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레트로 레이디 룩 디자인 개발

Title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레트로 레이디 룩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Retro Lady Look for Digital Native: Mainly for the 1950s
Authors
조은선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21st digita lgeneration has generalized internet and multi-media and Digital Native, a new class of consumer, has appeared in accordance with such social change. Highly developed industrialization and Retro which is a cultural reversal phenomenon of digital revolution have emerged in such change of generation. Therefore varied industries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by developing products suitable for sensitive preference and the nature of Digital Native through the material, Retro. Moreover, Retro Lady Look in 1950s has presently been recalled by Digital Native and it is being reinterpreted and expressed uniquely and modernly but also reviving the past with their sufficient exuberant imagination. Thus, such Retro phenomenon is in the limelight as an element to express oneself not just simply giving curiosity but providing freshness and a new experience to Digital Native generation. Likewise, Retro appears throughout various industries and fashion business for Lady Look has also been activated. However, provision of design for sensitive Lady Look reflected a life style of Digital Native that has drawn attention as a new class of consumer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template Digital Native the new consumer and to look into 1950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period of Lady Look. And it developed Retro Lady Look design that reflected analog sensitivity of Digital Native by combining with F/W Trend in 2011~2012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Retro Lady Look that has reinterpreted 1950s with modern fashion and of the representative style in 1950s. The conclusions deducted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Firstly, Retro has become the new flow of culture with warm sensitivity in cold individualism for Digital Native that has newly been formed based on digital media environment. Moreover, the study showed that Retro has been accepted as a differentiated element that allows oneself to be stood out with their luxuriant imagination and values. Secondly, it considered 1950s the representative period of lady look as it was recalled and reinterpreted by Digital Native generation. The study showed that a typical style in the early 1950s was X-silhouette emphasizing round shoulder lines and waist and that in the late 1950s was comfortable silhouette that did not emphasize the waist line. And it examined representative designers in 1950s that were selected in fashion specialty publications and specialized websites for fashion information and the results came with Dior, Balenciaga, Givenchy, Jacques Fath, Balmain, Chanel and more and it further showed that Haute Couture in Paris recovered the leadership of world fashion and created a sensation to women. Thirdly, formative features of typical styles in 1950s the representative period of lady look were investigated prior to developing Retro Lady Look for Digital Native and characteristics of Retro Lady Look appeared in modern fashion was examin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X-silhouette emphasizing breasts with fitting waist line was of great importance throughout the period and that quadrilateral silhouette in comfortable form was given a lot of weight towards the late 1950s. And it showed that the most typically used materials were rustic, crisp and smooth materials that could emphasize the formativeness and had strength. And cardigan type neck line in V-shape and round shape was used most of the time and tailored collar was also appeared as various suit items appeared in the market. Moreover, it show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silhouette by knee-length elegant yet feminine skirts for a skirt that forms the entire silhouette of clothing. It showed that the feature of Retro Lady Look in modern fashion was mostly Fit-and-Flare silhouette throughout the period and that skirt-suit, a representative item in 1950s, was reinterpreted. And also it indicated that elements in 1950s were expressed in modern sense by transforming those into a jacket with short-length sleeves, tailoring collar and mix and match of materials so it became a design that could stimulate the sensitivity of Digital Native generation. Fourthly, 5 suits of clothes were designed by reflecting a life style of consumers who aggressively express themselves simultaneously with appearing their own yet modern sensitivity with a concept of ‘New Retro Lad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Consumers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rather sophisticatedly and diversely by sensing freshness and nouveaute from a new Lady Look combined classical elements with modern elements.