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Title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ing "Korean Textbook" for Increasing Academic Literacy of the Immigrant Youth
Authors
이소라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급 ‘중도입국 청소년(이주 청소년, Immigrant youth)’의 ‘학업 문식성(Academic literacy)’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 유형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특성을 밝히고, ‘학업 문식성’의 교육 내용을 구체화한 후, 이를 토대로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재 개발의 원리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최근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육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문제가 새로운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도입국 청소년은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민의 자녀 가운데 한국에서 태어나지 않고 부모를 따라 입국했거나 이미 한국에서 국제결혼(재혼) 가정을 꾸린 부모에 의해 뒤늦게 한국으로 들어온 청소년기의 이주민을 말한다. 이들은 현재 교육 기회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들의 학업 능력과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중학교 편·입학의 대상이 되는 13~18세 연령의 중도입국 청소년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은 국내에서 출생한 다문화가정 자녀와 차이점을 지니며, 학문목적 성인 학습자와도 다른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현재의 한국어교육은 이들을 충분히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학습 대상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 대상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Ⅱ장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특성을 언어·인지·정서 측면에서 면밀히 분석하고, 각 특성에 따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업 문식성 교육의 국내외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학업 문식성을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학습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이해·표현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학습자가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문식성 요인을 구체화하였다. 학업 문식성 하위 요소로 기초 문식성, 수업 문식성, 교과 문식성, 장르 문식성 네 가지를 설정하고, 그 중 수업 문식성, 교과 문식성, 장르 문식성 세 가지 개념을 주요한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였다. Ⅲ장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재 개발의 현황 및 교육 현장의 요구 분석을 토대로 학업 문식성 교재의 요건과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요구분석은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 중심의 교재를 개발하고자, 교사 및 전문가 18명과 학습자 6명의 설문 및 심층면접으로 진행되었다. 앞서 살펴본 학업 문식성 이론과 교육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학업 문식성 교재의 요건과 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에 개발된 교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새로운 교재 개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상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학업 문식성 교재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원리를 제시하였다.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교재 설계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의사소통 능력(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BICS)과 학문·인지 언어능력(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CALP)개념을 적용하여 일상 언어와 학습 언어를 중층적으로 제시한다. 둘째, 내용중심 언어교수법을 기반으로 학업 문식성 교육 내용을 구현한다. 셋째, 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학업 문식성 교재의 핵심 주제를 선정한다.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도덕 교과 교육과정의 핵심 주제를 선정하여 학습 내용으로 구성한다. 넷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 결손을 보완하기 위하여 1-2학년 이전의 선수학습 내용을 포함하여 다룬다. 다섯째, 텍스트 선정 시 목표 텍스트보다 난이도가 낮은 텍스트를 비계로 제시하여, 실제 목표 텍스트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교육 내용을 구안하고, 교재의 단계적 구성에 대한 실제를 제시하였다. 기본적으로 중도입국 청소년이 중학교 1학년에 편·입학하여 방과후교실이나 다문화 특별반을 통해 학습하는 것을 전제로, 초급, 중급, 고급 교재의 교수요목의 예와 단원의 실제를 구성하였다. 이에 본고가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지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이 기존 연구 대상과 차별성을 지닌다. 한국의 공교육에서 큰 차별과 소외를 받고 있어 문제가 되나,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적극적으로 접근하지 못했던 미등록 이주 청소년과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둘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을 담당하는 다양한 학교 기관을 방문 조사하여 현장의 현황과 요구를 담았다. 교사 및 전문가와 중도입국 청소년과의 인터뷰를 통해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을 했다. 셋째,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능력 신장을 위하여 ‘학업 문식성(academic literacy)’에 관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이때 학문·인지 언어능력 신장에 초점을 두고, 내용중심 언어교수 기반 학업 문식성 개념을 기반으로 하였다. 넷째, 국가 수준의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KSL) 교육과정’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적이고 수행력 높은 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및 교재 개발에 관한 논의가 확장됨으로써, 언어 소수자를 배려하는 교육 문화가 정착되기를 기대한다. 다문화 소양을 지닌 학습자가 학교 교실 내에서 함께 소통하며 꿈을 키워나갈 때 비로소 우리 사회가 보다 건강하고 밝은 다문화사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ademic Korean textbook for increasing academic literacy of the immigrant youth. Nowadays, the education of the immigrant youth in multi-cultural society is considered as a new phenomenon. The meaning of the immigrant youth is migrants workers’ children or married immigrants’ children wh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se people are on the blind spot of educational opportunity. Therefore, they need an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of their demand and academic competence. In chapter 2, it analyzes characteristics of the the immigrant youth in language, recognition and emotion. In addition, it gives shape to a concept of academic literacy. academic literacy is composed 'basic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literacy', 'contents area literacy', 'text-genre literacy'. In chapter 3, it analyzes the academic Korean textbook for the immigrant youth on the basis of academic literacy and obtains implication of developing textbook for the immigrant youth. In the chapter 4, it presents principles and realities of developing textbook for the immigrant youth.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textbook for the immigrant youth are the following five elements. Firstly, it needs 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BICS) and the concept of cognitive 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Secondly, it gives academic literacy education based on content-based instruction. Thirdly, it composes learning contents by chosen key standard from Korean language, mathematics, social study, science, and moral subject. Fourthly, it prepares complementary studying system for the immigrant youth’s loss of study. Fifthly, it composes scaffolding for KSL student to be able read a real textbook. Therefore, the learners can select the textbook by different level of their Korean competen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academic literacy instruction for the immigrant youth who make up part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cademic Korean textbook for the immigrant youth.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developing academic Korean textbook that will be used by the immigrant youth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