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기숙-
dc.contributor.author정이와-
dc.creator정이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694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7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94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을 안무, 연습하고 공연하는 전 과정에서의 몰입체험을 몸학적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다. 즉 안무 및 공연연습 그리고 공연 수행의 전 과정에서 몰입을 위해 몸학적(Somatics) 접근을 시도하였고 이 몸학적 접근으로 본 연구자의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에서의 몰입체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몰입’에 대한 이해와 개념 정리를 위해 국내외의 관련 논문과 서적 등의 문헌들과 선행연구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몸학’의 정의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무용의 주체로서 본인이 실제로 한 무용체험을 밝히고자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Practice-based Research)’를 하였다. 본 연구자의 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의 각 장면에서 몸학적 접근에 따른 몰입체험의 단계와 현상은 다음과 같다. 1장은 몰입의 시작 단계로서 몰입이 용이하도록 본 연구자에게 친숙한 호흡을 통한 몸의 감각 인지, 수축-이완의 원리를 활용한 움직임을 사용하였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몸과 직면(confrontation)하면서 몸의 심리적, 생리적 구조 안에 있는 문제와 긴장에 대해 세심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2장은 몰입단계로 1장에서 익숙해진 움직임 패턴들을 활용하여 움직임의 범위가 확장되고 다양해지면서 자연스러운 몰입을 유도함으로서 끊임없이 자신의 움직임을 지각해가며 의식과 움직임과의 균형을 이뤄갔다. 그 과정에서 의식적으로 움직임의 가능성을 확장시켜보고 능동적으로 새로운 것을 추구해 나가고자 하는 변화(change)와 내적으로 갇혀있던 충동들이 해소(release)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지막 3장에서는 몰입의 마무리 단계로 이전까지의 움직임을 간결화 하고 휴식단계를 최대한 활용하였다. 이때는 몰입체험을 정리하며 자신의 변화를 다시 적용하며 순환적이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자하는 수용(accept)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몸학에서의 몸과 마음의 통합적인 사고관과 몸적 학습방식은 몸과 마음, 실기와 연구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여 무용 활동 그 자체를 몰두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가 스스로 몸과 마음의 이해와 자각을 얻게 하였고 기능적, 표현적 측면에서의 움직임의 가능성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또한 몰입을 단계적으로 전개시켜 자신의 의식과 움직임을 일치시키고 통합함으로서 자연스럽게 몰입에 도달하게 인도했다. 둘째, 무용작품<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에서는 몰입체험을 돕는 몸학적 수행방식이 나타났다. 그 방식에는 몸의 자각을 위해서 호흡을 통한 명상방식, 움직임의 다양성을 개발하기 위한 움직임의 패턴 반복 사용방식, 의식과 행동의 자연스러운 통합을 위한 즉흥연습방식이 사용되었다. 이 수행방식을 통해 자발적인 움직임, 몸의 자연스러운 에너지 흐름,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는 몰입의 결과가 나타났고 몰입체험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무용수의 동작 개발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실천 방안임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몰입체험을 위한 몸학적 접근은 무용 수행에 있어 기교향상이나 심리적 안녕을 넘어, 움직임에 대한 통찰, 무용수의 몸적 자각 개발의 기회, 몸 수련의 실천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몰입체험을 위해서 몸학적인 접근이 유용하다는 점을 발견을 할 수 있었다.;This study approaches flow experience on the dancing work of this researcher, <the Cry forming like a kno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r studying flow experience is to examine an effect of the somatics approach on improving the flow of a dancer while performing a work. This paper has studied the literature by using precedence study rela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and publications for understanding ‘Flow’. It uses the somatics view among the 'practice-based research' for examining the dance phenomenon on the independent point of 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 notion of integrated thinking with a body and mind in the somatics and the somatic learning method as the action plan makes a dancer, oneself get the understand of the body and self-awareness, and makes oneself develop the potential of movement on the functional and expressional side, so it is the method to help to flow for dancing by giving the dancer curious about moving continually. Second, the step for flow experience and the choregraphy intended on the work, <the cry forming like a knot>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1, it used the movement that utilizes the principle of body sense and contraction and relaxation through the breath which this author is familiar for being easy to flow, as the beginning step. In the chapter 2, it led to flow naturally while the range of movement is expanding and diversifying by utilizing the used movement pattern, as the flowing step. In the chapter 3, as the final step, it used the routing, the image and the music the same as the chapter 1 by simplifying the previous movement for presenting the arrangement step. To sum up the phenomenon that presents on the step to flow in every scene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1 as the beginning step, it is confrontation with one’s body. This phenomenon may be got the deep information for the problem and tension which is within the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structure of a body. So it is the step to study delicately it. The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flowing step on the chapter 2 is the change and the release. This is the course that may expend consciously the potential of movement. Moreover, it can be resolved impulse that is locked in the inner side by this course, and expressed various type of muscle movement, the looks on one’s faces and the change of breath. As the chapter 3 is to accept, this step is to apply one’s change again, so it goes toward to the circular direction and positively. Third, it examined the performing method to approach somatics that is used for improving the flow for studying the flow experience in the dancing work, <the cry forming like a knot>. It was used the method that is the meditation method by a breath for awakening of a body, the method that uses the movement pattern repeatedly for developing the potential of movement and the improvisation practical method for finding the individual movement. And this paper derived the result of flow experience in this course that is coincide sense of consciousness with a body, a spontaneous movement, the natural energy of a body and a new awareness for a body. As the result, the somatics approach for flow experience gives penetration for movement and the opportunity for improving the somatic awareness of a dancer beyond the technique improvement or the psychological peace in the dancing performance. This paper found that the somatics approach is useful for flow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방법 및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A. 몰입이란 무엇인가 5 1. 몰입의 이해 5 2. 무용에서 몰입체험에 관련된 선행연구 10 B. 몸학이란 무엇인가 12 1. 몸학의 정의 12 C. 몸학적 관점에서 몰입체험연구란 무엇인가 17 Ⅲ. 몰입의 측면에서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 분석 20 A. 안무의도(몰입체험을 중심으로) 20 B. 작품주제 및 구성 22 C.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23 D. 시각적, 청각적 요소- 영상과 음악 33 Ⅳ. 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에서의 몰입체험 결과 40 A. 준비과정: 호흡을 통한 명상 40 B. 움직임 패턴의 반복 42 C. 5분의 즉흥연습 46 Ⅴ. 결론 48 참고문헌 52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71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에서의 몰입체험에 관한 몸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low Experience on a Dancing Work, <the Cry forming like a knot>-
dc.creator.othernameJung, Lee Wha-
dc.format.pagevii, 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