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ed a feminine and unique design with abstained sensitivity for them. With such examination, it showed that retro marketing was performed for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which is the main consumer class in 21st century throughout diverse industry.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shed new light on the elements in the past on the basis of such examination and will support establishing a direction to develop fashion market industry for the future potential consumers through rediscovery of forgotten values.;21세기 디지털 시대는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를 보편화시켰으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소비계층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통일성 있고 응집력이 있으며 새로운 소비문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세대로서 사회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세대 변화 속에서 디지털미디어와 고도로 발달된 산업화는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감각적 즐거움만으로는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이들에게 가치관의 혼란과 회의를 느끼게 하였으며, 이는 곧 디지털 하이테크화의 문화적 역류현상인 레트로가 부상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패션 및 기타 디자인 영역에서는 과거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찾으려는 복고적 성향이 문화계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레트로라는 소재를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의 특성과 감성적인 기호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또한 최근 1950년대의 레트로 레이디 룩이 디지털 네이티브에게 회고되어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으로 과거의 것은 살리고 유니크하면서도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표현되어지고 있다. 이처럼 레트로 현상은 똑똑하고 적극적이며 재미를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신선함과 새로운 경험을 안겨주어 자신을 표출할 수 있는 요소로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같이 레트로는 다양한 산업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매 시즌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는 레이디 룩에 대한 패션 산업도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잠재고객으로 주목받는 디지털 네이티브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감성적인 레이디 룩에 대한 디자인 공급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층인 디지털 네이티브에 대하여 고찰하고 레이디 룩의 대표적 시대인 1950년대를 살펴보았다. 또한 1950년대 대표 스타일과 현대 패션에서 1950년대를 재해석한 레트로 레이디 룩의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2011~12 F/W 트렌드와 결합하여 디지털 네이티브의 아날로그적 감성을 반영한 레트로 레이디 룩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레트로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을 근간으로 새롭게 형성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차가운 개인주의 속에서 따뜻한 감성의 새로운 문화의 흐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또한 레트로는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가치관을 통해 자신을 부각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요소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에게 1950년대풍의 레이디 룩이 회고되어 재해석되면서 레이디 룩의 대표적 시대인 1950년대를 고찰하였다. 1950년대 초반의 대표적인 스타일은 둥근 어깨선과 허리를 강조한 X자 실루엣의 아이템들이 등장하였으며 후반에는 허리를 강조하지 않는 편안한 실루엣을 추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 전문 서적과 패션 정보 전문 사이트에서 선정된 1950년대를 대표 하는 디자이너를 분석한 결과, 디오르, 발렌시아가, 지방시, 쟈크 파트, 발맹, 샤넬 등이 1950년대의 대표 디자이너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로 인해 파리 오트 쿠튀르는 세계패션의 주도권을 회복하였고 여성들에게 큰 센세이션을 일으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네이티브를 위한 레트로 레이디 룩 개발에 앞서 레이디 룩의 대표적 시대인 1950년대 대표 스타일의 조형적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트로 레이디 룩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가슴을 강조하고 허리선이 피트되는 X자형의 실루엣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후반으로 갈수록 편안한 형태인 사각형의 실루엣의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소재로는 전반적으로 힘이 있고 형태감을 살릴 수 있는 러스틱, 크리스프, 스무스한 소재들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복의 구조선 중 네크라인은 라운드와 V자 형태로 나타나는 카디건 형태 네크라인이 많이 사용되었고 수트 아이템이 많이 등장하면서 테일러드 칼라들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의복의 전체적 실루엣을 형성하는 스커트는 전반적으로 무릎 길이의 우아하면서 여성스러운 스커트로 인한 실루엣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트로 레이디 룩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피트 앤드 플레어 실루엣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1950년대의 대표적 아이템인 스커트 수트가 재해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짧은 소매 기장의 자켓, 테일러링 칼라, 소재의 믹스 매치 등으로 변형하여 1950년대의 요소들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New Retro Lady’라는 컨셉 으로, 현대적이며 자신의 감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한 5벌의 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이들은 클래식한 요소와 현대적인 요소를 결합한 새로운 의미의 레이디 룩에서 신선함과 새로움을 느껴 자신을 다양하고 세련되게 표출하기를 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위한 페미닌하고 절제된 감성의 유니크함을 가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다양한 산업전반에서 21세기 주요 소비계층인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레트로적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를 토대로 본 연구가 과거의 요소를 재조명하고, 잊혀져 가던 가치의 재발견을 통해 미래의 잠재고객을 위한 패션 마켓 산업의 발전 방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