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성원-
dc.creator한성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76-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범위와 계열성의 관점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최근 사회과에서는 학생들에게 정보 처리 능력, 종합적·통합적 사고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 사회과의 내용을 단편적인 사실이나 분절화된 개념·이론으로 구성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내용 요소를 체계화, 구조화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회과의 내용 체계화를 위해서는 의미 구조, 즉 사회과의 내용 요소들이 내적으로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사회과 교육 분야에서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내용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원리대로 사회과의 내용이 구성되어 있는가의 문제, 계열성 원리의 반영 정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연구는 범위와 계열성의 관점에서 사회과의 내용 요소, 주요 주제나 개념 사이의 관계, 거리 등을 검토해 보지는 못했다. 이는 텍스트에 나타난 의미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의 부재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 나타난 내용 요소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도입하여 범위와 계열성의 관점에서 '사회과의 내용 요소의 구조 체계(의미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범위에 관점에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의미 구조에서 어떤 주제가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혹은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지,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사회과 교과서의 의미 구조에 새로 진입한 주제가 무엇이며, 탈퇴한 주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일반 사회의 하위 영역을 정치, 경제, 사회·문화, 법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사이의 연결 관계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어느 영역의 어떤 주제가 다른 영역의 주제들과 많은 연결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분석해 보았다. 두 번째로 계열성의 관점에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사회과의 의미 구조가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심화·확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시대 변화에 따라 사회과의 의미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를 분석해보았다. 분석 대상은 4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7차 교육과정까지의 중·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중에서 공통 필수 교과서(중학교 6권, 고등학교 4권, 총 10권)만으로 하였으며, 사회과 내용 요소 중에서 일반 사회 영역을 정치, 경제, 사회·문화, 법의 4 영역으로 구분하고, 그 하위에 28 대주제, 116 하위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의 연결망을 통해 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범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교 모두 4차에서는 정치, 경제 영역의 주제들이 의미 구조에서 중심에 위치했었다. 그러나 6차 이후부터는 의미 구조에서 사회·문화 영역에 속하는 주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다음으로 의미 구조의 연결망적 관점에서 사회과의 범위에 새로 진입한 주제와 탈퇴한 주제를 분석해 본 결과, 4차에서 5차로 오면서는 사회과에서 내용의 축소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5차에서 6차로 오면서는 학문적인 내용보다는 학생들의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들이 의미 구조에 새로 추가되었다. 그리고 다시 6차에서 7차로 오면서는 이전에 비하여 기본 개념과 이론 체계에 해당하는 주제들이 의미 구조에 추가되고 있는 경향이 보인다. 각 영역별 의미 구조와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및 단원과 비교해 본 결과는 목표에서 강조하고자 한 내용 요소들이 의미 구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학년별, 학년 안에서의 단원 배열 순서와 의미 구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 사이에는 일관된 관계를 찾아보기 어려웠다. 영역간 연결 관계를 통해 본 의미 구조는 4차 이후 행정부, 지구촌 문제, 경제 성장, 시장 경제 체제, 현대 사회 문제, 복지 사회 및 제도, 세계화와 지방화, 헌법 등의 주제들이 다른 영역의 주제들과 가장 많은 연결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주제들이다. 주목할 것은 4차에서는 정치와 경제 영역의 주제들 사이에 연결 관계가 많았던 반면에, 6, 7차로 오면서는 사회·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정치나 경제, 법 영역의 주제들을 연결시키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둘째, 학교급별로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한 의미 구조가 추가된 반면, 사회·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의미 구조는 삭제되고 있다. 그리고 정치 영역의 경우는 일관된 유형을 발견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추가된 의미 구조와 삭제된 의미 구조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들의 경우 다른 영역에 속하는 개념들과의 연결 관계는 추가된 반면, 같은 영역에 속하는 주제들과의 연결 관계가 주로 삭제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로 가면서 통합의 정도를 높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따라 우리 나라 중·고등학교 사회과의 의미 구조 변화 과정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4차 이후 중·고등학교 사회과의 의미 연결망 구조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는 정치·경제·사회 현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주제들인 행정부, 현대 사회 문제, 입법부,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등이다. 그러나 6차로 오면서 중·고등학교 모두 사회·문화 현상이나 경제 현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본 개념인 사회 제도, 사회화, 소비와 생산, 시장 경제 체제, 경제 성장 등은 의미 구조에서 그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학문적인 내용이나 전통적으로 가르쳐야 된다고 믿었던 기본 개념이 의미의 연결망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그 중요성이 낮아졌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정치 영역이나 경제 영역의 주제 가운데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주제인 물가와 실업, 시장 경제 체제, 행정부 등은 다른 영역에 속하는 주제들과의 연결 관계는 추가되고 있는 반면에, 같은 영역에 속하는 주제들과의 연결 관계는 축소되어 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생들에게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시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통합 교과로서의 사회과의 특성을 살리려 했던 노력이 사회과의 의미 구조에도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과의 내용 중에서 이러한 유형의 의미 구조 변화를 보이는 주제가 한정되어 있다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문화 영역 안에서도 사회 문제, 세계화와 지방화, 정보 사회 등 사회 변화상을 반영하는 주제들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는 90년대 이후 정보화, 세계화, 국제화와 같은 사회 구조의 변화를 사회과 교과서의 의미 구조에 반영하려는 노력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구성할 때는 의미 구조의 연결망 관점에서 범위와 계열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즉 의미의 연결망 구조에 어느 주제까지 포함시킬 것인지, 어느 주제를 제외시킬 것인지 범위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의미 구조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주제의 학년 배열 및 단원 배열 문제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사회과의 의미 구조에서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를 저학년에 배열할 것인지, 중간 학년에 배열할 것인지, 고학년에 배열할 것인지, 여러 학년에서 고루 다루어지게 할 것인지, 학년 내에서는 앞의 단원에 배열할 것인지 등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 방법이 제한되어 있던 사회과 교육 분야에 사회 연결망 분석이라는 새로운 방법론(methodology)를 도입함으로써 지금까지 연구된바가 없는 사회과의 의미 구조를 처음으로 분석하고 사회과 교육의 연구의 범위를 넓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사회과 교육의 내용 구조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기초 연구이다. 