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9 Download: 0

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난 풍류성에 관한 연구

Title
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난 풍류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aste for the arts in Milyang Baekjung Play
Authors
유민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희
Abstract
전통문화는 민족의 삶과 정신을 알게 해주는 대표적인 표현양식이라 할 수 있으며 그들만의 고유한 정신을 바탕으로 한다. 우리 고유의 정신 중 하나로 풍류(風流)를 말할 수 있는데, 풍류는 예술(藝術)의 아름다움을 즐길 줄 아는 태도이자 운치 있고 자유분방한 멋을 즐길 줄 아는 예술적 정신으로 전통문화인 민속놀이에서 그 특성이 나타난다. 민속놀이는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놀이로 우리 민족의 삶과 생활의 슬기를 지녀온 놀이문화이며 농경생활을 주로 해온 민중의 생활주기와 세시풍속의 주기와 맞물려 발달하였다. 민속놀이의 하나로 세시풍속에서 파생된 밀양백중놀이는 논매기가 끝날 무렵인 백중(百中)을 전후로 머슴들이 재충전의 기회를 가지기 위해 행했고, 풍치(風致) 있고 멋스럽게 즐기는 풍류정신을 바탕으로 한바탕 즐기고 화합을 다지는 축제의 장이었다. 특히 밀양백중놀이는 그 내용이 풍부하고 대부분이 춤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며 독특한 춤사위로 구성되어 발달하였다. 이처럼 민중들의 삶 속에서 밀양백중놀이는 우리 고유의 정신을 예술로 승화시키며 민중예술로서의 가치를 높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중예술로서 우리 민족의 놀이문화를 보여주고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밀양백중놀이에서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풍류정신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밀양백중놀이의 형성과 전승 및 구성을 알아본 후 풍류의 개념과 예술로서의 풍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연희 과정의 내용과 춤사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밀양백중놀이에 내재된 풍류성을 살펴보았다. 이에 밀양백중놀이에 나타난 풍류성으로 다섯 가지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힘든 노동을 놀이로써 승화시킨 첫째마당의 모정자놀이 과정과 둘째마당의 작두말타기 과정에서 놀이성를 찾을 수 있었다. 둘째, 민중들의 애환을 신명으로 풀어내고자 한 둘째마당의 작두말타기, 양반춤, 병신춤 과정에서 해학성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첫째마당의 농신제 과정과 셋째마당의 오북춤, 화동마당에서 놀이꾼과 풍물잽이, 구경꾼이 모두 어우러져 서로 다른 것의 조화를 넘어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조화성를 찾을 수 있었다. 넷째, 첫째마당과 둘째마당의 작두말타기, 셋째마당의 화동마당 전반에서 등장하는 덧배기춤과 일정하지 않은 자연 공간에서 연희되는 것, 그리고 구경꾼이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여 놀이꾼과 구경꾼 간의 정서적 공유가 이루어지는 것을 통해 개방성를 찾을 수 있었다. 다섯째, 첫째마당과 둘째마당의 작두말타기, 셋째마당의 화동마당 전반에서 등장하는 덧배기춤의 즉흥적 미와 오북춤에서 나타나는 오행의 조화적 구성의 미, 그리고 병신춤, 범부춤, 오북춤의 춤사위에서 나타나는 단순하고 소박한 멋에서 예술성를 찾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밀양백중놀이는 놀이성, 해학성, 조화성, 개방성, 예술성의 풍류적 요소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밀양백중놀이는 해학적, 조화적, 예술적 요소가 많은 장면에서 나타나며 놀이적, 개방적 요소는 부분적인 장면에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특징적인 것은 다른 백중놀이와 달리 대부분 춤으로 구성되어 있어 춤적인 측면에서 예술성이 많이 나타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정서를 통한 폭넓은 주제 개발의 자료로서 그 기능을 하여 전통문화로서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raditional culture can be a representative expression which announces people's life and spirit based on their own spirit. For one of our own spirit, there is a taste for the arts. It means attitude to enjoy beauty of art and artistic spirit to enjoy picturesque and free beauty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are appeared in folk play which is traditional culture. Folk play which is handed down among people is playing culture possessing people's lives and life's wisdom. It has been developed by life cycle and seasonal custom's cycle of people who have lived a rural life. As one of falk plays, Milyang Baekjung Play derived from seasonal customs was conducted by farmhands at about Baekjung when weeding is finished for their refresh. It made a festival that they enjoy the play and develop harmony based on the spirit of taste for the arts to enjoy excellently and elegantly. Especially, Milyang Baekjung Play has plentiful contents and dances for most of the play as well as its unique dance is developed. Like that, it sublimated our own spirit in art and heightened the value of people art through the expressive aspect of people's lif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how our culture of play as a people's art and examine how the spirit of taste for the arts which can be our own spirit is expressed in Milyang Baekjung Play which is recognized with its artistic value. For achieving th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formation, passing-down and organization of Milyang Baekjung Play and investigated concept of taste for the arts and taste for the arts as an art. And, it grasped the contents of each playing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taste for the arts in Milyang Baekjung Play. So, there were five factors as the expressive taste for the arts in Milyang Baekjung Play. The first, there were playing factors in mojungja playing process of the first part and jakdumal riding process of the second part which were sublimated hard labor in playing. The second, there are humorous factors in jakdumal riding, yangban dance and byungshin dance process which intended to solve people's pain with a fun. The third, nongshinje process of the first part, obuk dance of the third part, players, poongmuljaei and spectators of hwadong place are all harmonious, so there were harmonious factors through the harmony with nature beyond the mutual harmony one another. The forth, there are open factors in jakdumal riding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playing in the uncertain natural space with dutbaegi dance appeared in the whole hwadong part of the third part and emotional sharing between players and spectators while spectators participate in play actively. The fifth, there are artistic factors in jakdumal riding of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impromptu beauty, ohaeng's beauty of harmonious organization of obuk dance, simple beauty of byungshin dance, bumboo dance and obuk dance which are apperaed in the whole hwadong part of the third part. Like that, Milyang Baekjung Play show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aste for the arts for playing, humorous, harmonious, open and artistic factors. Based on them, humorous, harmonious and artistic factors are appeared in lots of scenes of Milyang Baekjung Play and plalying and open factors are expressed in partial scenes. Especially, it is almost organized by dance unlike other Baekjung plays, so there are lots of artistic factors from the aspect of dance and they heighten the value. Based on the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lay a role as the material developing wide subjects through our own emotion and heighten artistic value as the traditional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