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소비자의 시간인식, 화폐태도에 따른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의 구조관계 분석

Title
소비자의 시간인식, 화폐태도에 따른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의 구조관계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 with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by Time Recognition by Consumer Money Attitude
Authors
유수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문숙재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가활동의 주요 자원인 시간과 화폐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시간인식, 화폐태도가 여가소비행동과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분석,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인식의 틀로서 건전한 여가소비생활을 위한 태도를 형성하고, 소비자의 각기 다른 여가소비행동 예측을 통하여 질적 향상을 위한 여가자료의 활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남녀를 대상으로 도시에 거주하는 성별(남, 여)과 연령(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을 비교적 균등한 비율로 구성하여, 총 518부를 최종 분석 자료에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19 프로그램과 AMOS ver.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인식, 화폐태도에 따라 소비자의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 여가소비행동, 여가만족도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인식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_여가소비행동은, ‘유행·과시’ 여가소비행동에서 미래무감각의 유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현재충실, 미래지향, 과거지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합리·이성’의 여가소비행동에서는 미래지향의 유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미래무감각과 과거지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_여가만족도는 미래무감각으로 시간을 인식하는 유형이 가장 높은 평균이 나타났고, 미래지향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현재충실과 과거지향은 중간정도의 점수를 나타냈다. ·화폐태도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차이는, ‘가구소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구소득에서는 미래를 위한 수단에서 ‘701만원 이상’에서 41명(48.8%)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200만원 이하’는 8명(16.0%)로 낮게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미래를 위한 수단의 응답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분전환에서는‘200만원 이하’가 높게 나타났고, ‘701만원 이상’은 낮게 나타났다. 즉, 소득이 높을수록 화폐태도는 미래를 위한 수단을 높게 응답했다. _여가소비행동은, 화폐태도에 대해서‘유행·과시’와‘합리·이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유행·과시’에서는 인정을 받기 위한 수단과 기분전환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미래를 위한 수단과 인색과 불안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합리·이성’에서는 미래를 위한 수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인정을 받기 위한 수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_여가만족도는 유행·과시와 합리·이성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도는 기분전환과 인정을 받기 위한 수단의 점수가 높은 반면, 미래를 위한 수단과 인색과 불안 유형의 점수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시간인식, 화폐태도에 따라 여가소비행동 및 여가만족도의 인과적 구조관계를 통해 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인식 요인이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미래무감각, 과거지향, 미래지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미래무감각형의 경우는 정적(+)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미래에 대한 무감각한 시간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 경향이 높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과거지향 및 미래지향은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과거지향적 이거나 미래지향적인 시간인식이 높을수록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 경향이 낮아지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_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면, 미래무감각, 현재충실, 미래지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친 요인 중 미래무감각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미래무감각정도가 높을수록 합리·이성적인 여가소비행동은 낮아지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반면, 현재충실과 미래지향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현재충실하거나 미래지향적인 시간인식이 높을수록 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화폐태도가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기분전환과 인정수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분전환과 인정받기 위한 수단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분전환 및 인정받는 수단으로서 화폐를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_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미래를 위한 수단, 인색과 불안, 기분전환, 인정받기 위한 수단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중 기분전환과 인정을 받기 위한 수단은 부적(-)인 영향을 미쳐 기분전환 혹은 인정받는 수단으로서 화폐를 인식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합리·이성적 소비행동 수준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겠다. 반면, 미래를 위한 수단 과 인색과 불안을 화폐태도로 보이는 유형은 그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합리·이성적으로 여가소비행동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과 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 수준은 모두 여가 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는데,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유행·과시적 여가소비행동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은 반면, 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 수준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합리·이성적 여가소비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여가만족도는 감소하는 태도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designed to materializ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ustomer toward time and currency, the main resources of leisure activities, to understan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to structurally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 on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by time recognition and currency attitude. Through this the attitude for sound leisure spending life as a new frame of recognition can be formed, and through the forecast on respectively different leisure spending behavior of customer can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leisure data for qualitative improvement. For this, the people living in Seoul consisting of relatively equal ratio of sex (male. Female) and age (the twenties,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and more), the total 518 par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data were analyzed and verified using the SPSS win19 program and AMOS ver. 5.0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time recognition and currency attitude the results from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from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time recogni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or leisure spending behavior, the type of insensibility of future in the leisure spending behavior of ‘fashionㆍdisplay’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next came the faithfulness to the present, future-orientedness, and past-orientedness in that order. In the leisure spending behavior of ‘rationalityㆍreason’ the future-oriented type showed the highest score, and the insensibility of future and past-orientedness relatively lower score. In the leisure-satisfaction the type recognizing the time as the insensibility of future showed the highest average, the future-orientedness the lowest score, and the faithfulness to the present and past-orientedness the medium leveled score. 2) The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variable by currency attitude showed the significant one only in ‘family income’. In the family income 41 persons(48.8%) were highly shown in ‘more than 7.01 million won’ as a tool for the future, and 8 persons (16.0%) lowly shown in ‘less than 2 million won’. It can be found that the higher the earning becomes the higher the response to the tool for the future becomes. In the diversion ‘less than 2 million won’ was highly shown, and ‘more than 7.01 million won’ lowly show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earning became the higher the response to the future became. For the leisure spending behavior, the currency attitude in both the ‘fashionㆍdisplay’ and ‘rationalityㆍreason’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e tool and diversion for being recognized in the ‘fashionㆍdisplay’ the high score, the tool for the future, stinginess and anxiety the relatively lower score. In the ‘rationalityㆍreason’ the tool for the future showed the highest score, but the tool for being recognized the lowest score. It was found that for the leisure satisfa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fashionㆍdisplay’ and ‘rationalityㆍreason’. For the leisure satisfaction it was understood that the diversion and tool for being recognized had the higher score, but the type of tool for the future, stinginess and anxiety the lower scor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from the impact relation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casual structural relationship of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leisure satisfaction depending time recognition and currency attitude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effect on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by time recognition factor, it was shown that the insensibility of future, past-orientedness, and future-orientedness caused the significant effect. In case of the insensibility of future among them it causes a positive(+) effect, it can be deemed that the higher the insensibility of time recognition level becomes the higher the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trend causes to become. On the other hand, the past-orientedness, and future-orientedness cause a negative(-) effec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time recognition on the past-orientedness or future-orientedness becomes the lower the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trend causes to become. Understanding the effect on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it was shown that the insensibility of future, faithfulness to the present, and future-orientedness caused the significant effect, the insensibility of future among the factors having caused the significant effect causes a negative(-)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insensibility of future becomes the lower the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causes to become, while the faithfulness to the present and future-orientedness cause a positive(+) effect, it was understood that the higher the time recognition on the faithfulness to the present or future-orientedness causes the mor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2) The effect relationship on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by currency attitude causes a significant effect on diversion and recognition tool. Both the diversion and tool for being recognized cause a positive (+)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degree to recognize the currency as the diversion and a tool for being recognized causes to make the higher level of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The effect on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caus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ol for future, stinginess and anxiety, diversion, tool for being recognized, the diversion and tool for being recognized among them caused a negative(-)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level to recognize the currency as the diversion or a tool for being recognized becomes the lower the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become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type to recognize the tool for future, stinginess and anxiety as a currency attitude it was understood that the higher the attitude on it became the more it caused a rationableㆍreasonabl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leisure spending behavior. 3) The level of both the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and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the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caused a negative(-) effect and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fashionㆍdisplay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became the higher the leisure satisfaction became, while the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level caused a negative(-) effect, the higher the rationalityㆍreason type leisure spending behavior level became the less the leisure satisfaction beca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