따라서 사회과의 내용 구조화/체계화를 위해서는 사회과 교과서의 의미 구조 분석과 인지 심리학의 연구를 접목하거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비교하는 실증 연구가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의미 연결망 구조의 중앙에 위치한 주제를 학습할 때에 학업 성취도가 낮은지, 혹은 의미 연결망 구조에서 고립된 주제를 학습할 때에 학업 성취도가 낮은지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지식 구조 형성에 도움을 주는 사회과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사회과 교육의 범위와 계열성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행해져 왔으나, 사회과의 내용 요소들을 서로 어떻게 연관시킬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의미 구조의 연결망 관점에서 사회과의 범위와 계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만들어지기 바란다.;Disseminating abundant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emphasizes that the student cultivates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and comprehensive & integrative thinking skills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to be prepared for such social changes. To this end however, one needs to systemize and structure a variety of content items rather than merely compos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ith fragmented facts and separated concepts and/or theories. Also, some research results note that the system of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affects the students perception structure and intellectual & emotional tendencies. In this light, in Social Studies, the need for research on Network of meaning structure in addition to scope and sequence is increasing. The research on the systemization of contents and meaning structure should be conducted in two following directions. First, there should be ample theoretical discussions on how to structure the contents in Social Studies and two, there should be empirical studies analyzing the meaning structure that are already in place in existing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Unfortunately however, there aren't any specific research results for the former, and the latter empirical studies had also been neglected due to the absence of methodology enabling the analysis of meaning structure found in texts. Therefore, this paper uses Social Network Analysis out of many methodologies which became popular recently, catching the attention of many scholar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tor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ses meaning structure, or, the internal mutual correlations of content items in Social Studies. It may be noted that the research of structuring the content items by analyzing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Studies contents, so as to figure out which contents at which grade level and at what scope & level in the sense of Curriculum structure can be part of the issues of scope and sequenc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meaning structure in Social Studies from the viewpoint of scope and sequence.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only used the compulsory textbooks used commonly for Social Studies in middle & high school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current 7th Curriculum (6 books for middle schools and 4 books for high schools; 10 books in total) for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as the method of analysis. Network analysis is a useful tool to excavate the structure of the forms of structure or relationship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that arise through relationships or to explain the units composing the system. Moreover, the following five issues were examined. In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Studies textbooks, i) Which themes took central positions and which themes took peripheral positions, ii) How the connections among the subjects of the subordinate parts in Social Studies (political science, economics, societyculture, and law) are composed, iii) Which subjects newly entered into the meaning structure of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a, and which subjects exited, ⅳ) How the structure of meanings is being deepened and expanded, when going on to high school from middle school, v) How the meaning structure is changing with the changing of the times. First, the summary of the analysis on the scop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een through Network of meanings is as follows. In the 4th Curriculum of the middle & high school Social Studies, the themes in the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domains took central points. However, since the 6th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e socio-cultural domain had gained more significance in the meaning structure. Then, when we