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서-
dc.creator박정서-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9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2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274-
dc.description.abstract사회과 교육의 본질은 변화하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사회과 교육은 사회의 성격과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으로 시작된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성을 진단하고, 그 함양을 위한 방안으로서 가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첫째, 정보화 사회의 개념과 특징을 진단함으로써 정보화 사회에서 지향해 하는 사회과 교육의 성격을 가치 교육의 입장에서 정립하고, 둘째, 가치 교육 방법론 적용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며, 셋째, 사전 평가 → 가치 교육 모형 적용 → 사후 평가의 과정을 통해 실제적인 가치 교육 모형의 효과를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가치 교육 모형은 전통적인 접근으로서 교사 주도의 가치 수용 모형과 가치 탐구 접근으로서 자유로운 가치화 과정을 초점으로 한 가치 명료화 모형과 논리적인 이성을 바탕으로 한 가치 분석 모형의 3가지이다. 이론적 문헌 연구와 실증적 실험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 사회란 정보의 수집, 가공, 유통이 증대되면서 정보의 가치가 산업 사회에서의 물질이나 에너지 못지 않게 중요해지는 사회를 말한다. 둘째,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시민은 1. 지식의 영역에 있어서 정보 폭증으로 인한 지식의 양적 증가와 유동성, 잠정성, 단편성, 변화가능성을 이해해야 한다. 2. 가치의 영역에 있어서 절대적이고 권위적인 가치보다는 사고의 유연성과 생활 방식의 다원화로 인해 발생하는 가치 추구와 갈등, 혼란을 극복해 야 한다. 3. 기능의 영역에 있어서 폭증하는 정보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능력과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가치 판단 능력을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에서 함양해야 하는 시민성은 수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할 때 필수적인 ‘가치화’의 과정을 해결해야하며, 이를 위한 가치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화 사회에서 지향해야 하는 가치 교육의 방향은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을 해결하기 위하여 1. 익명성으로 인한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2. 지적재산권이 제기하는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3. 프라이버시로 인해 생기는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4. 불건전정보의 유통으로 인한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5. 컴퓨터 해킹으로 인한 가치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실제적인 정보화 사회 가치 교육의 적용을 통한 결과는 1. 전체 연구 대상 87명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교육 효과를 보임으로 써 정보화 사회의 시민성은 가치 교육을 통해 함양되었다. 2. 가치 모형에 있어서 세 학급 사이의 가치 수용 모형과 가치 탐구 모형 사이의 유의한 통계적 교육 효과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paired T-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 가치 수용 모형은 교육 효과가 나타나지 않 았으며, 가치 명료화 모형과 가치 분석 모형은 교육 전·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가치 교육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성별, 성적, 컴퓨터 사용 능력의 3가지로서, 각 변수에 있어 집단간의 차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 으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으며, 성적 취상위 집단과 컴퓨터 사용 능력 최상위 집단에서 교육 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4. 가치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호응도를 조사한 설문은 교육 효과 와는 반대로 가치 수용 모형이 다른 두 모형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교육 효과와 학습자들의 반응은 차이가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보화 사회의 시민성은 가치 교육을 통해 함양될 수 있으며, 학습자에게 가치 탐구 기회를 제공하는 가치 탐구 모형에서 교육 전·후의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후속으로서, 정보화 사회의 가치 교육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서 의미있는 성별과 성적,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른 차별화된 가치 교육 모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연구가 기대된다.;As the primary miss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improve citizenship, it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ur society to reflect the sensitive needs of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itizenship in information society, which has emerged with the combination of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to propose the concrete ways of value education to promote students citizenship. To explore these issues First, it defines the meaning of social studies in information society from the value education perspective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ociety. Second, it organizes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application of value education methods Third, as the actual application stage, it statistically analyses the effects of value education models through the process of pre-assessment, application of value education models and post-assessment. This study applies three value educational models, 1) The traditional teacher-initiated value acceptance model 2) value clarification model 3) And value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experim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society is the society where information becomes as valuable as resource and energy in industrial society with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ing and distribution. Second, The citizenship for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to 1) Underst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knowledge, flexibility, fragmentability and variety from the explosive surge of information in the knowledge sphere. 2) Pursue various interests and overcome conflicts and chaos resulted from the flexible thoughts and divers life styles in the digital era, rather than following the absolute and authoritative values in the value sphere. 3) Therefore, it should equip the value-judging ability to find the adequate information from the flood of information and to resolve the conflicts of value system. After all, value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since the valuing process is necessary for the citizenship requir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ird,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value education should be aimed to solve the advers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society 1)to be able to resolve the value conflicts from the anonymity 2)to be able to settle the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in the digital age 3)to be able to solve problems of privacy intrusion 4)to be able to address the problems of distributing unhealthy information 5)to be able to cope with computer hackings Fourth, the results by application of value education models are following; 1.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education and post-education in total eighty seven students, which means appropriate citizenship in the Information society could be developed through applying the value education models . 2. Among the value education models, the value acceptance model, the value clarification model and the value analysis model show virtually no statistical differences. 3. The variables of the value education are gender, grades, and computer proficiency. Female students show higher averag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nd the top performing groups and the most computer-literate groups show lower average. 4. The questionary of students response to value education shows students are more positive response to teacher-led, one-sided value acceptance model than student-led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examine further differentiated value education models with different variables of value education of information society such as gender, grades, and compute ability and verify the effects of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 I.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3 C. 용어의 정의 = 3 II. 정보화 사회와 사회과 교육 = 6 A. 정보화 사회의 개념과 특징 = 6 B. 정보화 사회와 사회과 교육 = 10 C. 정보화 사회와 가치 교육 = 17 III. 가치 교육 모형의 이론적 배경 = 25 A. 전통적 접근 - 가치 수용 모형 = 25 B. 새로운 접근 - 가치 탐구 모형 = 27 1. 가치 명료화 모형 = 27 2. 가치 분석 모형 = 33 IV. 가치 교육 모형의 실제적 적용 = 41 A. 연구 가설 = 41 B. 연구 대상 = 42 C. 연구 절차 및 프로그램 = 42 D. 결과 처리 = 47 E. 연구 결과 및 해석 = 48 V. 결론 및 제언 = 63 참고문헌 = 69 ABSTRACT = 76 <부록 1> 사전 검사 설문지 = 79 <부록 2> 6주 프로그램과 수업지도안 = 84 <부록 3> 사후 검사 설문지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41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정보화 사회의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가치 교육 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