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의 지도 효과 연구

Title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의 지도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ing effect of Mind-Map usage : Focused on the world history class for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박선주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훈
Abstract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는 학생의 건전한 인성 발달을 도모하고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존중하며, 독창적이고 유용한 지적 가치를 생산할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여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의 학생 중심 교육 과정의 정착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즉, 교사 중심의 획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지양하고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개개인의 창의력과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신장시킴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세계화·개방화 시대의 소위 ‘정보의 홍수’속에서 우리들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시시각각으로 밀려오는 정보들 중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활용하며 관리할 줄 알아야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마인드 맵은 그저 주어지는 대로만 받아들이고 넘치면 잊어버리면서 수동적으로 두뇌를 사용해온 종래의 사회과 학습 방법에서 벗어나서 가능한 한 학생들이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을 스스로 선택하여 자기에게 적합한 인식 방식에 따라 학습하도록 하며, 그 결과를 자기 나름대로 체계화하고 가치·태도를 형성해나가도록 한다는 점에서 제 7 차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운용에 크게 기여하리라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 특히 중학교 2학년 사회 교과인 세계사 단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것이 학교 수업 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는바, 중학교 2학년 세계사와 관련된 학습 내용 가운데 「제 1 차 세계 대전」부분을 선정하여 이 주제에 적합한 마인드 맵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마인드 맵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마인드 맵 이론의 바탕이 되는 뇌의 기능 분화 이론과 마인드 맵의 개념, 구조와 장점, 마인드 맵의 용도와 활용 등 이론적 기초를 정리하고 선행 연구들을 통해 마인드 맵의 교육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보았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의 성격에 비추어 중학교 2학년 세계사 수업에서의 마인드 맵의 교육 도구로서의 이용 가능성과 교육적 활용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Ⅲ장의 연구 절차에서는 본 연구의 좀 더 구체적인 방법을 자세히 서술하였는데, 인천시에 소재하고 있는 ‘ㅂ’ 남자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을 실시하기 전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의 집단 2개 학급 8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 반으로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다른 한 학급은 통제 반으로 기존의 전통 적인 노트 필기 방식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2차시의 수업을 실시한 후 마인드 맵 활용 수업의 교육적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Ⅳ장의 마인드 맵을 활용한 세계사 교수-학습의 실제에서는 마인드 맵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전에 실시할 마인드 맵 사전 지도 방안과 마인드 맵을 실제로 교수-학습 과정에 활용한 중학교 2학년 세계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마인드 맵 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본 후 단원 성취도 평가를 토대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Ⅵ단원은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으로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사후 검사에서 나타난 통제 반과 실험 반 사이의 평균차 -12.75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실험 반의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마인드 맵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마인드 맵 활용 교수-학습이 사실의 단순한 암기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자로 하여금 이미지와 문자를 상호 연결짓게 함으로써 학습 내용의 기억과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가 지닌 지역별, 성별 일반화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추후의 연구에서 다른 지역의 저학년(초등학생), 고학년(고등학생),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 연구가 요청되며, 마인드 맵의 활용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2개월여의 실험 기간이 아닌 장기간의 충분한 실험 기간을 거쳐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학년별, 영역별 마인드 맵 적용 가능 요소(표-9 참조)를 활용하여 보다 폭넓고 다양한 마인드 맵 활용 수업 방안의 모색과 함께 마인드 맵 활용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essentially seeks the settlement of student and demander-centered curriculum, through which students can select subjects by their aptitudes and characters and learn actively and autonomously, it is for developing f students' human nature, respecting various competences and aptitudes of students. That is, the main purpose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instead of teacher-centered method it seek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elf-initiative learning abilities, solve various kinds of problems and develop students' originality and power of thought. In today's informationalized, globalized and open society like ‘Flood of Information' the most biggest problem is the ability to choose, use and take charge of the information which we need most among increasing information. So Mind map is helpful to actualize self-initiative learning that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argets on because it is useful for students to select the learning matters themselves and to learn through the method to fit them most, to make a system with results and to make values and attitud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ncrete teaching model and to apply it to the real classes for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especially to the chapter of world history of 2nd grade. So among the contents of world history of 2nd grade in middle school is selected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Mind map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Mind map to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ly, in chapter Ⅱ of theoretical background, basic theories are settled such as the theory of divergence of brain skills, the concept, structure and merits of Mind map, and the possibility and practicalness of Mind map as an educational tool is checked with other studies for world history classes of 2nd grade in middle school, it's considering the characters of social studies. In chapter Ⅲ of study procedure, the concrete method of this study is presented. Two homogeneous groups of 80 students were selected after taking advanced test to make an experiment of Mind map class to 2nd grade students of 'ㅂ‘ middle school in Inchoen. One class as an experimental group is taught by Mind map class, and the other as a controlled group is taught by the traditional class using writing notebooks. After taking two classes totally, the efficiency of mind map class was verified. In chapter Ⅳ of the reality of world history class, the advanced teaching method before Mind map class and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Mind map are presented. In chapterⅤ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as presented based on unit achievement test after applying teaching-learning model of the class using Mind map to real classes. Finally, In chapterⅥ, the result and suggestion is conclud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 of average-12.75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s statistically meaningful, it can be regarded that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Mind map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learning achievement because the averag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higher than the other. This means teaching-leaning method using Mind map keeps learners from memorizing by rote, and the method affects positively learners to connect images and letters to improve the abilities of memory and comprehension of learning contents. But to overcome the limits of regional and sexual generalization of this study's result, the experimental study for lower grades(primary school), higher grades(high school) and girls is needed, and the study needs to continue for longer time not just 2 months to analyze the effect of Mind map for the achievement of learners exactly. Also comprehensive and various methods of Mind map class should be found and deep investigation for teaching-learning model for Mind map class is needed with applying possible units according to grades or fields(refer to table-9) presented by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