look at the themes that newly entered or exited in the Social Studies domain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we note the followings. When compared to the 4th Curriculum, one can see that much efforts had been made to reduce the amount of contents in Social Studies in its 5th Curriculum and that themes related to the everyday lives of students (as opposed to academic contents) have been added to the meaning structure. And one can see the tendency of the basic concepts and themes related to academic theories being added to the meaning structure in the 7th Curriculum as compared to the 6th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structure for each subordinate domain (political science, socio-cultural, law) of Social Studies are as follows. In the political science domain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he themes included in the democratic and other politic processes have taken important positions since the 4th Curriculum. And, themes such as consumption & production, or economic development and others as such had been emphasized in the meaning structure of the economics domain. However, the current trend shows that the themes related to International Economy are taking important positions in the meaning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socio-cultural domain, the issu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continue to be considered significant, and recently, subjects such as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are becoming more and more emphasized. In the case of the political science domain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trend is similar to that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Namely, democratic and other political processes take significant positions, and in the case of the economics domain, subjects such as inflation & unemployment,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 system, and those that are part of macroeconomics continue to be dealt with importantly. Also, like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direction of subjects being emphasized have moved from basic concepts of sociology such as social institution and socialization to those incorporating the society of the future, such as issu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information society, globalization & regionalization.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ning structure and the presented objectives and units/chapters of the Curriculum for each domain show that the content items that were to be emphasized in the objectives took important positions in the meaning structure. However, one could not find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 themes taking significant position in the meaning structure and the order of chapters per and within each grade.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found in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different grades of different schools are as follows. Moving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from that of the middle school, meaning structure centered on the economics domain is being added, but the meaning structure centered on socio-cultural domain is being reduced. And, one cannot find a consistent type of characteristics in the political science domain. And, while one can see addition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s taking significant positions and concepts in other domains (both meaning structure added or exited) as the Curriculum moves on from that of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most of the correlations with those subjects in the same domain have been deleted. Therefore, one can say that the level of integration has increased as the Curriculum moves on to the high school level. Thir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meaning structure in the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periods of the Curricula are as follows. The subjects that have constantly taken prominent positions in the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in middle & high school Social Studies since the 4th Curriculum have been those enhancing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social & cultural phenomena such as those related to the Executive, issue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Legislature, and the basic principles of Democracy. However, approaching the 6th and the above recent Curricula, the basic concepts to understand social & cultural or economic phenomena, such as social institution, socialization, consumption & production, market economy system, economic growth and others had lost much of its significance in the meaning structure. In other words, academic themes or the basic concepts that were traditionally believed to be necessary to teach had become relatively less important in the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Then, while the continuously stressed subjects in the political science & economics domains including inflation & unemployment, market economy system, and the Executive are being added in relation t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s in other domains, there are fewer correlations with the subjects in the same domain. This phenomenon shows the efforts of trying to characterize Social Studies as an integrated curriculum in helping students take on more systemic and comprehensive outlook being reflected in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Studies. However, one can note a problematic factor in that the number of the themes showing changes in the meaning structure of these sorts in Social Studies had been limited. Finally, even in the socio-cultural domain, subjects such as social issues, globalization, informization, and others that reflect social changes are being emphasized.