조작적 정의 및 측정 = 47 B. 설문의 구성 = 50 C.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52 Ⅴ. 연구 결과 = 54 A. 응답자 분포 = 54 B. 측정 도구의 신뢰성 = 57 C. 측정 도구의 타당성 = 59 D. 가설의 검증 및 분석 결과 = 65 Ⅵ. 결론 = 90 A. 연구결과 요약 = 90 B. 연구의 의의와 한계 = 92 참 고 문 헌 = 95 부 록 (설문지) = 102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4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직 구성원의 논쟁 커뮤니케이션 태도와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gumentative Communication Attitude and Organizational Accomplishment-
dc.format.pagex, 11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