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김경미-
dc.creator김경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61-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신문활용수업이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학습태도(교과에 대한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1학년 사회 단원 중 ‘공동체 생활과 사회 발전’ 의 소단원 (1) 한국 사회의 변동과 그 부작용, (2) 한국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과제에 대한 신문활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 140명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자가 신문활용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와 학습태도 변화의 측정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 집단 설계(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에 기초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T 검증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전 비판적 사고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T-test 결과(t=0.060, p<0.952)로 두 집단 간 비판적 사고 면에서 p>0.05이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볼 수 있다. 사전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T-test 결과(t=-0.259, p<0.796)로 두 집단 간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면에서 p>0.05이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면에서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전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T-test 결과(t=-0.021, p<0.983)로 두 집단 간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면에서 p>0.05이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면에서 두 집단은 동질집단으로 볼 수 있다. 실험집단에 신문활용수업을 통제집단에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후의 사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판적 사고 검사지 평균을 비교해 보면, T-test 결과(t=3.103, p<0.002)로 두 집단의 유의도가 p<0.05이므로 두 통계치 간에 유의미한 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문활용수업이 강의식수업보다 비판적 사고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신문활용수업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학습 진행으로 학생들의 사고력을 높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지 평균을 비교해 보면, T-test 결과(t=3.927, p<0.000)로 두 집단의 유의도가 p<0.05이므로 두 통계치 간에 유의미한 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문활용수업이 강의식수업보다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신문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 관심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가 높아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지 평균을 비교해 보면, T-test 결과(t=2.036, p<0.044)로 두 집단의 유의도가 p<0.05이므로 두 통계치 간에 유의미한 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문활용수업이 강의식수업보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면에서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신문활용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력, 흥미, 관심에 맞게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신문활용수업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비해 비판적 사고와 학습태도면에서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Newspaper in Education (NIE) model and verify better effect of the model 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attitude when teaching social problems than the Lecture-Centered Instruction(LCI) one in social studies. The ma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dissertation are as follows. First, can the NIE model develop more critical thinking than the LCI one? Second, can the ICDI model achieve more instruction goal in learning attitude than the LCI on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NIE group will get higher scores on critical thinking than the LCI group. 〈Hypothesis 2〉 The NIE group will get higher scores on learning attitude than the LCI group. Independent variables are instruction model(newspaper in education,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Dependent variables are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hat of learning attitude. For the test of hypotheses, experiment treatment was done for 6 times about social problem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first grade 140 students in high school. Results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rough T-test to testify the effect of the NIE model. As the result of hypotheses verification,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NIE group gained higher scores on critical thinking than the LCI group. Second, the NIE group gained higher scores on learning attitude than the LCI group.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NIE model turn out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LCI one in achieving instruction goal. The results imply that the NIE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CI one in teaching social problems. This results can be helpful in further study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fostering learning attitude when teaching social problems with the NIE model in secondary social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및 내용 = 4 C. 연구의 한계 = 6 D.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9 A. 신문 활용 수업 = 9 1. 신문 활용 수업 = 9 2. 신문 활용 수업 모형 = 24 3. 신문 활용 수업의 교육적 효과 = 30 B. 비판적 사고 = 36 1. 비판적 사고 개념 = 36 2. 비판적 사고 기능 = 38 C. 학습 태도 = 42 1. 학습 태도 개념 = 42 2. 학습태도 특징 = 44 D. 가설 = 47 Ⅲ. 신문 활용 수업 모형 설계 = 49 A. 수업 모형 설계 = 49 1. 수업 모형 설계 = 49 2. 수업 모형 개관 = 53 Ⅳ. 연구 방법 = 60 A. 연구 대상 = 60 B. 실험 설계 = 60 C. 프로그램 설계 = 62 D. 연구 도구 = 63 E. 연구 절차 = 67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 69 A. 실험 전 집단의 동질성 여부 검증 = 69 B. 비판적 사고면에 있어서 신문활용수업 프로그램의 효과 = 70 C. 학습태도면에 있어서 신문활용수업 프로그램의 효과 = 71 Ⅵ. 결론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75 부록1 신문활용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 81 부록2 강의식수업 교수-학습 지도안 = 100 부록3 학습 태도 사전 검사지 = 104 부록4 학습태도 사후 검사지 = 105 부록5 비판적 사고 사전 검사지 = 106 부록6 비판적 사고 사후 검사지 = 109 Abstract =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25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사회과에서 신문활용수업이 비판적사고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Newspaper in Education in Social Studies on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Attitude-
dc.creator.othernameKim, Kyung Mi-
dc.format.pageⅷ,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