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the fruit of efforts in trying to reflect in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Studies textbook, the changes of the social structure that can be seen through informizaton, globalization or internationalization, after the 1990s. Most paper on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curricula had used literature review 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or the method of contents analysis. However, the research methodologies had been quite limited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so far. Thu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lies in the fact that the range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had been expanded as a result of introducing a new methodology called Social Network Analysis to Social Studies. As a result, meaning structure in Social Studies, which had never been researched upon had been analyzed. Nevertheless,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paper is only a prerequisite research for structuring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herefore, in order to systemize or structure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here needs to be an integration of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on to the analysis of meaning structure/structure of meaning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an empirical research compar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needs to be supplemented. Through conducting succeeding researches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is lower when the students study the themes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meaning structure or when they study those subjects that are isolated, one would be able to compose contents in Social Studies to the benefit of students knowledge structure formation.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stated, one should consider scope and sequence from the perspective of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when structur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amely, one should determine which themes should be included and which themes will not be a content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ir scopes in the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In addition, one should consider the grade-level and unit/chapter-level arrangements of subjects taking central positions in the meaning structure. In other words, whether to arrange the subjects taking central positions in the meaning structure of Social Studies in low-level grade, mid-level grade or high-level classes grade, and how they will be distributed in different grades, at which chapters they will take part within each grade, and other such issues should be examined. In addition, although there has been constant research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Social Studies so far,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how to interrelate the content items of Social Studies had been lacking. In this light, this research sets a momentum to stimulat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scope and sequence of Social Studies from the viewpoint of Network structure of mean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제 1 장 서 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5 1.3. 연구의 제한점 = 8 제 2 장 이론적 배경 = 9 2.1. 사회과 내용 구성에서의 범위와 계열성 = 9 2.1.1. 사회과에서의 범위 = 10 2.1.2. 사회과에서의 계열성 = 14 2.2. 범위와 계열성의 변천 과정 = 19 제 3 장 연구 설계 = 37 3.1. 연구 문제 = 37 3.2. 분석 방법 및 절차 = 38 3.3. 분석 기준 = 44 제 4 장 의미의 연결망 구조를 통해 본 사회과 교육 내용의 범위 분석 = 48 4.1. 제4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 49 4.1.1. 제4차 중학교 사회 = 49 4.1.2. 제4차 고등학교 사회 = 59 4.2. 제5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 67 4.2.1. 제5차 중학교 사회 = 67 4.2.2. 제5차 고등학교 사회 = 77 4.3. 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 85 4.3.1. 제6차 중학교 사회 = 86 4.3.2. 제6차 고등학교 사회 = 95 4.4.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 105 4.4.1. 제7차 고등학교 사회 = 105 4.5.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성 논의 = 114 4.6. 소결 = 119 제 5 장 의미의 연결망 구조를 통해 본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의 계열성 분석 = 124 5.1. 제4차 중·고등학교 사회과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차이 = 125 5.2. 제5차 중·고등학교 사회과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차이 = 130 5.3. 제6차 중·고등학교 사회과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 차이 = 135 5.4. 소결 = 139 제 6 장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따른 사회과 내용의 의미 구조 변화 = 141 6.1. 중학교 사회과 내용의 의미 구조 변화 = 141 6.2. 고등학교 사회과 내용의 의미 구조 변화 = 148 6.3. 소결 = 155 제 7 장 결론 및 제언 = 157 참고문헌 = 163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42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와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format.pagex, 17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